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주의 역사
九州史
[ 펼치기 · 접기 ]

본토 충승
조몬 시대 구마소 하야토 구석기·패총시대
야요이 시대
고훈 시대
아스카 시대 소가씨 정권
나라 시대 율령국가
헤이안 시대
왕조국가
헤이시 정권
셋칸 정치
인세이
구스쿠 시대
삼산시대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막부
호조씨 정권
몽골통치기 몽골통치기 구주E
왕정시대 구주 왕국 류큐 왕국
금씨 구주 구주국
황씨 구주
일제 강점기 한구연합
임시정부
구주단독
임시정부
일제강점기 구주E
미군정기 재구주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E
칭제건원 구주 제국
E : 외세 침략 등의 이유로 인해 구주인에 의한 정권수립이 되지 않은 경우
한국의 역사
韓國史
[ 펼치기 · 접기 ]
상고
시대
고조선
(단군조선)
진국 주호국
부여 고조선
(위만조선)
원삼국
시대
한사군* 마한 변한 진한
고구려 옥저 동예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탐라
남북국
시대
발해 신라
태봉 후백제 신라
고려
시대
고려
조선
시대
조선
구한말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 조선E 한구연합
임시정부
대한민국
단독 임시정부
분단
시대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인민공화국
소비에트
민정청E
북조선
인민위원회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 | 제2공화국 | 제3공화국
제4공화국 | 제5공화국 | 제6공화국


주요 민족: 예맥, 삼한, 한민족

*: 한국사에 포함되는지 아닌지에 대해 학술적인 논쟁이 있음.
E: 외세 침략 등의 이유로 인해 한민족에 의한 정권수립이 되지 않은 경우

대한민국-대구주국 연합 임시정부
大韓民國-大九州國 聯合 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Great Gujyu Union
국기[1] 국장
군기
光復滅日
광복멸일
대한독립만세 (大韓獨立萬歲)(대한민국) 구주독립만세 (九州獨立萬歲)(대구주국)
▲ 역대 임시정부청사 위치
1921년 3월 21일 ~ 1926년 9월 7일[2]
1932년 1월 6일 ~ 1945년 9월 21일[3]
일제감정기 조선 미군정청
일제감정기 구주
국가
애국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주국 찬가 (대구주국 임시정부)[4]
정치 체제
민주공화정(사실상)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주정(명목상), 민주공화정(사실상) (대구주국 임시정부)
국가원수
총통 → 연합총리 → 연합주석
정부청사
위치
상하이 제1차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 - 1921)
상하이 제1차 한구 연합정부 (1921 - 1926)
난징 구주 임시정부 (1926 - 1932)
우한 제2차 대한민국 임시정부 (1926 - 1932)
류저우 제2차 한구 연합정부 (1926 - 1932)
공동연호
연합정부 건국[5](聯合政府建國)[6]
통화
중화민국 위안

개요

  1. 가독성을 위하여 대한민국 정부와 대구주국 정부의 국기를 합친 임의의 깃발이다.
  2. 공식명칭, 대한-구주 해방연합 정부. 제1차 한구 연합정부
  3. 공식명칭, 대한민국-대구주국 연합 임시정부. 제2차 한구 연합정부
  4. 구 구주국의 국가, '구주 황실찬가'에서 군주나 왕실을 지칭하는 표현을 모두 개사한 버전이다.
  5. 출범 이나 성립과 같은 단어 대신 '건국'이 쓰인건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이러한 연호명이 붙게된 배경에는 1차 연합정부의 초대 주석이던 왕철희가 이를 강하게 추진하여 이렇게 정해졌으며, 2차연합정부 역시 이를 그대로 사용하게된다. 1947년, 그의 아들, 왕주현이 증언한 바로는 일계 지하정부보단 말그대로 망명한 공식정부로 보이길 원했었다고.
  6. 원년은 서기 1921년으로 1차 연합정부 수립을 기준으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