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아마추어 시절
대용 비터즈
2013년
입단 당시 노장이자 전설이었던 최주환의 후계 3루수로 기대를 모았다.
최주환을 밀어내고 2013년 3루수로 선발출장을 시작하고, 공수 여러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2013년 시즌 후 최주환이 은퇴를 선언하며 일찍 주전 3루수로 자리를 잡았다.
2014년 개막전에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6월 10일 3개의 실책을 범하며 수비에서 완전히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며 수비에선 대차게 욕을 먹었다.
결국 7월에 2008년 입단한 김재민에게 밀려나며 지명타자로 가끔 선발출장하다가, 8월부터는 대주자로 기용되다 시즌을 마쳤다.
2015년
2015년 내야수 신인들이 대거 입단, 당시 감독이던 김광수 감독이 무한경쟁을 선언하면서 비터즈의 3루수 포지션은 무한경쟁에 접어들었다. 박진서, 이수정이라는 신인 2명과 2008년 입단한 선배 김재민과 내야 경쟁을 펼치게 된 정익현에게는 어쩌면 마지막 기회였다.
6월까지 3명의 3루수들과 무한경쟁을 벌이며 타율 전반기 .253, 2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주전 3루수 후보 4명 중 정익현이 전반기 성적이 제일 높았고, 계속된 3루수 경쟁 끝에 7월부터 정익현이 주전으로 다시 낙점받았다.
주전으로 다시 자리잡은 후 2013년과 다르게 후반기에는 주전 3루수로서의 할 일을 다했다. 최종성적은 82경기 58안타 2홈런.
2016년
무한경쟁 끝에 다시 주전 3루수가 된 이후 보낸 첫 시즌.
개막전 1번타자로 출장한 후, 줄곧 리드오프로 출장하기 시작했다.
5월 15일 팀이 지고있던 상황에서 데뷔 첫 3루타를 때려내며 역전에 성공시키며 해결사로 떠올랐다.
5월 18일 한 경기 5타점을 기록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5월 21일 내야 플라이를 2번이나 놓치는 실책을 범했다. 이후 8회에 박진서로 교체되었다. 수비에선 아직 부족한 모습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6월부터는 3번으로 출장하기 시작했고, 장타를 많이 쳐내며 타점을 많이 쌓아 타점기계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6월 15일 2사만루 상황에서 평범한 땅볼 타구를 잡고 악송구를 해 가뜩이나 큰 점수차로 지고있던 팀의 사기를 더 떨어뜨렸다. 결국 8회 김재민으로 교체됬다.
전반기에는 치지 못했던 홈런을 후반기엔 하나 둘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7월 19일 대형 쓰리런포를 때려내며 역전승을 이끌었다.
2016년 최종성적은 140경기 129안타 3홈런 53타점.
타격에서 엄청난 폭발력을 보이며 나름 쏠쏠하게 활약했던 시즌이다.
그러나 수비에서는 아직까지 썩 좋지 못하다는 평가다. 전경기 실책이 있던없던 8회엔 항상 김재민, 박진서, 이수정 3명 중 1명이 대수비로 투입됬다.
2017년
2016시즌 리드오프로 출장한 후, 2번에서 더욱 좋은 성적을 기록했기에, 2017시즌부터 2번 타자로 고정 출장했다.
아직까진 수비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타격에선 크게 활약해주고 있다.
4월 12일 만루홈런으로 4타점을 기록했다.[1]
4월 29일 투런홈런 1개 포함 4타점을 기록했다.
이후 6월 18일 솔로포 1개, 쓰리런홈런 1개 포함 8타점을 기록하며 타점을 계속 쌓으며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8월 1일 5타수 5안타 2홈런 5타점와 함께 현역 첫 싸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2]
이렇게 싸이클링 히트까지 기록하며 타격에선 크게 기여했지만 수비에선 아직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작년 시즌과 다르게 8회 이후에 김재민 등의 백업선수들이 대수비로 올라오기도 했고 선발출장을 못한 경기도 있었다.
2017년 최종성적은 139경기 109안타 7홈런 95타점. -5타점 차이로 100타점을 아쉽게 넘기지 못했다.
2016년 3번 타순으로 출장하며 얻었던 타점기계라는 별명을 기정사실화 시킨 시즌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수비에서는 여전히 아쉬웠던 시즌이다.
