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 == 개요 == [[파일:깃발 국가군방위대.png]] [[월본]]의 군대. 현재 월본의 군사적 역량은 국가군방위대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 역사 == [[중해전쟁]] 및 [[월본 내전]] 이후 일본을 점령한 미국은 원래 월본의 무장을 해제시키려 하였으나, 동아시아 대륙이 연쇄적으로 공산화 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하자 상환은 급변하였다. 월본은 중국과 인접하였기에 공산화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고 미국은 중화권의 공산화에 우려해 월본국에 제국주의를 제하고 정상화하여 군사권을 준다. 당시 도서지역 및 북도 등지에서는 공산주의 게릴라가 활동하였으며, 이들의 주도로 1948년 북도, 신설지방에서 정해공란(丁亥共亂)이 발생해 정부군과 공산주의 게릴라가 교전을 치루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일로 월본은 반공주의를 강화하였고 주월미군을 증설하였다. 1950년에는 미국 군정부 주도하에 경찰예비대가 창설되었다. 경찰예비대는 소화기로 무장한 75,0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기에 구 월본제국군 패잔병들을 규합하여 해상경비대를 조직하였고 이 해상경비대는 얼마 안가 경비대로 재편되었다. 이로써 육상의 경무는 경찰예비대, 해상의 경무는 경비대가 관장하는 체계가 완성되었고, 이를 관장하기 위한 정부기관인 보안청이 설치되었다. == 전력 == {| class="wikitable collapsible" border="1" |- | colspan="12"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white;text-align:center" |[[File:Military Icon 2.png|left|50px]] '''국가군방위대의 전력'''[[File:Military Icon.png|right|50px]]<br/><small>2020년 기준</small> |- ! colspan="3" style="color:green" | 육군방위대 ! colspan="3" style="color:blue" | 해군방위대 ! colspan="3" style="color:red" | 공군방위대 |- | '''무기종류''' | colspan="2" | '''수량''' | '''함종''' | '''수량''' | '''배수량합계''' | '''기종''' | '''종류''' | '''수량''' |- | 전차 | colspan="2" | 690 | 항공모함 | 3 | 18만톤 | F-15W/DW | 전투기 | 201 |- | 장갑차 | colspan="2" | 970 | 구축함 | 47 | 24만톤 | F-4EW | 전투기 | 55 |- | 무반동포 | colspan="2" | 2500 | 잠수함 | 16 | 4만5천톤 | F-2A/B | 전투기 | 92 |- | 박격포 | colspan="2" | 1100 | 기뢰함 | 27 | 2만6천톤 | RF-4E/EW | 정찰기 | 13 |- | 야전포 | colspan="2" | 500 | 초계함 | 6 | 1천톤 | C-1 | 수송기 | 24 |- | 로켓탄 발사기 | colspan="2" | 100 | 수송함 | 11 | 2만8천톤 | C-130H | 수송기 | 15 |- | 고사기관포 | colspan="2" | 50 | 보조함정 | 30 | 12만6천톤 | KC-767 | 공중급유/수송기 | 4 |- | rowspan="2" colspan="3" style="color:green;text-align:center" | '''육군방위대 항공전력''' | rowspan="2" colspan="3" style="color:blue;text-align:center" | '''해군방위대 항공전력''' | KC-130H | 공중급유/수송기 | 1 |- | E-2C | 조기경보기 | 13 |- | '''기종''' | '''종류''' | '''수량''' | '''기종''' | '''종류''' | '''수량''' | E-767 | 조기경보관제기 | 4 |- | LR-1 | 정찰기 | 1 | P-1 | 초계기 | 9 | CH-47W | 수송헬기 | 15 |- | LR-2 | 정찰기 | 7 | P-3C | 초계기 | 61 |- | AH-1S | 대전차 헬기 | 60 | SH-60W | 초계헬기 | 42 |- | OH-6D | 정찰헬기 | 48 | SH-60K | 초계헬기 | 44 |- | OH-1 | 정찰헬기 | 38 | MH-53E | 소해/수송헬기 | 5 |- | UH-1H/W | 다목적헬기 | 131 | MCH-101 | 소해/수송헬기 | 6 |- | CH-47W/WA | 수송헬기 | 55 |- | UH-60WA | 다목적헬기 | 36 |- | AH-64D | 전투헬기 | 11 |} == 장비 == {| class="wikitable" width=64% style="text-align: center;" !colspan="1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파일:국기 월본.png|30px|링크=국가군방위대]] 국가군방위대 무기 일람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화기류'''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개인화기 ||[[64식 소총]]/[[89식 소총]]/[[M4 카빈]]/[[HK416|특수소총(A)]]/[[FN SCAR]]/[[G36]]/''[[미네베아 PM-9|9mm 기관권총]]''/[[MP5]]/[[MP7|4.6mm 단기관총(B)]]/''[[M3 그리스건|11.4mm 기관단총]]''/[[USP]]/[[M1911|11.4mm 권총]]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지원화기 ||[[M2 브라우닝]]/[[FN 미니미]]/[[M203]]/[[판처파우스트]]iii/[[칼 구스타프 무반동포|84mm 