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개요 == [[대고려국]]의 [[귀족]]에 대하여 다룬다. == 귀족법 == * 공작: 국가에 큰 공이 있는 자 * 후작: 국가에 훈공 있는 자. 복속 전 통치가문의 방계. * 백작: 국가에 훈공 있는 자. 복속 전 통치가문의 방계. * 자작: 국가를 위해 공을 세운 자. * 남작: 국가에 훈공 있는 자. == 특권 == * 국가는 분봉받은 봉토의 급에 따라 저택 지급. * 국가는 작위에 따라 유작자에게 지원금 지원. * 유작자는 정부의 인허를 받아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신의 집안에서 통용되는 규칙인 가범을 정할 수 있음.표지 가범으로는 배우자 및 입양 자격, 재산 처분의 절차를 정할 수 있었고, 가범을 위반한 경우 가주는 규정에 따라서 징계 처분을 내릴 수 있음. * 유작자 사망 시 국가에서 위로금 지급. == 규정 == * 세습 불가. * 당사자 사망 시 작위 반납. * 당사자 사망 시 지원금 취소 및 저택 반납. * 남자가 귀족이면 부인은 빈호를, 여자가 귀족이어도 남자는 빈호를 받음(ex. 고려국대공비) == 왕족 == === 국대왕 === 국대왕은 국가의 창건 또는 중흥을 '''주도하는''' 업적을 세워, 해당 공을 만세에 전할 의도로 만들어직 최고의 왕작(王爵)이다. 현재까지 임명된 국대왕은 단 한 명도 없으며, 고려의 탄생에 '''황제 폐하의 최측근이자 동료로서 두 번째로 큰 공을 세운''' 초대이자 현임 국무령인 김성윤 대한국대공이 퇴임 후 대한국대왕으로 봉작될 수 있다는 배찰이 있을 뿐이다. * 대한국대왕(?) === 국왕 === 국왕은 이전 왕조의 사손 또는 개국에 엄청난 공이 있는 자들에게 봉작된다. 왕작은 일자왕과 이자왕으로 나뉘며, 일자왕의 격이 더 높다. 이들은 중원의 각지에 파견되어, '''실제 국가를 다스리는 경우도 있다. ==== 일자왕 ==== * 심왕(瀋王) * 한왕(韓王) * 진왕(辰王) * 연왕(燕王) * 촉왕(蜀王) * 오왕(吳王) * 초왕(楚王) * 몽왕(蒙王) * 일왕(日王) * 장왕(藏王)<ref>티베트.</ref> * 제왕(諸王)<ref>동투르키스탄(위구르).</ref> ==== 이자왕 ==== * 대만국왕(臺灣國王) * 부여국왕 * 옥저국왕 * 동예국왕 * 마한국왕 * 진한국왕 * 변한국왕 * 백제국왕 * 신라국왕 * 고려국왕(고구려) * 조선국왕 * 대한국왕 * 주호국왕 * 탐라국왕 == 귀족 == === 국대공 === 國大公, Country Grand Prince * 고려국대공 : 통치자가 수여받음. * 대한국대공 : 국가의 2인자,즉 전현직 국무령이 수여받음. * 조선국대공 : 국가의 3인자, 즉 전현직 중추원 의장이 수여받음. * 삼한국대공 : 국가의 4인자, 즉 전현직 대법원장이 수여받음. === 대공 === 大公, Grand Duke * 관서대공 * 해서대공 * 관북대공 * 관동대공 * 경기대공 * 호서대공 * 영남대공 * 호남대공 === 공작 === 公爵, Duke 인지도와 규모가 컸던 2글자 국가를 분봉받음. * 진한국공 * 마한국공 * 변한국공 * 남한국공 * 북한국공 * 신라국공 * 백제국공 * 위만국공 * 부여국공 * 옥저국공 * 동예국공 * 가야국공 * 탐라국공 * 주호국공 * 태봉국공 * 백제국공 * 발해국공 === 후작 === 侯爵, Marquess 가야 소속 국가, 맹주 국가, 강했던 소국 등을 분봉받음(2글자국) * 가라후 * 다라후 * 안라후 * 졸마후 * 고차후 * 자타후 * 걸손후 * 임례후 * 탁순후 * 거열후 * 사물후 * 모루후 * 대사후 * 사타후 * 건마후 * 목지후 === 백작 === 伯爵, Count 소국 또는 이전의 광역시를 분봉받음(글자수 상관없음) * 평양백 * 대전백 * 인천백 * 대구백 * 울산백 * 부산백 * 제주백 === 자작 === 子爵, Viscount 과거 군(조선 이전), 시, 구(한국)였던 지역을 분봉받음 === 남작 === 男爵, Baron 과거 현(조선 이전), 군(한국)이였던 지역을 분봉받음 == 호칭 == 국대공,대공, 공작 : 전하 후작, 백작 : 저하 자작, 남작 : 각하 5년 이상의 징역 시 귀족 작위와 모든 혜택 자동 박탈. == 귀족의 부인 == 공작 : 공비 후작 : 후빈 백작 이하 : 백작부인,자작부인,남작부인 == 귀족의 저택 == *수도에 저택 1채 *봉작지에 백작 이상(국 분봉)이라면 OO궁을 설치 == 목록 == [[대고려국 귀족/목록]] 항목 참고. [[분류:대고려국]] 대고려국 귀족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