2018년
2017시즌 종료 후, 자신의 대선배이자, 같은 포지션이었던 최주환이 주루코치로 팀에 복귀했다.
최주환 코치가 시즌 전에 수비에 대한 많은 조언을 해줬다고 한다.
개막 이후 4월까지는 지명타자로 출장하며 3루수 자리를 잠시 내주었다. 지난 두시즌에서 보여준 수비에서의 문제를 보고 결정한 듯 하다.
5월부터 다시 3루수로 복귀했다. 3~4월에 지명타자로 출장하면서 최주환 코치와 따로 만나 수비를 배웠다고 한다.
최주환 코치가 전수해준 수비의 결과는 완벽했다. 수비실책이 예전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고, 수비에서 크게 활약해주었다.
타격에서는 6월까지 12홈런 57타점을 기록하며 작년에 이어 타점을 많이 쌓았다.
2018년 올스타 베스트12에 선정되었다.
7월 20일 3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다.
8월 9일 6타점을 기록했다.
9월 15일 첫 20홈런-100타점을 기록했다. 타격과 수비에서 모두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팬들은 최주환 코치만 있으면 성장하는 정익현을 정최현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정규시즌 최종성적은 140경기 131안타 21홈런 107타점.
2018년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을 수상하며 인생 첫 골든글러브까지 얻었다.
2019년
2019시즌부터 내야의 여러 포지션에서 활약하기 시작했다.개막전 3루수로 선발출장을 했다가, 이후 유격수로 수비위치가 변경되었다. 이외에도 2루수, 1루수 등 포지션으로 수비위치가 바뀌기도 했다.
5월까지 10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올해도 20-100타점을 기록할지 기대를 받고 있다.
6월 3일, 사구를 2번이나 맞자 벤치클리어링이 일어났다. 당시 경기에서 정익현이 연타석 홈런을 기록해 점수차가 벌어졌던 상황이었다.
2019년 올스타 베스트12에 선정되어 2018년에 이어 2년 여속 올스타전에 출장했다.
7월 18일, 시즌 20호 홈런을 기록했다. 2년 연속 20-100타점까지도 얼마 남지 않게 됬다. 또, 도루도 18개를 기록하면서 20-20-100이라는 기록도 세울 지 기대되고 있다.
7월 20일, 커리어 첫 20-20 클럽을 기록했다.
8월 4일, 만루홈런과 함께 100타점을 넘기면서 20-20-100을 기록했다.
8월 24일, 3타점과 시즌 29, 30호 도루를 기록했다. 20-20-100을 기록한 이후에도 꾸준히 타점을 쌓아올리고 있다.
정규시즌 최종전에서 30호 홈런을 기록하며 30-30 클럽도 기록했다. 또한, 최종전 출장으로 커리어 첫 전경기 출장이라는 기록도 같이 세웠다.
정규시즌 최종성적은 144경기 170안타 30홈런 123타점 30도루.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혼자 9타점을 몰아쳤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크게 부진하며 팀도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첫 144경기 출장, 30-30-100이라는 대기록 달성 등 커리어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19년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을 수상받았다.
2020년
작년에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낸 만큼 올해가 더욱 기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개막전에서 직구를 다리에 한 번 맞고, 머리에 맞고 쓰러졌다. 이후 쉽게 일어나지 못했다.
개막전 1경기를 끝으로 1군에서 말소됬다. 작년에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낸 만큼 안타깝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한동안 2군에서 재활을 받으며 1군 콜업을 기대하고 있었으나, 9월 확대 엔트리에 겨우 포함되었다. 그러나 9월에도 8경기 밖에 나오지 못하며 정규시즌을 마쳤다. 최종성적은 9경기 4안타.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고 말았다.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포함됬으나, 2경기 출장 6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2021년
![]() 대용 비터즈 우승선수 2021 |
---|
최악의 시즌을 보낸 이후 다시 주전 3루수로 부활하길 바랬으나, 2020년 입단한 김기륜이 대체 주전으로 좋은 성적을 보여주며 사실상 주전으로 자리잡기 시작했고, 내야는 이미 박진서, 박시완, 김재민, 설상가상 2021년 입단한 수상익 등 자원이 넘쳐났기에 주전은 어렵게 되었다.
