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중국어: 諡號)는 죽은 군주나 신료를 기리기 위해 붙인 칭호 혹은 이름이다.

개요

벼슬한 사람이나 관직에 있던 선비들이 죽은 뒤에 그 행적에 따라 국왕으로부터 받는 이름이나 혹은 선대 군주가 붕어한 다음에 후대 군주가 선대에 올리는 호칭을 말한다. 죽은 이의 삶이나 업적을 평가하고 기리기 위한 호칭이며, 삶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시호에 사용되는 글자들에게는 모두 엄격한 의미가 정해져 있다. 이러한 의미에 대해서는 시법을 참조.

군주의 시호는 00왕 혹은 00제(00황제)가 되며, 신료는 그 봉작에 맞춰, 00공 혹은 00후가 된다. 다만, 00왕이라고 하여 모두 시호인 것은 아니며 시호가 사용되기 이전의 국왕이나 멸망한 국가의 마지막 군주는 대부분 시호를 붙여줄 사람이 없어 시호 없이 '이름 + 왕'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고구려의 보장왕과 백제 의자왕의 경우가 대표적.

중국과 한국, 베트남 및 해성국을 비롯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양(煬)자를 피하는 경우가 많으며, 황제라는 호칭이 생긴 이후로는 이 '양'자가 최악의 폭군으로서 붙이는 호칭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좋지 않는 시호중에는 영(靈)과 려(厲)가 있다. '영'의 경우에는 암군, '여'의 경우에는 국민을 도탄에 빠뜨렸단 의미가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수나라의 양제를 비롯한 초나라의 영왕, 진나라의 영공 및 주나라의 여(려)왕이 있다.

폭군이거나 신하들에 의해 재위 중 폐위된 군주는 시법을 적용치 않고 '폐(廢)'를 넣는 경우도 있다. 삼국 시대 위의 폐제, 남북조시대 송(육조)의 전폐제, 발해의 폐왕 대원의 등등이 대표적.

해성국의 경우

해성국의 경우에는 시호를 내리는 방법이 체계화되지 않았기에 최초의 관찬사서로 불리는 해고정기에 등장하는 군황(君皇, 매금왕의 또다른 칭호)의 시·존호는 추호(推號)와 시호(諡號)로 구분된다. 추호의 경우에는 문인 김삼련(金三聯)이 지어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인무 군황을 이후로 본격적으로 시법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대천쇄신(大天刷新) 이후로는 본격적인 연호 사용법이 정착되었다. 때로는 능호(陵號)의 지명을 시호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이 점은 고구려와 일본의 존시법과 비슷한 형식이라는 것. 중국의 연호를 사용치 않고 일본과 같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던 해성국이었기에, 이들 군황을 언급할 때 연호를 시호 대신으로 부르기도 했다.

이러한 방법은 일종의 '별칭'이었고 시호 자체에 대해서는 꼬박꼬박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18세기를 이후로 일세일원제가 도입되어 군황이 재위하는 중에 하나의 연호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정착되었다. 일세일원제를 도입했던 진헌 군황(進憲 君皇)이 사망하자, 연호인 '진헌(進憲)'이 시호 대신 추시되었으며, 이후의 군황들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추시가 이루어져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