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설정]][[분류:넓은 날개]][[분류:영남국]] {{넓은 날개}} {{넓은 날개 국가}} {{나무위키 국가 정보 | 너비 = 450px | 테두리 색 = #000080 | 틀 색 = #000080 | 글씨 색 = #FFFFFF | 국명 = 영남 대한 국민 정부 | 원어명 = 嶺南 大韓 國民 政府<br>Yeongnam Korean People's Government | 국기 = 영남 국기.png | 국기 크기 = 300px | 국장 = 영남 천마장.png | 국장 크기 = 200px | 범례 너비 = 40% | 범례 배경 색 = #CC0000 | 범례 글씨 색 = #fff | 모토 = 大韓奉守 爲民俱贊<br>대한봉수 위민구찬<ref>대한을 받들어 지키고 모든 백성을 위해 찬양하라</ref> | 국가 = [https://www.youtube.com/watch?v=wGnCVkEMrBk 찬가] | 국화 = 할미꽃 | 국조 = 원앙 | 국수 = 천마 | 지도 = 영남지도.png | 역사 = * 건국 1945년 8월 15일 * 영남 평의회 정부수립 1947년 1월 7일 ** 공민내전 1947년 11월 2일 ~ 1948년 11월 1일 * 달구벌의 난 1948년 12월 3일 * 대한 국민 정부 수립 1950년 1월 1일 | 수도 = [[수경도읍관 낙양]]<br>首京都邑官 洛陽 | 최대 도시 = [[국진울포 동래]]<br>國津珍浦 東萊 | 면적 = 29,571km<sup>2</sup> | 접경국 = [[강원 대한 도민 연합 정부 (넓은 날개)]],[[충청 대한 국민 정부 (넓은 날개)]],[[전주 대한 국민 정부 (넓은 날개)]],[[호남 대한 국민 정부 (넓은 날개)]] | 총 인구 = 5,952,627명 | 인구 밀도 = 144.24명/km2 | 민족 구성 = 대한인 99%, 기타 1% | 출산율 = 2.31명 (2020년) | 기대 수명 = 72세 (2020년) | 공용어 = [[영남향어]](嶺南鄕語) | 공용 문자 = [[한글]],[[한자]] | 국교 = | 종교 분포 = 불교 87%, 기독교 11%, 기타 2% | 군대 = [[향토 수위대]]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정(명목상),공화정(실질),민주정(실질) | 민주주의 지수 = 7.03점 ('''{{글씨 색|#7AF670|결함있는 민주주의}}''') | 행정구역1 명칭 = 수도도읍관(首京都邑官) | 행정구역1 = 1개 도시<ref>수경도읍관 낙양(首京都邑官 洛陽)</ref> | 행정구역2 명칭 = 광역도관(廣域道官) | 행정구역2 = 2개 도시<ref>국진울포 동래(國津珍浦 東萊),웅도거읍 월성(雄都巨邑 月城)</ref> | 행정구역3 명칭 = 유민소지(類民所止) | 행정구역3 = 47개 도시, 513개 휘하지방 | 국가 원수 명칭 = 국왕(國王 | 국가 원수 = 성제명왕 전하 [[원문진양왕]]<br>(聖帝明王 殿下 元文進洋王) | 행정 각료1 명칭 = 국무경(國務卿) | 행정 각료1 = 국무경 각하 리순(李順) | 행정 각료2 명칭 = 상임관료회 의결장<br>(常任官僚會 議決長) | 행정 각료2 = 상원의장 남궁유석(南宮儒釋) | 행정 각료3 명칭 = 관민공동회 의결장<br>(官民共同會 議決長) | 행정 각료3 = 하원의장 박얼자(朴臬子) | 여당 = [[근왕사회회의]] | 경제 체제 = 수정자본주의, 일부 시장경제 | 총 GDP PPP = $ | 1인당 GDP PPP = $ | 총 GDP 명목 = $ | 1인당 GDP 명목 = $ | 신용 등급 = 무디스 ---<br>S&P ---<br>Fitch --- | 화폐 = [[영남 만민통보]](萬民通寶) | ISO4217 = YKG | 법정 연호 = 대연기원력, 태양력 | 시간대 = GMT + 09:00 | 도량형 = SI 단위 | ccTLD = .yk | 국가 코드 = YK, YKG | 전화 코드 = +07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000080;" |- !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fff;" | {{large|영남의 자랑거리}} |-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영남 경관.png|450px]]</div><small>지리산 천왕봉, 낙동강 경천대, 양산 통도사, 밀양 촉석루, 월성 첨성대</small> |- |} == 개요 == 영남 대한 국민 정부''(한자:嶺南 大韓 國民 政府)'' ''(영어:Yeongnam Korean People's Government)''는 한반도의 영남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대한국가연방]]의 구성국이다. == 국가상징 == === 국기•국장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008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width=30% style="background:#ffffff; color:#000080;" | <center>[[파일:영남 국기.png|300px]]</center> ! width=30% style="background:#ffffff; color:#000080;" | <center>[[파일:영남 천마장.png|190px]]</center> |- !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fff;" | 나라깃발(국기) !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fff;" | 나라국새(국장) |- |} === 국가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008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width=50% style="background:#ffffff; color:#000080;" | <center>[[파일:영남 국가 악보.png|300px]]</center> |- ! style="background:#FFFFFF; color:#ffffff;" | {{youtube|wGnCVkEMrBk}} |- !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fff;" | 국가<br>조국의찬가(祖國之歌) |- |} == 역사 == 1945년 8월 15일, 일본제국이 패망하고 광복함에 따라서 영남에 미군이 들이닥쳤다. 당시 영남은 사상적으로 분열되어 있었는데, 우리민족을 중심으로 뭉친 근왕당은 대연국의 왕을 우리도 추대하여 전통질서에 편입되고자 하였고 이에 반하는 민족의식을 벗어나 세계적인 공산•사회주의 질서에 편입되고자 한 공산당은 광복 초반부터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1947년 1월 7일, 영남 평의회 정부가 수립되어 근왕당과 공산당은 연정을 시작하게 된다, 당시 강원과 호남 지역에서 여러 한인정부가 세워지는것을 본 영남인들은 일단 건국준비를 서둘렀고, 건국의 목표를 달성한 후 공민내전발발 1947년 11월 2일 까지 10개월동안의 연정동안 거의 매일 평의회에서 회의가 열렸지만 10개월동안 통과된 법안은 20개가 되지 못하였고, 행정명령도 50개정도에 그쳤다. === 공민내전 === === 공화정의 폐지 === === 달구벌의 난 === === 만민공동회 개최 === === 대한 국민 정부 수립 === == 지리 == == 행정구역 == == 사회•문화 == == 정치 == == 상원 상임관료회 == == 하원 관민공동회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080; font-size:10pt;width:90%" |- ! colspan="6"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font-size:12pt;" | <div style="margin:-2.5px -9px>[[파일:관민공동회 로고.png|150px]]<br>관민공동회 원내정당</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font-size:12pt;" | <div style="margin:-2.5px -9px>[[파일:|150px]]<br>관민공동회의 