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
[[파일:|20230502_143750.jpg|섬네일|메디카 공화국과 그 주변국들.]]
개요
- 행성 마헤르, 틀:테르 대륙의 쿠이네 호수 중앙에 있는 인공수상국가.
- 고대 시대, 여러나라의 정치인, 외교관, 무역상이 합심해서 만든 국제시설이 국가로 발전했다.
- 다섯 민족이 섞여 살고, 사방이 이웃나라로 둘러싸여 있어 불안한 나라이다. 하지만 상업, 관광업으로 막대한 부를 쥐고 있기에 위태롭게 버티고 있다.
정치체제
- 대통령중심제. 의회공화제가 가장 어올릴 것 같지만, 그럼 나라가 너무 느려져서 대통령중심제를 택했다.
경제
- 관광업, 상업에 크게 의존하는 나라. 불안정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세금이 높다. 국민들은 다른 국어와 외국어 배우기를 좋아한다. 능숙하게 할 줄 아는 언어만 해도 평균 6~8개이다.
기후
- 열대몬순 기후.
- 11~4월 중순까지 건기이다. 건기는 우기에 비해 약간 더 덥고 매우 건조하다. 상인들은 건기에 열심히 장사라고, 우기에 다음 장사 준비를 한다.
- 우기는 5~11월 중순까지다.
건축
- 우기로 인한 홍수와 해수면 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1층은 기둥 몇 개만 세우고, 2층부터 바닥을 만든다.
- 법적으로 1층 공간도 건물주의 소유기에 가난한 노점상인에게 싼값에 월세를 받고 그들이 그곳에서 장사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
- 가난한 노점상인은 직원을 고용할 돈이 없어 예술적 재능이 있는 노숙자를 싼값에 프리갠서 홍보 직원으로 고용한다.
국민
민족
틀:루메 민족
[[파일:|20230501_114908.jpg|섬네일|루메 민족의 전통의상 알티스]]
- 메디카 공화국 남쪽 국가, 룬테에서 온 민족.
- 조상들이 외교관, 정치인 등의 직업을 가진 하급 귀족이 많고, 인구 수도 제일 많아 때때로 부당한 특해를 누린다. 인구 비울은 30%.
틀:뽈리스테 민족
- 고대 룬테 제국령 폴리소티에서 이민온 민족.
- 폴리소티는 룬테 옆에 있는 군도 국가다. 과거 룬테 제국이 인정하지 않은 철학자 정치학자들이 망명온 것이 이민의 시작이었다.
- 폴리소티를 뽈리스테라고 이유는 시간이 지나면서 메디카식으로 폴리소티어가 변했기 때문.
- 인구 비율은 30%.
틀:지누야 민족

- 지누야 대륙에 있던 여러 사촌 민족들을 합쳐서 지누야 민족이라고 한다. 메디카가 국제시설이던 시절, 근처에서 장사하는 사람이 그대로 눌러앉은게 이민의 시작이었다.
- 인구 비율은 17%.
틀:오르한 민족
[[파일:|20230502_115403.jpg|섬네일|오르한 민족의 전통의상 아르베]]
메디카 동쪽에 있는 오르한이라는 나라에서 온 민족. 1세대 이민 당시에는 중세 제국이었다. 인그 비율은 13%.
틀:에사르 민족
[[파일:|20230502_115425.jpg|섬네일|에샤르 민족의 전통의상 무우]]
메디카 북쪽에 있던 고대 에사르 왕국이 멸망하자 이민 온 것이 시작이었다. 서민들이 주로 이민온데다, 높은 세금을 감당해야 했기에, 가난한 조상이 많았다. 인구 비율은 9%
문화
공통문화
메디카는 토착문화가 없다시피 하지만, 다양한 민족들이 어올리면서 고유한 혼합문화가 풍부해졌다.
문화심리
부에 대한 집착
- 불안정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돈이라도 많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강박이 있다.
블랙 유머
- 다민족 국가라 갈등이 있을 수 밖에 없고, 섬나라기에 다른 나라로 도피하기도 힘든 환경 때문에, 직설적으로 불만을 표현하는 대신, 세련된 블랙 조크가 발달했다.
승화의 축제
- 세해 전야, 모든 불만을 담은 노래 가사를 익명으로 마을 평가단에게 제출한면, 우승자의 가사에 정해진 음을 붙여 새해에 다같이 노래하고 춤추는 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