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루국 대군 | |
---|---|
개루국 국왕 | |
개루왕국 태왕 | |
대성제국 황제 | |
대개루제국 태황 |
개루왕국 제32대 태왕 | |
지위 | |
재위 | 527년 8월 26일 ~ 530년 8월 26일 |
전임자 | 태령왕[3] |
후임자 | 헌조 명천제 |
태자 | 태문태자 |
태정대신 | 이중문 (527) 한국채 (527~528) 김준 (528) 이중문 (528~529) 김준 (529~530) 신변준 (530) |
이름 | |
휘 | 황수(晃粹) |
연호 | 태천(太天) |
묘호 | 없음[4] |
시호 | 없음[4] |
신상정보 | |
출생일 | 485년 1월 17일 |
사망일 | 531년 10월 15일 |
사망지 | |
매장지 | 태천제묘(太天帝墓)[4] |
가문 | 경성 방씨(京城邦氏) |
배우자 | 폐후 황씨 |
자녀 | 장남 태문태자 |
기타 친인척 | 5대조 례진왕[5] |
- ↑ 태천제는 대성제국은 개루왕국과 구분되는 별개의 국체라고 강조했고, 대수를 이어가지 않고 새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헌조 명천제는 대성제국 국체는 이어갔으나 태천제의 이런 방침은 부정했고, 제33대 황제로 재위하였다.
- ↑ 폐위되었다는 의미로 앞에 폐(廢) 자를 붙여 폐태천제라고도 한다.
- ↑ 태천제는 쿠데타로 집권했으므로 태령왕에게 묘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헌조 명천제의 반정으로 실각하고 명천제의 4대조를 추존하면서 중조(中祖)라는 묘호를 받는다.
- ↑ 4.0 4.1 4.2 폐위됐고 이후 복권되지 않아 묘호, 시호, 능호 등이 없다.
- ↑ 태천제는 즉위 후 례진왕을 열조 례진제로 추존했으나 명천제의 반정 이후 모두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