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魔物 | Magical Creature
마법적 객체. 보다 정확히는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마나를 움직이는 존재'로 정의된다. 넓은 의미에선 마법(특히 현상으로서의 마법) 또한 마물에 포함된다. 영어로는 magical creature라 하나 보통 크리처(Creature)라 약칭되며, 마(魔)와 크리처(Creature)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어감과 달리 모두 인간에게 악한 것은 아니다.
생물
몬스터
怪物 | Monster
전반적으로 인격을 갖추지 못한 생물형 마물종을 이르는 말. 보통 마물이라 하면 이쪽을 가리킨다. 종 단위에서 몬스터인지 아닌지가 결정되기 때문에 개체로서는 인격을 갖춘 몬스터도 있다. 지능과 사회성이 높아 인류와 더불어 살아가는 일부의 고블린이 그 예시. 이러한 몬스터들은 동족을 혐오하는 경우도 있다.
사역마
使役魔/Famliar
누군가를 위해 일하는 마물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금전에 기반해 고용되는 경우, 세뇌 마법에 당한 경우, 노예 계약에 얽매인 경우 모두 사역마에 속하지만 아무래도 누군가의 노예라는 의미로도 쓰이다 보니 대등 이상의 관계에 놓여 있으면 스스로를 사역마라 칭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 반대로 그런 만큼 스스로를 누군가의 사역마라 부른다는 것은 그 대상을 그만큼 위한다는 표현이기도 하다.
마법사
魔法師 | Mage
마법을 사용하는 자. 넓은 의미에선 인간형 마물이나 마나를 활용하는 검사 등도 마법사라 할 수 있다.
신체적으로 약하단 이미지가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마법으로 신체를 강화해 일반인과 궤를 달리하는 초인들이 많다. 문제는 이들이 마법사가 아닌 검사 등의 직업을 본직으로 표명하다 보니, 본직을 마법사로 대는 순수 마법사들의 상대적 허약함이 조명된 것. 다만 신체적으로 허약하다 하여 전투 측면에서 순수 마법사가 밀리는 건 아니다. 마법을 사용하는 전사들에게 근접전에선 밀릴 때가 많지만 원거리에서는 오히려 그들을 압도할 때가 많다.
혈통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마나감응력, 마나회로 등 마법에 필요한 재능 대부분이 혈통에 의해 유전되기 때문. 그렇기에 보다 강한 마법사를 배출하려 하는 명가에서는 외부인의 마법적 재능 혹은 족보를 철저하게 따진다.
비단 고위 마법사의 배출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결혼 시 상대방의 마법적 소양을 살피는 경우가 있는데, 유전자가 마법에 의해 변형된 경우가 그렇다. 자신과 비슷하게 DNA가 마법적으로 변형된, 그러한 돌연변이와만 자손을 만들 수 있기 때문. 허나 DNA 변형도가 적어 일반인과도 자손을 만들 수 있는 케이스는 얼마든지 있다. 한편 이러한 유전자 변형을 비롯한 마법의 영향으로 인해 일부 마법사들은 특수한 신체기관을 갖곤 한다.
전투 마법사
戰鬪魔法師 | Battle Mage
전투 능력을 갖춘 마법사.
대개 국군 혹은 마법기업에 소속돼 마법전을 수행한다. 거의 모든 몬스터들은 전투 마법사에 의해 토벌되며 높은 경지의 개인이 낮은 경지의 다수를 압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위 전투 마법사는 국가 영웅으로 취급된다.
국가의 방위 능력뿐 아니라 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수준 높은 전투 마법사의 존재는 곧 그 지역의 안전을 보장하고, 몬스터에 의한 재해가 빈번히 벌어지는 세상에서 안전이 보장됨은 곧 자본의 유입을 의미하기 때문. 결과, 국가의 핵심 전력임에도 불구하고 군사기밀로서 그 존재가 숨겨지기보단 연예인처럼 매스컴에 자주 노출되는 전투 마법사가 많다.
