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第二次 世界 大戰 | World War II
기간
2014년 6월 25일 ~ 2020년 9월 2일
장소
남아메리카, 남극을 제외한 지구 전역
원인
중화인민공화국의 민족주의
공산중국 중화영토 수복 기류
공산중국(본토)-자유중국(대만, 하이난) 갈등
공산중국-몽골 영토분쟁
공산중국-대한 만주 분쟁
러시아의 팽창주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벨라루스 친유럽 쿠데타
러시아-핀란드 카렐리야 분쟁
러시아-대한 만주 분쟁
공산중국-러시아 동맹
교전국
NATO & PRTO
[ 펼치기 · 접기 ]
CSTO & BTT
[ 펼치기 · 접기 ]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NATO
필립 브리들러브
커티스 스캐퍼로티
미합중국 (범민족 세계) 버락 오바마
미합중국 (범민족 세계) 도널드 트럼프
카리브 연방 (범민족 세계) 다닐로 메디나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범민족 세계) 엘리자베스 2세
프랑스 공화국 (범민족 세계) 프랑수아 올랑드
네덜란드 왕국 (범민족 세계) 빌럼알렉산더르
독일 연방 공화국 (범민족 세계) 요아힘 가우크
폴란드 공화국 (범민족 세계) 안제이 두다
헝가리 (범민족 세계) 아데르 야노시
이베리아 왕국 (범민족 세계) 펠리페 6세
이탈리아 공화국 (범민족 세계) 조르조 나폴리타노
이탈리아 공화국 (범민족 세계) 세르조 마타렐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범민족 세계) 바키르 이제트베고비치
루마니아 (범민족 세계) 클라우스 요하니스
엘라다 공화국 (범민족 세계) 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범민족 세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덴마크 왕국 (범민족 세계) 펠리페 6세
스웨덴 왕국 (범민족 세계) 칼 16세 구스타프
노르웨이 왕국 (범민족 세계) 하랄 5세
핀란드 왕국 (범민족 세계) 배이뇌 3세
아이슬란드 (범민족 세계)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발트 연합국 (범민족 세계)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발트 연합국 (범민족 세계) 케르스티 칼리울라이드

PRTO
이순진
정경두
대한합중국 (범민족 세계) 현혜황제 이선
중화민국 (범민족 세계) 마잉주
중화민국 (범민족 세계) 차이잉원
몽골국 (범민족 세계)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몽골국 (범민족 세계) 할트마깅 바트톨가
대월 연방 (범민족 세계) 레탄난
타이 왕국 (범민족 세계) 라마 10세
버마 연방 (범민족 세계) 아웅 산 수 치
말라야 연방 (범민족 세계) 무하맛 5세
비율빈 공화국 (범민족 세계) 로드리고 두테르테
자와 공화국 (범민족 세계) 조코 위도도
수마트라 공화국 (범민족 세계) 노파 이리안시아
칼리만탄 공화국 (범민족 세계) 하사날 볼키아
술라웨시 공화국 (범민족 세계) 루디 라베보
누사틍가라 공화국 (범민족 세계) 와얀 코스터
말루쿠 공화국 (범민족 세계) 무라드 이스마일
중앙아메리카 합중국 (범민족 세계) 살바도르 산체스 세렌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범민족 세계) 피터 코즈그로브
아오테아로아 (범민족 세계) 팻치 레디
파푸아뉴기니 독립국 (범민족 세계) 밥 다다에
멜라네시아 연방 (범민족 세계) 지오지 콘로테
폴리네시아 연합 왕국 (범민족 세계) 브라더슨 모에타이
기타 국가
우크라이나 (범민족 세계) 페트로 포로셴코
벨라루스 공화국 (범민족 세계) 샤르헤이 치하노우스키
바라트 연방 (범민족 세계) 람 나트 코빈드
위구리스탄 공화국 (범민족 세계) 레비야 카디르
티베트 (범민족 세계) 텐진 갸초

[ 펼치기 · 접기 ]
CSTO
아나톨리 시도로프
블라디미르 푸틴
알략산드르 루카셴카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세르지 사르키샨
데니스 푸실린
레오니트 파세치니크
아나톨리 비빌로프
펠릭스 그로모프

