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이 문서는 카톡계 공동세계관 국제선진연합의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국제선진연합 공식 설정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오류 및 오타 교정이라도 꼭 수정여부를 설정자에게 물어봐주십시오. |
기본 설정
국호: 프라스 합중국
국제선진연합 소속 프라스 합중국이다. 국가원수는 대통령 안재인(아슬란)이다.
역사
1946년 1월 24일, 군부 쿠데타. 2월 17일, 군부, 황권 이원집정부제 보장. 군부 임시 군정 실시.
1949년 8월 18일, 총선, 국회 전 200석 공화 민주당 120석 민주 자유당 41석 민주 정의당 30석 국민의당 5석 사회 자유당 4석
1950년 3월 2일, 의원내각제로 개헌.
1960년 9월 18일, 학교 개정법 통과.
1960년 9월 20일, 3원제 개헌. 총선
상원: 총 10석중 황실가 10명
하원: 총 200석 중 공민당 154석, 사회자유당 40석, 신국민정의당(관제) 6석
시민원:총 100석중 사회자유당 91석, 신국민정의당 9석
1961년 9월 9일 내얼굴 5세 즉위. 즉위식서 테러 발생. 참석자 및 프라스 내 행정 인사 전체 사망. 온건파 몰락. 강경파 제집권
1965년 1월 24일 황실 권한 외교권, 군사권으로 증가.
1985년 3월 4일 내얼굴 5세 사망. 응아니야 3세 즉위.
1986년 6월 1일 단원제 개헌.
300석중 136석 공민당, 50석 사자당, 20석 민정당.
6월 9일 절대 권력 내각 총리 사망.
(이제 권한은 궁내부, 공민당, 행정부로 쪼개 집니다. 공민당 소속만이 행정 인사가가 됩니다. 정부는 바뀌어도, 당은 바뀌지 아니하니..당내 대빵이 내각총리를 겸하지요. 이원적으로 궁내부는 평화롭습니다.)
1991년 10월 2일 남하 정책 땅 점령
1994년 10월 3일 황태자.. 입헌군주국 혁명.
11월 1일 사회주의 혁명 발생
12월 4일 제국, 2국으로 분단(제국, 군국)
4국시대 시작
전제군주제국 - 노예 제도 합법화
입헌왕국 - 제2의 독일
사민공 - 제2의 소련
군국제국 - 제2의 일본제국(반자이!<펏}
2000년 1월 24일, 제국-왕국 1국가 2체제 화
2005년 2월 4일 프라스 통일, 프라스 합중국 건국
2006년 4월 7일 경제학자 조지프 숨셔, <자본주의 문제점> 발간, 전국적 유행..
2013년 1월 24일 대선.
안재인(공산당)41%
유준표(자민당)24%
홍철수(국민당)21%
문승민(사랑당)14%
중앙정부 대통령
안재인 당선
총선
공산당 41%
자민당 24%
국민당 45%
사랑당 14%
군사전력
[프라스제국 군사설정]
개요
본 군사설정집은 가상국가 프라스제국의 군사설정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편제
편제권은 사령부에게 있으나 각 부대별 미편제 사항은 부대에게 편제권이 있다.
각 기본부대별 새부사항은 별도의 문서로 처리한다.
