더불어민주당

분류:
대한민국의 여당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자유한국당
(2017.02.13. ~ 2017.03.10.)
더불어민주당
(2017.05.10. ~ 2022.05.10.)
국민의힘
(2022.05.10. ~ 2027.06.10.)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이재명 행정부 (현재)
국민의힘
(2022.05.10. ~ 2027.06.10.)
더불어민주당
(2027.06.10. ~)
더불어민주당
영문 명칭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등록 약칭 민주당
슬로건 다시 비상하는 새로운 대한민국
창당·해산일 설립일: 1995년 9월 11일 (새정치국민회의)
등록일: 2014년 3월 26일 (새정치민주연합)
당명 변경: 2015년 12월 28일 (더불어민주당)
강제해산: 2024년 12월 6일
재등록일: 2027년 4월 11일 (더불어민주당)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민주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 7, 여의도동)
대표 전현희 / 5선 (19-20, 22-24대)
원내대표 윤호중 / 6선 (17, 19, 21-24대)
대통령 문재인 / 제19대 (2017.05.10 ~ 2022.05.09)
이재명 / 제21-22대 (2027.06.10 ~ 현직)
책임총리 김민석 / 초대 (2027.06.23 ~ 2032.09.22)
김동연 / 제2대 (2032.09.25 ~ 현직)
상원의원 65석 / 100석 (65%)
하원의원 196석 / 350석 (56%)
광역자치단체장 15석 / 17석 (88.23%)
기초자치단체장 156석 / 228석 (68.42%)
광역의회의원 617석 / 893석 (69.09%)
기초의회의원 1647석 / 3432석 (47.98%)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이념 사회자유주의
[ 기타·비주류 이념 ]
현대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진보주의
경제적 진보주의
당색
파란색 (#152484)
파랑 (#003C96)
보라 (#5A1B87)
초록 (#006464)
당원 수 5,634,372명
(2034년 12월 31일 기준)
권리당원 수 1,754,418명
(2034년 12월 31일 기준)

개요

더불어민주당(The Democratic Party of Korea)은 대한민국의 현재 여당인 민주당계 정당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1당 우위 정치제를 구성하고 있으며, 12.3 내란 이전까지는 국민의힘과 함께 양당제를 구성했었다. 12.3 내란의 여파로 강제해산되었지만, 2026년 민주화윤석열 정부가 붕괴되자 당을 부활시킴과 동시에 이재명을 중심으로 결집해 정권을 탈환하는데 성공했으며 현재 상원, 하원 모두에서 다수당 지위를 점하고 있다.

기원 및 역사

더불어민주당이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정당의 시초는 1955년 민주당으로, 신익희와 조병옥에 의해 세워졌으며 기존의 민주당계 정당인 민주국민당을 계승한 당이다. [1]

1955년 민주당은 3.15 부정선거로 인해 일어난 4.19 혁명의 영향으로 장면 내각을 통한 집권에 성공했지만, 집권 1년 만에 박정희가 이끄는 군부의 5.16 군사정변으로 해산되었다. 이후 1960~70년 동안 신민당이 55년 민주당의 계승자로서 야당으로 활동하였으나 박정희 정부를 끌어내리거나 민주화를 이루어내는데는 실패하였다. 10.26 사태 이후로 신군부가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키자 신민당은 또 다시 해산되었으며,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두환 정부의 탄압이 약해지자 신한민주당을 창당하였다.

6월 항쟁 이후 민주당계 정당은 김영삼이 이끄는 통일민주당과 김대중이 이끄는 평화민주당으로 분리되었으며,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단일화 실패로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에 밀려 두 후보가 다 낙선하였다. 이후 김영삼은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을 창당하며 보수정당 계열로 흡수되었고, 민자당 합류를 거부한 노무현, 김정길 등은 꼬마민주당을 창당하여 90년대 주류 민주당계 정당으로 다시 흡수되었다.

이후 1997년 IMF 외환위기와 여권 분열, 그리고 DJP연합으로 인하여 김대중이 이끌던 새정치국민회의는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며 첫 번째 민주당 집권에 성공하였고, 노무현은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며 참여정부를 개막하였다.

그러나 노무현은 열린우리당을 창당하며 기존 여당이었던 새천년민주당에서 자신의 당을 분리하였고, 여소야대로 위기를 맞았지만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야합으로 일어난 탄핵 사태로 인해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첫 번째 민주당계 총선 승리를 이루어내었다.

그 이후 참여정부는 대연정 파동, 한미FTA 추진 등의 문제로 지지율이 추락해 이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7대 대통령 선거,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부 완패하며 이명박 정권에 권력을 내주었고, 민주당계는 이 과정 속에서 다시 통합되었다. 통합민주당-2008년 민주당-민주통합당-2013년 민주당은 광우평 파동과 뒤이은 2008년 촛불집회, 노무현 대통령의 사망 이후로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승리 외에는 한나라-새누리당에 패배하며 박근혜정부의 등장을 허용했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당명을 사용하게 된 민주당은 안철수의 탈당으로 더불어민주당이라는 당명으로 바뀌었고, 기적적으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통해 문재인 정부를 출범시키는데 성공하며 전국 선거 4연승을 기록한다. 비록 이후 문재인 정부의 실정으로 2021년 재보궐선거 - 제20대 대통령 선거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패하며 윤석열 정부의 탄생을 허용했지만,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175석으로 여당 국민의힘을 완파하며 윤석열 정부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그런데...

  1. 다만 더불어민주당은 그 이전 한국민주당까지의 역사는 소급하여 계승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