BTT
시진핑
알리 하메네이
하산 로하니
왕루린
응우옌푸쫑
기타 국가
토미슬라브 니콜리치
에브게니아 구출
엔리케 페냐 니에토

병력
[ 펼치기 · 접기 ]
15,000,000명
대한합중국 (범민족 세계) 12,000,000명
독일 연방 공화국 (범민족 세계) 10,000,000명
프랑스 공화국 (범민족 세계) 10,000,000명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범민족 세계) 5,000,000명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범민족 세계) 4,500,000명
중화민국 (범민족 세계) 4,000,000명
말라야 연방 (범민족 세계) 2,000,000명
비율빈 공화국 (범민족 세계) 1,900,000명
벨라루스 공화국 (범민족 세계) 1,000,000명
[ 펼치기 · 접기 ]
30,000,000명
22,000,000명
11,000,000명
5,000,000명
피해
결과
NATO-PRTO의 승리, CSTO-BTT 해체
러시아-시베리아 분리
중화인민공화국 패망, 중화민국 대륙 복귀
미국, 멕시코 합병
내몽골, 투바 몽골 편입
위구리스탄, 티베트 독립
핀란드 카렐리야 수복, 무르만스크 점령
우크라이나 영토 수복
우크라이나 벨고로드, 쿠르스크, 보로네슈 점령
벨라루스 브랸스크, 스몰렌스크 점령
돈 공화국, 쿠반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 산악 공화국 독립
영향
민족자결주의 약화, 범민족주의 강화
대한합중국의 아시아 패권 강화
자유주의 평화시대 개막
현대의 국제정세 수립
원자력의 무기화 물결

개요

제2차 세계 대전은 2014년 러시아의 벨라루스 침공을 계기로 발발한 전쟁으로 NATO&PRTO 제1세계와 CSTO&BTT 제2세계 간의 대전쟁이다. 2020년 러시아가 항복할 때까지 총 6년 동안 이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은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전쟁으로, 미국, 한국과 함께 강대국으로 군림했던 러시아와 공산중국이 몰락을 불러온 전쟁이다. 그리고 원자력 무기화 금지를 깨고 원자력 에너지가 무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서론

제2차 세계 대전은 2014년 6월 25일 러시아의 벨라루스 침공으로 시작되었다고 본다. 러시아는 이미 2014년 2월 20일 크림 위기, 2014년 4월 6일 돈바스 전쟁으로 사실상 우크라이나와 전쟁 상태였다. 그런데 러시아와 합병이 예정되어 있던 벨라루스에서 2014년 6월 10일 친유럽 쿠데타가 발생한다. 친러시아 성향의 루카셴카가 하야하면서 러시아는 유럽의 완충국을 잃게 되었다.

러시아는 동맹이었던 벨라루스가 친서방 국가가 되는 것은 두고볼 수 없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벨라루스 과도정부를 상대로 루카셴카 정부를 복원할 것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전달한다.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이런 행동이 유럽의 평화를 크게 해친게 된다고 하며 러시아를 규탄한다. 벨라루스 쿠데타 열흘이 지나고 민스크에서 벨라루스의 독립과 우크라이나의 이미 상실한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을 제외한 영토의 보전을 담은 민스크 결의안을 발표한다.

민스크 결의안 발표 닷새 뒤, 2014년 6월 25일 러시아는 벨라루스를 침공한다. NATO는 더이상 러시아의 침략 행위를 두고 볼 수 없다고 발표하며 결의안에 따라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를 NATO의 준회원국으로 받아들여 러시아와의 전쟁을 시작한다.

2014년 10월 1일 공산중국의 자유중국 침공으로 아시아에도 세계 대전의 불씨가 옮겨붙는다. 공산중국은 중화의 통일을 위해 자유중국은 무너뜨려야 하는 존재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공산중국은 항상 자유중국을 침공할 준비를 한다. 그런 와중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공산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일에 맞춰서 자유중국을 침공할 계획을 세운다. 결국 공산중국이 자유중국을 침공하며 제3차 국공내전이 발발한다.

제3차 국공내전 발생 2달 전, 세계 대전이 발생하자 한국은 아시아에서도 공산중국이 날뛸 가능성을 보고 선제적으로 자유중국을 PRTO에 가입시킨다. 대한합중국의 군사력이 막강했기에 공산중국에 대한 전쟁 억지력을 키우려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공산중국은 자유중국을 침공했고, 세계 대전의 새로운 전선이 열린다.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