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조약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조선국의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특정인 혹은 특정 집단이 작성한 조선국의 설정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다만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베이징 조약(북경조약, 중국어: 北京條約 Běijīng Tiáoyūe)은 제2차 아편 전쟁(阿片戰爭)의 결과로, 1860년 10월 18일에 청나라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조약이다.

이 조약은 6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이 조약에 따라 청국은 영국주룽(현재의 홍콩 중심부)을 내주었으며 조선이 청나라의 조공국 질서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한편 러시아에게는 연해주를 넘겨주었다. 이로 인해 러시아가 만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영국은 청나라의 각종 이권을 빼았아 갔으며, 프랑스는 청국 영토 내에서 프랑스인의 우월함을 인정 받고 청국 영토내에서 천주교 전파 등 포교 활동의 자유를 인정 받았다.

내용

1860년 10월 18일, 청나라와 제2차 아편 전쟁을 치른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천단, 이화원, 원명원 등 베이징 주요 문화재와 주변을 약탈하고, 베이징의 자금성에 입성하였다.

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공친왕(恭親王)을 대표로 내세워 영국 대표인 엘진 경과 프랑스 대표인 그로스 남작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할 수 밖에 없었다. 또, 교전 당사자가 아니었던 러시아까지 조약을 중재했다는 핑계로 조약 당사자로 끼어들었다.

영불연합군은 유럽인 죄수들에게 청나라 관원들이 부당한 대우를 했다는 구실로 자금성을 방화할 계획이었는데(애로호 사건 참조), 조약체결 후 그 대신 이화원원명원을 불살랐다.

이 조약은 1860년 10월 24일에 자금성의 남쪽 건물에서 마무리되었다. 조약은 중국-영국, 중국-프랑스, 중국-러시아 간 조약의 형식으로 각각 맺어졌다.

공통 조약

  • 청나라가 비준을 거부한 1858년의 톈진조약 내용을 비준한다.
  • 톈진을 개항한다.
  • 외교사절의 베이징 주재를 허용한다.
  • 배상금 800만냥을 지불한다.
  • 프랑스에 대해 몰수한 가톨릭 재산 반환을 인정한다.
  • 청나라에 의한 자국민의 해외 이주 금지 정책의 철폐와 이민 승인

개별 조약

영국
1. 주롱반도 남부를 할양할 것.
2. 조선을 자주독립국으로서 인정할 것.

러시아
1. 연해주를 할양할 것.

결과

청은 열강들에게 철도 부설권 등의 수많은 이권을 강탈당하고, 상하이 등의 주요 개항장에는 울며겨자 먹기로 조차지를 내줘야 했다. 청나라 내부에서도 패전의 충격으로 중체서용(中體西用) 이란 구호아래 양무운동으로 내부 개혁을 시도하지만을 결과적으로 실패한다. 한편, 조선은 명목상으로나마 청나라의 조공 질서에 얽매였던 부분을 영국이 대신 해소해 줌에 따라 자체적인 서구화를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