무반동포]] |- |rowspan="5"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육상병기'''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자국산 전차 ||''[[61식 전차]]''/''[[74식 전차]]''/[[90식 전차]]/[[10식 전차]]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수입산 전차 (퇴역) ||''[[M4 셔먼|M4A3E8]]''/''[[M24 채피]]''/''[[M41 워커불독]]''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M3 하프트랙]]''/[[16식 기동전투차]]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기타 육상병기 ||''[[윌리스 MB 지프]]''/''[[CCKW]]''/[[M270 MLRS]] |-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공중병기'''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헬기 ||[[AH-1]]/[[AH-64|AH-64DJ]]/[[UH-1]]/[[UH-60]]/[[CH-47]]/[[CH-53]]/[[500MD]]/[[AS532]]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전투기 ||[[F-35]]/[[F-15|F-15J]]/''[[F-4]]''/''[[F-1]]''/[[F-2]]/''[[ATD-X]]''/''[[F-3]]''(예정)/''[[F-86]]''/''[[F-104]]''/''[[F-51]]''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기타 군용기 ||[[E-2]]/[[C-130]]/[[P-3]]/[[P-1]]/[[글로벌호크|RQ-4]]/[[V-22]] |-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해상병기'''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구축함 |[[도고차와급 구축함|도고차와급]]/[[광영급 구축함|광영급]]/[[천광급 구축함|천광급]]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항공모함 |[[사류급]]/[[카이급]]/[[가류급]]/''[[구류급]]''/''[[청공급]]''/''[[우사급]]'' |- |rowspan="1" style="background-color:#00A2E8; color:White"| 잠수함 |''[[가토급]](쿠로시오)''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FFFFFF; color:#124D34;" align="middle"|<small>''이텔릭체''는 시제품 및 퇴역무기</small> |} </div> == 계급 == {| class="wikitable" border="1" |- align=center ! 계급 ! 육군방위대 ! 해군방위대 ! 공군방위대 |- align=center !colspan=4|합동참모의장 |- align=center ! [[대장|합동참모의장]] |colspan=3|통합참모총장 |- align=center ! [[중장|참모총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align=center ! [[소장|장]] | 육장 | 해장 | 공장 |- align=center ! [[준장|장보]] | 육장보 | 해장보 | 공장보 |- align=center !colspan=4|좌관 |- align=center ! [[대령|일좌]] | 일등육좌 | 일등해좌 | 일등공좌 |- align=center ! [[중령|이좌]] | 이등육좌 | 이등해좌 | 이등공좌 |- align=center ! [[소령|삼좌]] | 삼등육좌 | 삼등해좌 | 삼등공좌 |- align=center !colspan=4|위관 |- align=center ! [[대위|일위]] | 일등육위 | 일등해위 | 일등공위 |- align=center ! [[중위|이위]] | 이등육위 | 이등해위 | 이등공위 |- align=center ! [[소위|삼위]] | 삼등육위 | 삼등해위 | 삼등공위 |- align=center !colspan=4|부사관 |- align=center ! [[준위]] | 준육위 | 준해위 | 준공위 |- align=center ! [[원사|조장]] | 육조장 | 해조장 | 공조장 |- align=center ! [[상사|일조]] | 일등육조 | 일등해조 | 일등공조 |- align=center ! [[중사|이조]] | 이등육조 | 이등해조 | 이등공조 |- align=center ! [[하사|삼조]] | 삼등육조 | 삼등해조 | 삼등공조 |- align=center !colspan=4|병 |- align=center ! [[병장|사장]] | 육사장 | 해사장 | 공사장 |- align=center ! [[상병|일사]] | 일등육사 | 일등해사 | 일등공사 |- align=center ! [[일병|이사]] | 이등육사 | 이등해사 | 이등공사 |- align=center ! [[이등병|삼사]] | 삼등육사 | 삼등해사 | 삼등공사 |} * 육군, 해군, 공군의 계급명칭이 전부 다르며 이등병에 해당되는 삼사 계급이 폐지되었다. * 준위는 준사관으로 부사관, 장교 사이에 있는 계급이 아니라 부사관의 연장선에 있는 계급이다. 그래서 국가군방위대는 주임원사보다는 주임준위가 재직 중인 부대가 많다. 그리고 사관학교에 해당하는 방위대학교를 졸업하면 삼등위관 (소위)가 아니라 준위 계급으로 임관된다. 그 후에 삼등위관으로 진급하는 식. * 타군의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없다. 준장이 없는 여타 군대들처럼 선임 일등좌관에게 준장급 예우와 직책을 준다. [[분류:국가군방위대]]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국가군방위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