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 ]
|
[ 단체 ]
|
[ 인물 ]
|
[ 기타 ]
|
|
틀:ZCanimation/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
 볼리비아 다민족국 Estado Plurinacional de Bolivia | Plurinational State of Bolivia
|
|
|
국기
|
국장
|
La Unión es la Fuerza 통합은 곧 힘
|
상징
|
국가
|
볼리비아 국가
|
역사
|
1825년 8월 6일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2009년 2월 7일 현행 헌법 제정
|
지리
|
수도
|
수크레(헌법상, 사법)
|
라파스(행정, 입법)
|
면적
|
1,098,581km²
|
접경국
|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파라과이
칠레
|
|
인문환경
|
인구
|
총
|
12,336,182명(2023) | 세계 80위
|
인구밀도
|
10.7명/km2
|
민족구성
|
원주민, 메소티소, 백인 등
|
공용어
|
스페인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 과라니어 등 37개 언어
|
종교
|
국교
|
없음(정교분리)
|
분포
|
가톨릭 73%, 개신교 17%, 무종교 10%
|
군대
|
볼리비아군
|
|
정치
|
정치체제
|
대통령제, 공화국, 연방제
|
민주주의 지수
|
4.20점, 혼합된 체제 (2023년)(167개국 중 106위)
|
국가요인
|
대통령 (국가원수)
|
알베르트 수크레
|
부통령
|
다비드 초케우앙카
|
여당
|
공화당
|
|
경제
|
명목 GDP
|
총
|
$467억
|
1인당 GDP
|
$3,857
|
GDP(PPP)
|
전체 GDP
|
$1,254억
|
1인당 GDP
|
$10,340
|
국부
|
$780억 / 세계 89위(2019)
|
통화
|
볼리비아 볼리비아노(Bs)
|
|
외교
|
대한 수교 현황
|
대한민국: 1962년 4월 25일 북한: 미수교
|
|
|
개요
역사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대부분 1차 산업과 2차 산업의 비중이 크며 천연가스, 주석, 금, 은과 같은 여러 자원들을 가공하는 산업형태를 띈다. 하지만 최근들어 우파성향의 공화당이 집권하면서 파라나강 연합 가입, 볼리비아-페루 경제공동체 조성 등, 볼리비아의 지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볼리비아를 파라과이의 뒤를 잇는 남미의 중심지로 만드는 2L[1]정책을 실행하면서 남아메리카의 떠오르는 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 ↑ 볼리비아의 수도인 라파스와 페루의 수도인 리마를 연결한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