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문자
유형 음소 문자
표기 언어 만주어
사용 시기 1599년 ~ 현재
계통 원시 가나안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소그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음소문자역사

원시 시나이 문자 (기원전 18 ~ 15세기)

메로이트 문자 (기원전 3세기)
오검 문자 (4세기)
한글 1443년
캐나다 문자 1840년
주음부호 1913년
전체 분류
v  d  e  h

만주 문자(滿洲文字, ᠮᠠᠨᠵᡠ ᡤᡳᠰᡠᠨ: ᠮᠠᠨᠵᡠ
ᡥᡝᡵᡤᡝᠨ
만주 허르건)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로 몽골 문자를 변형시킨 것이다.

역사

만주족은 여진족으로 불리던 시절에는 여진 문자를 쓰기도 했으나 금나라 멸망 이후 곧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후 여진족들은 몽골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해 자신들의 기록을 남겼는데 청태조 누르하치는 후금건국 뒤 몽골 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할 것을 지시했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무권점(無圈點) 만주문자이다.

그러나 이것은 몽골 문자를 그대로 빌려 쓴 것이라 몽골 문자 본래의 문제점인 a,e 와 o,u g,k등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1632년 글자 오른쪽에 권점을 찍는 등의 방법으로 기존의 몽골 문자에서 구별이 안 되는 소리들을 구별해 적을 수 있도록 개량하였다.

이것이 유권점(有圈點)만주문자이며 오늘날 쓰이는 만주문자이다.

서체

인쇄체와 일종의 필기체인 소해체가 았다. 소해체는 꼬리 처리 등이 인쇄체와 차이가 난다.

글자

Alphabet

Characters Transliteration Unicode Notes
isolated initial medial final
Vowels [1]
ᠠ᠊ ᠊ᠠ᠊ ᠊ᠠ a [a] 1820
᠊ᠠ᠋
ᡝ᠊ ᠊ᡝ᠊ ᠊ᡝ e [ə] 185D Second final form is used after k, g, h ([qʰ], [q], [χ]).[2]
‍ᡝ᠋
ᡳ᠊ ᠊ᡳ᠊ ᠊ᡳ i [i] 1873
᠊ᡳ᠋᠊ ᠊ᡳ᠋
ᠣ᠊ ᠊ᠣ᠊ ᠊ᠣ o [ɔ] 1823
᠊ᠣ᠋
ᡠ᠊ ᠊ᡠ᠊ ᠊ᡠ u [u] 1860
??
ᡡ᠊ ᠊ᡡ᠊ ᠊ᡡ ū/uu/v [ʊ]
᠊ᡟ᠊ ᠊ᡟ y/y/i' [ɨ] 185F Used in Chinese loan words.
ᡳᠣᡳ ᡳᠣᡳ᠊ ᠊ᡳᠣᡳ᠊ ᠊ᡳᠣᡳ ioi [y] Used in Chinese loan words.
Consonants [3]
ᠨ᠊ ᠊ᠨ᠋᠊ ᠊ᠨ ᠊ᠨ᠋ n [n] 1828 First medial form is used before vowels; second is used before consonants
᠊ᠨ᠊
᠊ᠩ᠊ ᠊ᠩ ng [ŋ] 1829 This form is used before consonants
ᡴ᠊ ᠊ᡴ᠊ ᠊ᡴ k [qʰ] 1874 First medial form is used before a o ū; second is used before consonants
᠊ᡴ᠋᠊
(파일:Mongol k head.jpg) ᠊ᡴ᠌᠊ ᠊ᡴ᠋ k [kʰ] 1874 This form is used before e, i, u.
ᡤ᠊ ᠊ᡤ᠊ g [q] 1864 This form is used after a, o, ū.
g [k] 1864 This form is used after e, i, u.
ᡥ᠊ ᠊ᡥ᠊ h [χ] 1865 This form is used after a, o, ū.
h [x] 1865 This form is used after e, i, u.
ᠪ᠊ ᠊ᠪ᠊ ᠊ᠪ b [p] 182A
ᡦ᠊ ᠊ᡦ᠊ p [pʰ] 1866
ᠰ᠊ ᠊ᠰ᠊ ᠊ᠰ s [s], [ɕ] before [i] 1867
ᡧ᠊ ᠊ᡧ᠊ š [ʃ], [ɕ] before [i] 1867
ᡨ᠋᠊ ᠊ᡨ᠋᠊ t [tʰ] 1868

First initial and medial forms are used before a, o, i;
second medial form is used before consonants;
third medial forms are used before e, u, ū

᠊ᡨ᠌᠊ ᠊ᡨ
ᡨ᠌᠊ ᠊ᡨ᠍᠊
ᡩ᠊ ᠊ᡩ᠊ d [t] 1869

First initial and medial forms are used before a, o, i;
second initial and medial forms are used before e, u, ū

ᡩ᠋᠊ ᠊ᡩ᠋᠊
ᠯ᠊ ᠊ᠯ᠊ ᠊ᠯ l [l] 182F Initial and final forms usually exist in foreign words.
ᠮ᠊ ᠊ᠮ᠊ ᠊ᠮ m [m] 182E
ᠴ᠊ ᠊ᠴ᠊ c/ch/č/q [t͡ʃʰ], [t͡ɕʰ] before [i] 1834
ᠵ᠊ ᠊ᠵ᠊ j/zh/ž [t͡ʃ], [t͡ɕ] before [i] 1835
ᠶ᠊ ᠊ᠶ᠊ y [j] 1836
ᡵ᠊ ᠊ᡵ᠊ ᠊ᡵ r [r] 1875 Initial and final forms exist mostly in foreign words.
ᡶ‍ ‍ᡶ‍ f [f] 1876 First initial and medial forms are used before a e;

second initial and medial forms are used before i o u ū

ᡶ᠋‍ ‍ᡶ᠋‍
ᠸ᠊ ᠊ᠸ᠊ v (w) [w], [v-] 1838
ᠺ᠊ ᠊ᠺ᠊ k'/kk/k῾/k’ [kʰ] 183A Used for Chinese k [kʰ]. Used before a, o.
ᡬ᠊ ᠊ᡬ᠊ g'/gg/ǵ/g’ [k] 186C Used for Chinese g [k]. Used before a, o.
ᡭ᠊ ᠊ᡭ᠊ h'/hh/h́/h’ [x] 186D Used in Chinese h [x]. Used before a, o.
ᡮ᠊ ᠊ᡮ᠊ ts'/c/ts῾/c [tʂʰ] 186E Used in Chinese c [t͡ʂʰ].
ᡯ᠊ ᠊ᡯ᠊ dz/z/dz/z [t͡s] 186F Used in Chinese z [t͡s].
ᡰ᠊ ᠊ᡰ᠊ ž/rr/ž/r’ [ʐ] 1870 Used in Chinese r [ʐ].
ᡱ᠊ ᠊ᡱ᠊ c'/ch/c῾/c’ [tʂʰ] 1871 Used in Chinese ch [tʂʰ] and chi/c'y [tʂʰɨ]
ᡷ᠊ ᠊ᡷ᠊ j/zh/j̊/j’ [tʂ] 1877 Used in Chinese zh [tʂ] and zhi/j'y [tʂɨ]
  1. Gorelova, L: "Manchu Grammar", page 59. Brill, 2002.
  2. Gorelova, L: "Manchu Grammar", page 53. Brill, 2002.
  3. Gorelova, L: "Manchu Grammar", page 70. Brill,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