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문체는 나무위키 형식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처럼 서술되어 있거나 나무위키의 내용이 인용되었습니다. 취소선이나 드립, 많은 사족을 보고싶지 않으신 분들은 좌측 상단에 위치한 뒤로가기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개요

견제 받지 않는 절대 권력을 가진 집권자를 말한다. 또는 모든 일을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경향인 사람을 빗대어 일컫기도 한다. 원의는 "홀로(獨) 재단(裁)하는 자(者)"라는 뜻이다. 예쁜 옷감을 자기멋대로 가위질하는 사람의 모습을 연상하면 된다. 그래서 '재단하다'는 '옳고 그름을 가르다'('재결하다'와 달리 '재단하다'는 '끊어 가르다', 즉 자기멋대로 가르다는 뉘앙스가 있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옷감에 빠지지 않는 실 사변(糸)은 '경'(經, 경서)이라는 말이 대변하듯, 한자문명권에서 예로부터 가로세로 씨실날실로 질서있게 짜인 하나의 계(系, 여기에도 실 사부수가 있다)를 뜻한다. 독재도 아마 이러한 것에서 유래한 말일 것이다. 즉 독재라는 행위를 질서있는 하나의 체계를 자기맘대로 끊어버리는 행위로 본 것이다.

위의 정의(定義)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독재자는 다수의 지지를 받느냐 아니냐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이를테면 블라디미르 푸틴의 경우 러시아인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권력에 대한 견제장치가 없다는 점에서 독재자라 할 수 있다. 비슷한 사례로 율리우스 카이사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아돌프 히틀러 등이 있다.

따라서 '독재정'의 반대는 '다수의 지지'가 아니라 '권력의 분립'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오늘날의 서구국가들에서는 국민들이 '견제 불가능한 절대권력'을 지지할 일은 없다시피 하지만,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다수의 지지'라는 고전적 의미의 민주정을 만족시키는 독재자들이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독재자를 가장 많이 물어뜯은 사상은 대중주의나 민주주의보다는 공화주의 쪽이었다. 현대의 민주주의는 순수한 고전적 민주주의라기보다는, 공화주의적 개념과 자유주의적 개념을 상당히 흡수한 하나의 문화 현상에 가깝기는 하지만, 독재의 반대말을 단순히 '여론의 지지'라고만 생각하면 오히려 친독재 성향으로 흑화할 위험도 있으므로 이 구분에 주의하여야 한다.

전제정치군주도 이 정의에 따르면 독재자로 볼 수 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참주도 독재의 한 형태다. 하지만 굳이 독재자와 전제군주의 차이를 따지자면, 그 권력이 정당화될 수 있느냐의 여부다. 시대적으로 군주는 당대의 측면에서 군주가 국가의 권력을 가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졌으나, 근대 이후로 공화주의에 입각한 권력분립론이 발전하면서 그 누구도 견제불가능한 절대권력을 누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대의적으로 정당성이 있다고 여겨졌다는 게 중요하다. 또한 군주가 아닌 독재자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쿠데타, 선거, 위임 등으로 권력을 쟁취하는 경향이 있는데, 전제군주는 세습과 군사력으로 지위에 오른 인물을 가리킨다. 그러나 독재자 중에는 분명히 세습이나 군사력으로 지위에 오른, 실질적으로는 전제군주라고 할 인물도 있다. 당장 북한이라든가. 그러한 독재자는 부정선거나 의회의 의결을 폭력으로 강제하는 등, 다수의 의견을 반영한다는 위장을 시도하는 일이 많다.

독재자는 흔히 국가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강박관념을 가지고는 한다. 이는 독재자가 출연하는 조건인 정치적인 분열 사태나 위기 상태에서 이러한 상태를 그 자신의 존재로서 막아두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자신에 반대하는 사람을 국가에 대한 도전으로 보고 국가반역자 혹은 국가모독죄를 범한 자로 탄압하고는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열 사태나 위기 상태는 독재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을 상정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정말로 그렇게밖에 할 수 없는 것인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독재 상태의 국가에 소속된 국민의 대다수는 독재자를 옹호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나라에서는 국민에게 독재자가 필요한 존재로서 받아들여진다고 오해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독재자는 필요하기 때문에 지지를 받는 게 아니라 그렇게 된 상황에서 반발을 할 수 있는 힘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독재를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반발이 집단적 차원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경우에도 독재자는 이들을 억압하려 한다. 일반적인 경우 독재자들은 독재 상황 속의 국민들에게 정보를 선별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어지간한 일이 아닌 이상 독재자가 벌이는 만행은 감춰지게 되는데, 이조차도 독재를 위한 대의 자체를 무시하게 되는 순간 독재는 파국으로 이어진다.

즉 독재자는 흔히 사회가 혼란할 때 출현하여, 사회안정을 봉합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집권을 정당화한다. 그리고 국가질서를 개인에 중점된 권력집중제로 개편, 초법적인 권력을 휘두르며 군림하기 때문에 독재자가 사라지는 순간 국가가 존속 위기 상황에 봉착하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독재자가 휘두르는 폭력은 국가 자체의 폭력과 일치한다. 즉 독재 기간 동안 혹은 독재 이후에 어떻게 하든 필연적으로 나라를 말아먹게 되며, 가까스로 지탱되더라도 그 휴유증이 아주 오래 남는다. 아이러니하게도, 경기 불황이나 사회 혼란 등 살기가 힘들어지면 독재 시절의 독재자를 그리워하는 현상이 만국공통으로 나타난다. 애초에 사회의 혼란을 초래한 요소가 독재자인데, 독재자를 자신들을 위해 봉사하고 버려지고 묻혀진 존재로서 인식해 애도하는 일종의 착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이 지나치면 파시즘, 군국주의, 전체주의로 발전해 또 다른 악순환이 펼쳐진다. 세계대전의 추축국이 정확히 이러한 단계를 밟았다. 보통 이러한 애도라는 감정은 영웅주의를 추앙하는 수구세력의 배후에서 그들을 움직이는 동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막연한 환상인 측면이 있는데, 독재자는 단순히 위기 상황을 봉합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그 자신의 권력을 이용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일반인으로서는 누릴 수 없는 많은 것들을 누리고, 동시에 국가의 화신으로서 자신을 추켜세워 올리기를 주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고작 인간인 주제에 신에게 도전하려 했던 고대 신화를 연상케한다. 거기에 독재자의 행보는 if가 불가능한 현실의 역사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즉 만약 독재자가 없었으면 어떻게 되었을지를 상정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는 것이다. 독재자가 존재하지 않았을 상황을 아무리 노력하더라도 결코 완벽하게 그려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독재 상황 자체가 국가의 위기를 고작 그딴 식으로밖에는 봉합하지 못했던 이전 세대에 대한 환멸을 불러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독재 이후에 태어나는 세대들에게는 결코 좋게만 보일 수가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독재자는 타도당하거나 사라진 이후에도 무덤에서 끄집어올려져 사람들의 입과 문장으로 부관참시를 당하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