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
가장 흔한 생태계로, 활발한 지각변동과 화산활동이 지배적인 행성의 조건상 화산지형이 매우 많다. 화산으로 인한 다양한 파생 생물군계가 존재한다.
온천 및 간헐천
지열로 가열되고 미네랄이 녹아들어 형형색색으로 빛나는 온천 지형과 압력으로 인해 지하수가 분출되는 간헐천 지형등은 대체로 겹쳐져있다. 다만 멘틀 내 중금속과 유황 등의 독성 물질이 섞여들어 있기 때문에 외부 생태계의 생물들은 쉽사리 적응할 수 없으며, 광범위한 온천 지대의 유황 가스나 열기 등에 적응한 고유항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다.
동굴
화산활동 과정에서 산성 지하수와 지진 등으로 인해 생겨난 동굴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잦은 지진 등으로 인해 동굴이 무너지고 다시 생겨나는 만큼 육상생물의 살기에는 부적합하다. 박쥐나 벌레, 벽을 탈 수 있는 도마뱀, 무너진 암반 등의 틈을 파고들며 굴을 팔 수 있는 소형 설취류 등이 지배적으로 서식한다. 이런 동물들은 동굴의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여 눈이 퇴화하였거나, 자체적인 발광능력을 지니도록 진화하였다.
용암지대
상시 용암이 흘러나와 용암천, 용암호수 등이 자리잡고 있는 지형. 굳어서 식은 화산암에 주로 생존하고 있다. 용암의 열기를 버틸 수 있는 내열성 가죽을 가지고 있는 포유류와 파충류가 주로 서식한다.
화산재
자주 폭발하는 화산 인근에 위치한 지형으로, 지속적으로 화산재가 공급되기 때문에 하늘은 칙칙하고 어두우며 상시 영하의 추운 온도를 가진다. 냉기를 피하기 위해 대부분 생물종은 수분을 이용해 화산재를 다지고 땅굴을 만들며, 깊게 파고들어 지열을 이용한다. 산성 화산재가 대기 중에 섞여있기 때문에, 서식하는 동물 대부분은 특수한 수염과 점막을 갖추고 있으며, 초식동물은 화산재에 묻혀서도 자라나는 이끼나 곰팡이, 균류 등을 먹는다.
영구지진
영구적인 지진으로 인해 대지는 끊임없이 뒤흔들리고 부서지며 뒤섞이기에 흙은 대체로 무른 편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대형 동물보단 소형 동물이 살아남기 유리하다. 조류와 설치류, 소형 영장류 등이 지배적이며, 지형 내의 비교적 안정적인 영역은 상대적으로 강력한 지형 내 상위포식자가 자리잡고 있다. 지진으로 인해 수자원은 지하수로 다 빠지고, 지하수의 물을 퍼올려 광합성하는 기다란 갈대 식물이 도처에 널려 있다. 영구지진 지형에 자리잡은 동물들은 이 갈대식물을 통해 수분을 공급받는다.
간헐적 수해
지진성 해일로 인해 간헐적으로 물에 잠기는 지형. 갯벌과 유사하지만, 단순히 물이 차오르는 것과는 다르게 강력한 너울성파도로 휩쓸어가는 것이기에 갯벌에 적응하는 방식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지형은 해안과 가까운 곳에 따라 n주기적으로 일어나며, 해일의 범위와 강도가 그 때마다 다르기에 지형은 해안과의 거리마다 유의미한 차이를 가진다.
호우
극단적으로 비가 많이 오는 지형. 퇴적층이 쌓이고 다시 쓸려나가며 수면 위의 지표면은 시시각각 유동적으로 변하며, 호우로 인해 대부분의 식물이 쓸려나간다.
화산활동의 지열로 인해 인근의 호수 지형이 모두 증발하고, 지열로 인한 상승기류와 고지대로 인한 기압차이 조건이 맞물리며 호우 생물군계가 완성된다. 이러한 특수한 조건을 갖춘 지형은 드물기에, 호우 지형은 극히 적을 뿐더러 외부와 사실상 고립되어 있다.
수위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 다른 지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화산활동에 의한 지진의 여파로 파도가 생성되며 물살이 시시각각 변하며, 이로 인한 퇴적층의 변화가 일어난다.
산성호수
특징: 화산 폭발 후 분화구에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입니다. 화산 가스가 녹아 있어 물이 산성 또는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수온이 매우 높거나 변동이 심할 수 있습니다. 생물군: 이곳에서는 극단적인 화학적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들이 주로 서식하며, 독특한 수중 생태계가 발달할 수 있습니다. 일부 특수한 물고기나 양서류가 독성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검은사막
특징: 화산 활동으로 인해 분출된 검은 화산암이 풍화되고 분쇄되면서 형성된 사막입니다. 검은 모래는 높은 열을 흡수하며, 낮과 밤의 기온 차가 매우 큽니다. 생물군: 이 지역에서는 낮에는 모래 속에 숨어있다가 밤에 활동하는 동물들이 주로 서식합니다. 극한의 건조 환경에 적응한 다육식물과 짧은 생애주기를 가진 식물들이 주로 서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