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 문자
파일:Burmese script sample.svg
원래 이름 မြန်မာအက္ခရာ
유형 아부기다
표기 언어 버마어
사용 시기 984년 또는 1035년 ~ 현재
계통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그란타 문자
     몬 문자
      버마 문자


틀:버마 문자 버마 문자(မြန်မာဘာသာ: မြန်မာအက္ခရာ; IPA[mjəmà ʔɛʔkʰəjà])는 아부기다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며, 버마족들이 사용한다.

기본적으로는 버마어 체계에서 쓰이는 문자이지만 몬 어, 샨 어, 카렌어가 속해 있는 카렌어족, 파라웅 어, 카야어 및 미얀마 인근 언어 체계에서 쓰이는 철자이다. 이를 반영하여 유니코드에도 관련 어휘가 쓰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의식용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에도 사용된다.

문자는 동그란 모양을 띠고 있는데 전통적으로 야자수 잎이 연필과 같은 필기구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를 할 필요가 없다. 단, 현대식 글쓰기에서는 가독성 배가 차원에서 각 절이 끝나면 띠운다.

버마 문자는 몬 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가장 오래된 문서는 1035년의 것으로 18세기에 돌에 새겨진 비문이 984년에 쓰여졌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 연대가 더욱 앞당겨졌다. 버마 문자는 원래 사각형 형태를 띠었지만 17세기부터 야자수잎 모양처럼 둥근 모양을 띠게 되면서 모양이 바뀌었다. 또한 음성학적으로 버마어 자체에 맞춰가면서 문자 또한 현격하게 바뀌었다.

알파벳

배치

브라흐미 문자와 같이 미얀마 문자는 파열음이 5개의 문자로 그룹을 지어 나뉘는데 이를 wek (ဝဂ်이라 부른다. 각 그룹의 첫 번째 문자는 무기음이고 두 번째 글자는 유기음, 셋, 넷째 글자는 유성음, 다섯 번째는비강음이다. 33개 문자 중 25개 문자는 이 원리를 지켜서 구성되며 팔리어의 규칙과 동일하다. 나머지 문자 , , , , , , , )는 번외이며 다른 규칙을 특별히 따르지 않는다.

문자

초성자음이나 여러 자음이 함께 기능하며 다음에 모음이 와서 하나의 음절이 된다. 다른 아부기다 문자와 같이 모음은 발음구분 기호가 자음의 위, 아래, 앞, 뒤에 표시되어 있어 성조가 구분된다. 자음은 자체적으로 아 소리를 달고 있기 때문에 모음과 결합하면서 변용되고 별도로 성조 변화 표기를 하지는 않는다.

다음의 표는 국제음성기호 상 구분한 문자이며 문자의 소리와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구성한 것이다.

명칭 자음군
무기음 (သိထိလ) 유기음 (ဓနိတ) 유성음 (လဟု) 비강음 (နိဂ္ဂဟိတ)
후두음
(ကဏ္ဍဇ)
ကဝဂ်
က /k/ /kʰ/ /ɡ/ /ɡᶢ/ /ŋ/
ကကြီး [ka̰ dʑí] ခကွေး [kʰa̰ ɡwé] ဂငယ် [ɡa̰ ŋɛ̀] ဃကြီး [ɡᶢa̰ dʑí] [ŋa̰]
구개음
(တာလုဇ)
စဝဂ်
/s/ /sʰ/ /z/ /zᶻ/ ဉ / ည /ɲ/
စလုံး [sa̰ lóʊɴ] ဆလိမ် [sʰa̰ lèɪɴ] ဇကွဲ [za̰ ɡwɛ́] ဈမျဉ်းဆွဲ [zᶻa̰ mjɪ̀ɴ zwɛ́] ညကလေး/ ညကြီး [ɲa̰ dʑí]
치경음
(မုဒ္ဒဇ)
ဋဝဂ်
/t/ /tʰ/ /d/ /dᵈ/ /n/
ဋသန်လျင်းချိတ် [ta̰ təlɪ́ɴ dʑeɪʔ] ဌဝမ်းဘဲ [tʰa̰ wʊ́ɴ bɛ́] ဍရင်ကောက် [da̰ jɪ̀ɴ ɡaʊʔ] ဎရေမှုတ် [dᵈa̰ jè m̥oʊʔ] ဏကြီး [na̰ dʑí]
치음
(ဒန္တဇ)
တဝဂ်
/t/ /tʰ/ /d/ /dᵈ/ /n/
တဝမ်းပူ [ta̰ wʊ́ɴ bù] ထဆင်ထူး [tʰa̰ sʰɪ̀ɴ dú] ဒထွေး [da̰ dwé] ဓအောက်ခြိုက် [dᵈa̰ ʔaʊʔ tɕʰaɪʔ] နငယ် [na̰ ŋɛ̀]
순음
(ဩဌဇ)
ပဝဂ်
/p/ /pʰ/ /b/ /bᵇ/ /m/
ပစောက် ([pa̰ zaʊʔ]) ဖဦးထုပ် ([pʰa̰ ʔóʊʔ tʰoʊʔ]) ဗထက်ခြိုက်‌ ([ba̰ lɛʔ tɕʰaɪʔ]) ဘကုန်း ([bᵇa̰ ɡóʊɴ]) [ma̰]
기타
규칙외
(အဝဂ်)
/j/ /jʲ/ /l/ /w/ /θ/
ယပက်လက် [ja̰ pɛʔ lɛʔ] ရကောက်‌ [jʲa̰ ɡaʊʔ] လငယ် [la̰ ŋɛ̀] ဝ‌ [wa̰] သ‌ [θa̰]
/h/ /lˡ/ /ʔ/
ဟ‌ [ha̰] ဠကြီး [lˡa̰ dʑí] [ʔa̰]
  • (gh), (jh), (), (ṭh), (), (ḍh), (), (d), and ()는 팔리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l/ 발음을 구분하기 위해 발음 구분 기호를 사용하는데 이는 현대 미얀마어에서 /y/발음으로 흡수됐다.

발음구별 구호상 결합 가능한 예는 다음과 같다.

중간 자음에 오는 발음 구별기호는 [m]
Base 문자 IPA MLCTS 비고

ya pin
မျ [mj] my 일반적으로 양순음이나 연구개음에 쓰이는 것. (က ခ ဂ ဃ င ပ ဖ ဗ မ လ သ).
구개음화되는 연구개음: ကျ (ky), ချ (hky), ဂျ (gy) 소리는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tɕ], [tɕʰ], [dʑ]
မျှ [m̥j] hmy သျှ (hsy) and လျှ (hly)는 쉬 [ʃ] 발음이다.
မျွ [mw] myw
မျွှ [m̥w] hmyw

ya yit
မြ [mj] mr 양순음과 연구개음에만 사용된다.(က ခ ဂ ဃ င ပ ဖ ဗ မ). (단,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 단어는 다른 자음에도 사용된다.)
구개음화 연구개음s: ကြ (kr), ခြ (hkr), ဂြ (gr), ငြ
မြှ [m̥j] hmr
မြွ [mw] mrw
မြွှ [m̥w] hmrw

wa hswe
မွ [mw] mw
မွှ [m̥w] hmw

ha hto
မှ [m̥] hm 다음 경우에 한정 사용된다. ငှ (hng) [ŋ̊], ညှ/ဉှ (hny) [ɲ̥], နှ (hn) [n̥], မှ (hm) [m̥], လှ (hl) [ɬ], ဝှ (hw) [ʍ]. ယှ (hy) and ရှ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