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 창작 작품 | ||||||||
---|---|---|---|---|---|---|---|---|
[ 세계관 프로젝트 ]
[ 그외 세계관 ]
| ||||||||
기여 작품 보러가기 |
[ 언어별 명칭 ]
| |||||||||||||||||||||||||||||||||||||||||||
아이펠루스: 또 다른 세계 Eipellus: The Other Idea | |||||||||||||||||||||||||||||||||||||||||||
---|---|---|---|---|---|---|---|---|---|---|---|---|---|---|---|---|---|---|---|---|---|---|---|---|---|---|---|---|---|---|---|---|---|---|---|---|---|---|---|---|---|---|---|
![]() | |||||||||||||||||||||||||||||||||||||||||||
[ 이전 로고 ]
| |||||||||||||||||||||||||||||||||||||||||||
분류 | 세계관 프로젝트(프로젝트 판타지)[2] | ||||||||||||||||||||||||||||||||||||||||||
명칭 | 아이펠루스(Eipellus) | ||||||||||||||||||||||||||||||||||||||||||
장르 | 소드 앤 소서리, 톨킨류 하이 판타지 | ||||||||||||||||||||||||||||||||||||||||||
창작자 | KimChan | ||||||||||||||||||||||||||||||||||||||||||
기여자 | 닷[3] 외 3인[4] | ||||||||||||||||||||||||||||||||||||||||||
상징색 | #FFC800
| ||||||||||||||||||||||||||||||||||||||||||
플랫폼 | |||||||||||||||||||||||||||||||||||||||||||
문서수 | |||||||||||||||||||||||||||||||||||||||||||
링크 | ![]() |
세계관 탄생 | ||
---|---|---|
에버노트 | 위키독 | 제이위키 |
D+1922 | D+1345 | D+1034 |
2020.1.20 | 2021.8.19 | 2022.6.26 |
개요
아이펠루스는 세계관 프로젝트 중 판타지를 담당하며, 김찬이 창작하고 그를 포함한 몇 명의 기여자가 함께하는 가상의 세계관이다. 김찬의 제이위키 데뷔작이기도 하다.
이 문서는 아펠로도 들어올 수 있지만, 아펠이 아이펠루스의 공식 약칭은 아니다.
역사
가장 처음 아이펠루스라는 이름이 나온 것은 2019년 5월 10일에 에버노트에서 생성된 문서였다. 지금처럼 판타지 세계관의 국명으로 짜여졌지만 당시에는 제국이 아닌 왕국이었으며, e에도 움라우트가 붙어 Eipéllus로 표기했었다.
초대 황제인 가네사 아이펠루스는 똑같았지만 중간에 미들네임으로 '폰'이 붙었었다. 지금처럼 5천 년의 역사와 71대째의 황위가 아닌 천 년의 역사와 46대째의 왕위를 가지고 있고 패권국·최강국의 위상은 같다. 그 이유는 마법 활용력. 가네사가 처음으로 마법을 각성하여 쭉 이어왔기 때문이라고.
더 자세한 내용은 에버노트 문서 참고.
그리고 2020년 1월 21일 플뤼겔 문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아이펠루스 세계관 구축이 시작되었다. 플뤼겔과 그 길드마스터도 다른 세계관에 있던 것을 다듬어 가져온 것.
세계관의 주인공 격인 세이넬 아르젠베르크 문서는 같은 해 4월 3일에 만들어졌다.
2021년 8월 20일에 위키독에서 아이펠루스 위키가 만들어졌다.
제이위키에서의 역사는 2022년 6월 26일에 파일:Eipellus.svg를 업로드한 것이 최초이다.[10]
[ 펼치기 · 접기 ]
|
2022년 10월 29일에 1차 공식 로고가 제작되었다. 이전에 쓰던 임시 로고는 이미 있던 그림을 로고처럼 꾸민 것에 불과하나 로고로 쓰이기 위해 그려진 그림은 이게 최초이므로 1차 공식 로고다. 이 문서의 맨 위에서도 볼 수 있다.