개막전 8회말 김기륜의 대주자로 투입됬으나, 도루를 실패하며 곧바로 물러나게 됬고, 9회초 대수비로 수상익이 투입되며 개막전을 마쳤다. 김대형 감독은 "정익현이 준비되기 전까진 김기륜 등의 자원을 활용할 것" 이라 말하며 주전 복귀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다음날 1군에서 말소되며 논란을 일으켰다.
6월 1군에 다시 등록되었다. 그리고 유격수 김지니의 백업으로 출장하기 시작했다. 6월부터 8월까지 백업으로 23경기 출장해 15안타 3타점을 기록했다.
이후 팀의 정규시즌 우승이 걸린 경기에 선발 3루수로 출장했다. 주전 기회를 다시 받게 된 것. 그러나 대부분 큰 걱정을 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이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1홈런 2타점을 기록하며 여전히 3루수로서 건재하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팀 역시 경기에서 승리하며 정규시즌 우승을 이끌 수 있었다.
이후 인별시리즈에서 주전 3루수로 출장하며 22타수 13안타 3홈런 9타점을 기록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선수생활 첫 우승을 만끽할 수 있었고, 우승반지도 얻게 되었다.
2022년
내야 유틸리티 선수인 김기륜을 차세대 3루수로 키우기 위해 22시즌부터 유격수로 보직을 변경하게 됬다. 대부분 나쁘지 않다는 입장이다. 유격수를 몇 번 본적 있기도 하고, 노쇠화되어가는 김지니를 대체할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개막전 유격수로 선발 출장했다. 4타수 2안타 1타점 기록 후 8회 김지니로 교체됬다. 무엇보다 걱정됬던 수비 분야에선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이후 김지니와 선발과 백업을 오고가며 6월까지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여주다가, 김지니의 부상으로 주전 유격수로 완전히 떠오르게 됬다. 7월 6일 빠르게 빠져나가는 타구를 몸을 던져 잡아 병살을 만들어냈다. 전반기 46경기 출장 52안타 15홈런 20타점을 기록했다.
후반기에는 유격수 포지션을 완전히 적응을 한 모습을 보이며 김지니의 빈 공백을 채웠다.
정규시즌 최종전에서 25-100을 기록하며 여전히 타점 재조기로서의 위상을 보여주었다.
정규시즌 최종성적은 118경기 134안타 25홈런 100타점을 기록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복귀한 김지니의 백업으로 10경기 출장 8안타 3타점을 기록했다.
2023년
2023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새 3루수로 수선이 들어오자, 김기륜이 백업으로 다시 밀렸고, 유격수는 여전히 김지니와 정익현이 보게 되었다.
그러나 개막전에서 수비실책 2개를 범하며 팀이 패배하게 된 원흉이 되었고, 이후 수비실책이 계속 발생하자 이경언 감독은 2021년 입단한 수상익을 유격수로 기용하기 시작했다. 다시 주전에서 밀려버리게 된 것이다.
이후 김지니와 함께 2군으로 내려갔다. 김지니는 7월 콜업되었으나, 정익현 본인은 2군에서도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 시즌이 끝날 때까지 콜업되지 못했다.
2024년
오랜만의 선발출장, 케시레스의 첫 승을 도와준 경기[3]
2024시즌에도 3월까지 2군에서 보내다가, 에드가 케시레스의 첫 경기에 출장해 호수비를 보여주며 첫 승을 도왔다. 그러나 김지니가 폭발하며 주전에서 다시 밀렸다.
5월 말엔 김기륜과 박진석이 유격수로 선발출장하면서 대주자로 밀렸다. 그러나 대주자로 7도루를 기록했다.
이후 한동안 유격수 자리가 김지니, 박시완, 수상익 등 여러 선수들이 번갈아가며 고정되지 않다가, 신인 김건우의 등장으로 주전 유격수 가능성이 더 멀어졌다. 그러나 곧바로 2루수로 물러나고, 유격수 자리는 다시 김지니와 백업으로 정익현이 투입됬다.
좋지 않던 성적 때문에 2024년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들지 못한 채 시즌을 끝냈다.
2025년
김지니의 은퇴로 다시 선발 유격수로 돌아온다는 전망이 있다. 그러나 내야 자원이 많은 만큼 정확하진 않다.
3월 9일 시범경기에서 9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했다.
개막전에서 3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3월 23일 5타수 4안타 1홈런 3타점을 기록하며 자신의 부활을 알렸다.
박준수의 부상이탈로 본 포지션이었던 3루수로 잠시 보직을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