- 사령부
- 중앙사령편제부
- 정보작전부
- 편제과
- 정보과
- 작전과
- 보안과
- 법무부
- 헌병과
- 법무과
- 교육부
- 군기교육과
- 병종교육과
- 병과교육과
- 교육관리과
- 지휘부
- 제1지휘과
- 제2지휘과
- 정보작전부
- 1군단
- 2군단
- 3군단
- 4군단
- 5군단
- 6군단
- 7군단
- 8군단
- 1지대
- 1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2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3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4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지휘대
- 참모과
- 행정과
- 관리과
- 편제과
- 1구대
- 2지대
- 1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2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3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4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지휘대
- 참모과
- 행정과
- 관리과
- 편제과
- 1구대
- 3지대
- 1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2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3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4구대
- 1분대
- 2분대
- 3분대
- 지휘대
- 참모과
- 행정과
- 관리과
- 편제과
- 1구대
- 교육대
- 병사교육대
- 1부
- 1과
- 2과
- 3과
- 2부
- 1과
- 2과
- 3과
- 3부
- 1과
- 2과
- 3과
- 1부
- 하사관교육대
- 1부
- 1과
- 2과
- 3과
- 2부
- 1과
- 2과
- 3과
- 3부
- 1과
- 2과
- 3과
- 1부
- 상사관교육대
- 1부
- 1과
- 2과
- 3과
- 2부
- 1과
- 2과
- 3과
- 3부
- 1과
- 2과
- 3과
- 1부
- 병종교육대
- (생략)
- 병사교육대
- 중앙사령편제부
병종별 편제
전체(100만명)
육군(50만명)
해군(25만명)
공군(15만명)
해병대(8만5천명)
특수병대(1만5천명)
병과
육군
- 보병
- 기동병
- 정보병
- 의무병
- 기술병
- 수송병
- 포병
- 관리병
- 행정병
- 산악병
- 전차병
- 취사병
프라스 육군
수송차 210대
장갑차 150개
T-90전차 3개
T-80BV전차 3개
공격헬기 18개
AMX-30B2 2개
AMX-30 AuF1 자주포 2개
해군
- 보병
- 포병
- 정보병
- 행정병
- 운전병
- 잠수병
- 의무병
- 취사병
프라스 해군
서양함대
어드미럴 쿠즈네초프 항모 1척
폴노치니 B급 강습상륙함 1척
키로프급 순양함 2척
커맨드급 순양함 1척
뉴스트라쉬미급 초계함 1척
코니 II급 초계함 5척
파침급 초계함 9척
타이푼급 잠수함 4척
타이푼II급 잠수함 7척
677 라다급 잠수함 15척
658 호텔 II 급 잠수함 28척
641 폭스트롯급 잠수함 1척
엘리게이터 II 급 수송함 2척
SU-33 함재기 1개
동양함대
소브로멘니급 구축함1척
우달로이급 구축함 2척
파침급 초계함 4척
코니 III급 초계함 1척
코니 II급 초계함 5척
677 라다급 잠수함 4척
엘리게이터급 수송함 2척
커맨드급 미사일순양함 1척
카신급 구축함 3척
파침 II급 초계함 1척
파침급 초계함 1척
677 라다급 잠수함 1척
엘리게이터급 수송함 2척
키로프급 중순양함 1척
우달로이급 구축함 5척
소브로멘니급 구축함 4척
타이푼 II급 잠수함 6척
658 호텔 II급 잠수함 17척
항모 1척
강습상륙함 1척
중순양함 4척
미사일 순양함 2척
구축함 27척
호위함 39척
잠수함 20척
수송함 8척
공군
- 운전병
- 보병
- 포병
- 전투기병
- 행정병
- 의무병
- 취사병
- 관제병
프라스 공군
SU-25 공격기 1개
SU-34 공격기 5개
SU-27 공중우세 전투기 4개
SU-27 다목적 전투기 2개
미그-29 다목적 전투기 3개
미그-31 전투기 3개
미그-23P 전투기 2개
미라지 2000G 전술폭격기 1개
미라지 2000C 다목적 전투기 1개
미라지 2000-5 다목적 전투기 1개
미라지 IIIE 다목적 전투기 2개
미라지 IV IVP 전략폭격기 1개
Tu-160 초음속 전략폭격기 4개
TU-22M3 전략폭격기 1개
TU-22K 전략폭격기 1개
TU-95K 전략폭격기 1개
M-50 전략폭격기 1개
TU-142М 해양초계기 1개
IL-76 수송기 13개
해병대
- 저격병
- 보병
- 의무병
- 운전병
- 전차병
- 행정병
- 취사병
특수병대
- 복합병
- 낙하산병
- 지원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