2022년 11월 4일, 부제인 또 다른 세계(The Other Idea)가 생겼다. 현실 세계와는 다른 아이펠루스의 모습을 암시한다. 여기서 세계로 쓰인 Idea는 영단어 아이디어가 아니라 플라톤 철학에 등장하는 이데아에서 따왔다. 사실 이데아도 세계라고 번역하기 난감한 개념이지만, 간단히 형상이나 문학의 논리적 구조를 의미하는 이데아의 비유적 쓰임이다.
장르
소드 앤 소서리(Sword and Socery)와 톨킨류 하이 판타지(Tolkien's High Fantasy)[11]를 표방하고 있다.
서브컬처에서 흔하게 연상할 수 있는 검과 마법, 기사와 마법사, 모험과 길드가 등장한다. 중세시대 유럽풍의 건축 양식과 생활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으레 그렇듯이 과학 기술력은 처참한 편이다. 그 자리를 마법이 대신하는 중.
인간 이외에도 인간과 비슷한 외형을 가진 수많은 인외 종족이 있다. 이 또한 클리셰와 같은 엘프, 오크, 마족, 드래곤 등이다.
이 장르라는 것은 세계관의 배경을 나타내기 위함일 뿐, 이 세계관은 스토리가 존재하거나 목적성(게임, 소설 등)이 있는 세계관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장르는 존재하지 않는다.
세계관
설정
등장인물
구분자가 있는 문서
파일
왓이프
평가
4.19 | ★★★★★ |
별점 부여하러 가기 |
토메이토
※ 틀:인용문1을 이용하여 이 위에 직접 자신의 평가를 작성하여도 좋습니다.
제이위키 대문에 2022년 신규 판타지 세계관으로 등록되었다. 위키독 시절부터 즈바이란트 세계관 탄생에 동기를 부여한 세계관이기도 하다.
아쉽게도 2022 연말시리즈 후보에는 올랐으나 득표가 부족하여 순위권에 당선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 창작자가 대신 창작자 부문에서 5위에 수상하였으며 여전히 나무위키 애니 문서 보듯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세계관 정도의 입지는 가지고 있다.
기여 목록
아이펠루스의 기여자 |
---|
[ 펼치기 · 접기 ]
|
+ | 설정 | 디자인 | 인물 |
kimchan_ | 모든 설정[참고 1] | ||
_k1owx0 | |||
_I3REW9 | |||
2nvy | [ 보기 ] | ||
_374HX7 | [ 보기 ] | ||
둘러보기
- ↑ 음역(音譯)한 것. 발음은 아이패루수.
- ↑ 가상의 세계관
- ↑ 창작자가 꼬셔서 제이위키에 오게 된 창작자의 위키 외부 지인. 외 3인도 제이위키에만 없을 뿐 모두 마찬가지다.
- ↑ 그러나 이 4명은 사실상 세계관 설정에 맞춰 자신의 자캐를 최소 한 명 이상 창작한 정도에 불과하다. 그나마 넷 중 한 명이 각종 제복 등 여러 디자인이나 베네볼란 극단 등 독창적인 설정 하나를 만들어 얹은 게 전부. 자세한 기여 내역은 아래 기여 목록 문단 참고.
- ↑ 직접적으로 세계관 및 인물과 관련된 설명, 서술 위주
- ↑ 세계관 속 인물을 봇으로 운영 위주
- ↑ 7.0 7.1 최종 문서수. 이주 후 업데이트 중단.
- ↑ 작성해야 할 문서까지 더하면 이보다 많다.
- ↑ 이 문서로 연결된다.
- ↑ 정작 최초 업로드한 파일은 쓰이지 않고 결국 2023년 7월 25일 미사용 파일로 삭제되었다.
- ↑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서 비롯한 판타지 장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