국가간의 전쟁에서 전투 마법사들 사이의 일기토로 전선의 진퇴를 결정짓는 경우도 있다.
마녀
魔女 | Witch
여성형 마법사를 이르는 말이나 부정적으로 쓰일 때가 있다. 여성에게 교육의 기회가 잘 돌아가지 않았던 옛날 여성 마법사들이 과학 기술 등으로 마법을 제어하지 못해 재앙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똑같이 건장한 전사를 살해하더라도 남성 쪽은 특별히 마법적인 힘을 휘두르지 않았다고 설명할 수 있는 반면, 육체적으로 전사를 이기는 게 거의 불가능한 여성 쪽은 마법적인 힘으로 사람을 살해했음을 숨기기 어려운 것도 이유였다.
또 무고한 피해자를 사악한 마법사로 몰아 심판하는 일, 추후 마녀사냥이라 불리게 되는 작업에 있어 남성보다 여성을 대상으로 삼는 것이 쉬웠다. 그 결과 여성 마법사는 상대적으로 많은 박해를 받을 수밖에 없었고, 그렇게 박해를 받은 이들은 몬스터와 모종의 계약을 맺어 복수를 꾀하기도 했다. 이것이 또다시 마녀들에 대한 인식을 악화시켜 마녀라는 용어에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기게 된 것이다. '사악하다', '악마적인 존재와 계약을 했다' 외에도 마녀 하면 익히 떠오르는 '약제술과 저주에 능하다'는 이미지도 마녀사냥 때문에 생긴 것이다. 시간 지연과 재료, 복잡한 절차 등이 필요한 그런 계통의 마법을 전문적으로 수련한다고 마녀의 이미지를 잡아놓아야, 가짜 마녀를 즉결 심판하는 과정에서 목숨의 위협을 덜 느낄 테니.
물건
마도구
魔道具 | Magic item
마법적 기능을 가진 도구. 현대에는 마도공학 [1]을 기반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나, 마법이 사상성을 띠기 때문에 본래 평범했던 물건이 인류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마도구가 되기도 한다. 유물(遺物), 특히 성유물(聖遺物)의 경우 이런 것들이 많으며 대개 현대에 만들어진 마도구보다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마석
魔石 | Mana stone
마법적 가치를 지닌 광물질. 몬스터의 체내나 던전 등지에서 자주 발견된다.
마도서
魔圖書 | Grimoire
마법의 정보를 담은 도서. 대부분의 마도서엔 마법이 깃들어있기에 마도구의 일종처럼 취급된다. 대부분의 마도서가 마도구인 것은 마법 자체가 필설로 정확하게 계승될 수 없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주문, 마법진, 수인 등도 대개 그 자체만으론 마법을 발휘하지 못하고, 적절한 마나 운용이 뒷받침돼야만 마법이 발현된다. 이때 마나의 운용에는 필설로 형용할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이 그대로 마도서에 담겨 마법 습득을 돕는 것. 때문에 마나감응력이 없는 이는 제대로 마도서를 읽을 수가 없다. 마도서에 담긴 '비마법적' 정보는 읽어도 '마법적' 정보는 읽지 못하기 때문이다.
장소
용맥
龍脈 | Ley
마법적 가치가 높은 지역. 과거 던전이었다가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용맥으로 지정된 곳들이 많다. 대부분의 용맥은 국가나 거대 조직의 관리 하에 있으며 마법사들의 수행 장소로 이용된다.
던전
迷宮 | Dungeon
몬스터 혹은 마법적 함정을 갖고 있으며 공략에 성공 시 마석, 마도구 등의 보물을 얻을 수 있는 곳. 자격 있는 자에게 유산을 넘겨주는 일 등 모종의 목적을 갖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던전도 있으나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던전도 있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던전이 보물을 내놓는 이유는 인간이라는 먹이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향긋한 냄새를 풍겨 벌레를 끌어들이는 식충식물 네펜데스(벌레잡이통풀)와 같다고 볼 수 있다.
- ↑ 魔道工學/Magitek. 마법을 공학적으로 활용하는 학문으로 정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