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부대명 부대통칭 창설일 해체일 편성지역 소재지 상급부대 부대별칭
만주군 - 1904.06.20 1905.12.20 펑톈 전시대본영
관동군 1919.04.12 종전 신징 대본영
지나파견군 1939.09.12 종전 난징 대본영
남방군 1941.11.06 종전 달랏 대본영
제1총군 東方 1945.04.07 종전 도쿄 대본영 1GA
제2총군 西方 1945.04.07 종전 히로시마 대본영 2GA
항공총군 1945.04.07 종전 도쿄 대본영
방위총사령부 1941.07.07 1945.04.07 도쿄 대본영

방면군

부대명 부대통칭 창설일 해체일 편성지역 소재지 상급부대 부대별칭
북지나방면군 1937.08.26 종전 베이징 지나파견군 NCHA
중지나방면군 1937.10.30 1938.02.14 난징 대본영
남지나방면군 1940.02.10 1941.06.24 광둥 지나파견군
제1방면군 1942.07.01 종전 둔화 관동군 1HA
제2방면군 1942.07.01 1945.06.22 아이퐁 남방군 2HA
제3방면군 1943.10.29 종전 펑톈 관동군 3HA
제5방면군 1944.03.10 종전 삿포로 대본영 5HA
제6방면군 1944.08.25 종전 한커우 지나파견군 6HA
제7방면군 1944.03.22 종전 싱가포르 남방군 7HA
제8방면군 1942.11.09 종전 라바울 대본영 8HA
제10방면군 1945.02.01 종전 타이베이 대본영 10HA
제11방면군 1945.02.01 종전 센다이 제1총군 11HA
제12방면군 1945.02.01 종전 도쿄 제1총군 12HA
제13방면군 1945.02.01 종전 나고야 제1총군 13HA
제14방면군 尚武 1944.07.18 종전 루손 섬 남방군 14HA
제15방면군 1945.02.01 종전 오사카 제2총군 15HA
제16방면군 1945.02.01 종전 후쿠오카 제2총군 16HA
제17방면군 1945.02.01 종전 서울 관동군 17HA
제18방면군 1945.07.14 종전 방콕 남방군 18HA
미얀마방면군 1943.03.18 종전 모르멘 남방군

사단 편제

진대 편제

도쿄 진대
└보병연대(도쿄 소재, 각 보병대대 2개)
└보병연대(사쿠라 소재)
└보병연대(니가타 소재)
└기병대대 2개
└포병소대 2개
└공병소대
└치중대
└예비포병소대 4개
└해안포대 (시나가와, 요코하마, 니가타 소재)

청일 전쟁 시기 사단 편제

○○사단 [사단 총원 18,000명, 군마 약 5,500필]
└사단사령부(175명, 95필)
└보병여단(5,806명, 752필), 여단사령부((14명, 9필) - 보병연대(2,896명, 188필) 2개 - 보병대대 3개 - 보병중대 4개 [1]
└보병여단(5,806명, 752필), 여단사령부((14명, 9필)
└기병대대(509명, 488필) - 기병중대 3개
└야포병연대(1,267명, 944필)-야포병대대 2개, 산포병대대 1개 – 각 2개중대
└공병대대(525명, 239필) - 공병중대2개
└대가교종열(大架橋縱列, 336명, 239필)[2]
└소가교종열(120명, 78필) └탄약대대(1,505명, 1,287필)
└치중병대대(輜重兵, 1,328명, 1,345필)[3]
└위생대(416명, 51필)
└야전병원(116명, 44필) 6개

러일 전쟁 시기 사단 편제

○○사단 [사단 총원 18,360명~18,400명, 5020~5490필]
└사단사령부(230병, 120필) └보병여단(5,817명, 443필) 2개–보병연대(2919명, 216필) 2개–보병대대 3개–보병중대 4개, 여단사령부(19명, 11필)
└갑종 기병연대(724명, 679필)-기병중대 4개 ※을종 기병연대(519명, 484필)-기병중대 3개
└야포병연대(1,190명, 1,047필)-포병대대 3개-포병중대2개 ※산포병연대(1,369명, 782명)
└공병대대(788명, 110필)
└가교종렬(345명, 216필)
└갑종 탄약대대(741명, 562필)
└갑종 치중병대대(1,530명, 1,186필)
└위생대(487명, 60필)
└야전병원(104명, 28필) 6개

1941년 중일전쟁 이후

제 18사단[4] 사단 총원 21,710명, 말 5550필, 자동차 50대
└사단 사령부(330명, 165필, 4대)
└보병여단(7,103명, 874필) 보병여단 사령부(65명, 16필)
└보병연대(3525명,429필) 2개-연대본부, 기관총중대, 보병대대 3개-보병중대 4개, 기관총중대)
└산포병연대(2407명,1402필,34대)-연대본부, 연대단열, 산포대대 3개-산포병중대3개, 대대단열
└기병대대(451명, 431필)-기병중대 2개, 기관총중대
└공병연대(672명, 99필)-공병중대 2개
└치중병연대(1898명, 1451필, 2대) - 만마(輓馬)중대 4개, 마창(馬廠)
└사단통신대(245명, 45필)
└사단병기근무대(121명, 11대)
└사단위생대(1095명, 128필)
└사단야전병원(236명, 75필) 3개
└사단병마창(病馬廠, 48명, 5마리)


  1. 1개 보병여단은 보병연대 2개, 보병대대 6개, 보병중대 24개로 이루어진 셈이다.
  2. 가교종열은 현대 공병들이 담당하는 가교 건설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3. 치중병대는 보급부대를 의미한다.
  4. 제 18사단 문서에 지휘관 및 정확한 부대명칭이 상술되어 있다. 1945년 일본제국의 항복 시기의 편제를 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