의석</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30%" | 당명 및 당수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6.7%" | 이념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6.7%" | 스펙트럼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6.7%" | 의석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6.7%" | 기타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20%" | [[파일:근왕인민회의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20%" | 이밀호(李謐浩)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근왕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보수주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중도 우익 ~ 우익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여당, 달구벌-근인회 연정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근왕인민회의 (넓은 날개)|{{color|white|'''근왕인민회의'''}}]]|white|#000080}}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0%" | [[파일:공화노동연맹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강총(剛聰)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민주사회주의, 민중민주주의, 입헌군주주의, 민권주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좌익~극좌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제1 야당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공화노동연맹 (넓은 날개)|{{color|white|'''공화노동연맹'''}}]]|white|#C90000}}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0%" | [[파일:금강산화공덕회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대주스님 안임서<br>(大柱僧 安恁書)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불교우선주의, 호국불교, 일심사상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보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공동 제2야당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금강산화공덕회 (넓은 날개)|{{color|white|'''금강산화공덕회'''}}]]|white|#D90000}}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0%" | [[파일:율곡유군자당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언수 공석주(言倕 孔石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이기일원론, 자유보수주의, 애국주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보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공동 제2야당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율곡유군자당 (넓은 날개)|{{color|white|'''율곡유군자당'''}}]]|white|#170D49}}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0%" | [[파일:강호지락단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박진(朴眞)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생태주의, 환경정의, 평등주의, 풀뿌리 민주주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중도~진보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제3 야당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강호지락단 (넓은 날개)|{{color|white|'''강호지락단'''}}]]|white|#5B7F00}}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0%" | [[파일:달구벌자유당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흠진태(欠疹台)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반공주의, 민주주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중도~보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제4 야당, 달구벌-근인회 연정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달구벌자유당 (넓은 날개)|{{color|white|'''달구벌자유당'''}}]]|white|#1B8DCC}} |-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width="10%" | [[파일:동래권익협의회_당로고.png|150px]]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장산국(萇山局)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지역주의, 자유시장추구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중도~보수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2석 | rowspan="2"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기타 지역정당 |- | style="background:white;color:#000080;" | {{정당 둥근상자|[[동래권익협의회 (넓은 날개)|{{color|white|'''동래권익협의회 '''}}]]|white|#000000}} |- |} === 근왕파 === 영남 대한 국민 정부는 대연국의 국왕을 수호하려는 보수적인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제2당에 해당하는 공화로동련맹도 좌익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지만 "작은 왕, 큰 공화정부" 를 주장하며 국왕의 존재를 인정하는 주장을 당론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공산당은 국가보안법에 의해 불법으로 간주되지만 국왕의 존립 인정여부에 따라서 국가보안위협의 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1+1+1 (원본 보기) 틀:+1+1+1+1+1 (원본 보기) 틀:Color (원본 보기) 틀:Large (원본 보기) 틀:Resize (원본 보기) 틀:Youtube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나무위키 국가 정보 (원본 보기) 틀:넓은 날개 (원본 보기) 틀:넓은 날개 국가 (원본 보기) 틀:둥근상자1 (원본 보기) 틀:본문 (원본 보기) 틀:여백 (원본 보기) 틀:역대 영남 국무경 (원본 보기) 틀:영남의 행정구역 (원본 보기) 틀:정당 둥근상자 (원본 보기) 영남 대한 국민 정부 (넓은 날개)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