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실용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실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수정이나 왜곡은 불가합니다.

중국티베트어족
[ 펼치기 · 접기 ]
오어
Wu Language
원어명칭 吳語
서자방향 좌횡서, 우종서
문자 한자
지역 중국 상하이, 저장성 일대
사용국가 중국
원어민 약 7700만여 명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ISO 639-3 wuu

개요

우어 또는 오어는 중국 상하이와 저장성 일대에서 사용되는 중국티베트어족 계통의 중국의 소수언어이다. 오어의 한자는 오어(吳語)인데 즉, 오나라 말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오나라가 오어가 사용되는 저장성지역에 있었다.

중국어의 다른 주요 방언이 한 성의 일부만을 차지하거나 여러 성에 걸쳐 있는 데 비해서 우어 지역의 경우는 저장 성 경계와 비교적 일치도가 높다. 따라서 '오어=저장 말'이라고 하는 도식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그러나 저장 성 사람만 오어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서쪽으로 저장 성 경계를 넘어 안후이성, 장시성 일부에서도 사용되며 무엇보다도 저장 성과 가까운 장쑤 성 남부 난퉁(南通), 쑤저우(蘇州), 우시(無錫) 등의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장강을 기준으로 남쪽에 있는 장쑤성, 안후이성과 저장성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한편 같은 오어라도 상하이 방언과 저장 성 남쪽 끝의 원저우 방언은 통역 없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 오어와 오어가 아닌 방언 사이에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안 되는 건 두말할 것도 없다.

글자

중국 내 오어화자는 한자를 쓴다. 그러나 관화나 광동어가 그렇듯 우어에서만 쓰이는 방언자가 수두룩하다.

오어에서 사용되는 글자로는 “嘸”, “吤”, “𠮶”, “搿”, “咾”, “㑚”, “吇”, “朆”, “瀊”, "瀴", "嗰" 등이 있는데, "嗰", "朆", "瀴" 등 몇 개는 네이버 중국어 사전에서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중국어 방언의 경우 입말을 입 구(口)자 변을 쓰는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한자들은 표준중국어에서는 사실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자 중 일부는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선(중국 대륙의 GB 2312나 대만의 Big5) 입출력도 안 된다.

상해어


上海話/上海话 혹은 上海閒話/上海闲话. 말 그대로 상하이 지역의 방언으로써 오어의 일부이다. 상하이가 국제적인 대도시인 만큼 해외에 가장 널리 알려진 우어 방언이기도 하다.

상하이어의 음거성과 음입성은 다음절 언어에서 그 변별력을 상실해버리고 완전히 동일하게 발음된다. 그러므로 각 성모당 성조의 최소대립쌍은 2개밖에 없는 것이고(음성은 무성음, 양성은 유성음과만 결합하므로), 양성조의 경우 입성 여부는 뒤에 성문음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만 결정되기 때문에 사실상 유성음은 성조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그리고 표준중국어나 대만어와 마찬가지로 변조(變調, 성조의 변화)가 있는데, 양상이 전혀 다르다. 상해어에서는 단어나 구에서 맨 앞 음절만 본연의 성조를 유지하고 나머지 음절은 2번째 음절부터 마지막 음절까지 순차적으로 내려가는 형태를 띤다. 즉, 2음절부터는 본연의 성조가 완전히 무시되는 것이다. 


여담

국민당의 장제스의 모어가 이 언어였다. 장제스의 중일전쟁 승리 축하 연설을 들어보면 표준중국어로 연설하지만 발음이 좋지 않은데 모어가 오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1990년대 오어가 모어인 장쩌민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중국어의 방언에 능했던 김일성과 오어로 회담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그 외 유명한 오어 사용자로는 투유유와 천싱선, 장이탕, 왕징웨이, 장징궈 등의 인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