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대한국 설정}} {{성씨 정보 |성씨 = 압해 정씨 (押海 丁氏) |관향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시조 = 정덕성(丁德盛) |중시조 = |집성촌 = |년도 = 1985 |인구 = 165,381명 |순위 = |비고 = |인물 = [[정세현 (1945년)|정세현]], [[정세균]], [[정옥근]], [[정영희]], [[정새봄]], [[정혜인]] }} '''압해 정씨'''(押海丁氏)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 역사 == 압해 정씨(押海 丁氏)의 도시조인 '''정덕성'''(丁德盛)은 [[당나라|당]](唐) [[당 문종|문종]](文宗)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무종(武宗) 때 대양군(大陽君)에 봉해졌으며, [[853년]] 군국사(軍國事)로 직간을 하다가 [[전라남도]] [[신안군]]의 [[압해도]](押海島)에 유배되어 정착하였다고 한다. [[압해 정씨]]는 '''[[나주 정씨]]'''(羅州丁氏)·[[영광 정씨]](靈光丁氏)·[[의성 정씨]](義城丁氏)·[[창원 정씨]](昌原丁氏)로 동원분파(同源分派)되었다고 한다. == 역사 == 압해 정씨(押海 丁氏)의 도시조인 '''정덕성'''(丁德盛)은 [[당나라|당]](唐) [[당 문종|문종]](文宗)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무종(武宗) 때 대양군(大陽君)에 봉해졌으며, [[853년]] 군국사(軍國事)로 직간을 하다가 [[전라남도]] [[신안군]]의 [[압해도]](押海島)에 유배되어 정착하였다고 한다. [[압해 정씨]]는 '''[[나주 정씨]]'''(羅州丁氏)·[[영광 정씨]](靈光丁氏)·[[의성 정씨]](義城丁氏)·[[창원 정씨]](昌原丁氏)로 동원분파(同源分派)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은 도시조 정덕성에 대해 '사실 관계에 대한 고증이 어렵다'며 실존 여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았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03/05/20130305003975.html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44> 압해정씨·나주정씨 등], 2013-03-05</ref> [[정약용]]은 증조부로부터 자신에까지 문헌 연구와 현지 답사 등을 벌인 결과, 정덕성이 정사(正史)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당의 풍습, 관직명의 차이 등을 들어 정씨동조동근설(凡丁氏同祖同根說)은 날조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후대에 모화사상의 영향으로 당(唐)에서 재상을 지내다가 [[압해도]]로 유배되어 왔다는 정덕성(丁德盛)이라는 가상인물을 도시조(都始祖)로 날조하여 나주(羅州)·영광(靈光)·창원(昌原)·의성(義城) 등 본관이 서로 다른 여러 정(丁)씨들을 근거도 없이 합쳤다는 것이다. 약 1520년(조선 중종 12년) 전후에 발간된 [[나주 정씨]] 최초의 가첩(家牒)인 월헌첩(月軒帖)에는 고려 중기의 무신 정윤종(丁允宗)이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ref>[http://www.bonghwa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124&idx=15444 내고장명문가 나주정씨(羅州丁氏)], 봉화일보, 2013년 10월 7일</ref> == 분파 == * 압해 정씨(押海丁氏)는 후대에 [[나주 정씨]](羅州丁氏), [[영광 정씨]](靈光丁氏), [[의성 정씨]](義城丁氏), [[창원 정씨]](昌原丁氏)로 분관되었다고 한다. * [[영광 정씨]]는 옛 지명을 사용하여 [[영성 정씨]](靈城丁氏)라고도 한다. * 창원 정씨는 선창원과 후창원으로 나뉘기도 한다. * 《[[정씨대동종안보]]》(丁氏大同宗案譜)에는 모든 정씨(丁氏)를 압해 정씨로 단일화하고 종전의 4본을 통합하여 4개파로 분류하였다. * 인구수는 [[나주 정씨]]가 대다수 인원을 차지하고 뒤이어 [[영광 정씨]], 창원 정씨, 의성 정씨 순으로 많다. == 본관별 인물 == * [[나주 정씨]](羅州丁氏) - [[정자급]](丁子伋), [[정수강]](丁壽崗), [[정옥형]](丁玉亨), [[정응두]](丁應斗), [[정윤복]](丁胤福), [[정호선]](丁好善), [[정언벽]](丁彦璧), [[정시윤]](丁時潤), [[정도복]](丁道復) 이상 9명이 [[조선]]시대 연속 9대 문과급제 기록을 세움([[9대옥당]]), [[정약용]](丁若鏞, 호는 다산(茶山), [[실학]](實學)의 거두) * [[영광 정씨]](靈光丁氏) - [[정극인]](丁克仁, 호(號)는 불우헌(不憂軒), 다헌(茶軒), 다각(茶角), 국문학사상 최초의 [[가사 (문학)|가사]](歌辭) 작가) * [[의성 정씨]](義城丁氏) - [[정자위]](丁子威), [[정맹위]](丁孟威), [[정숙위]](丁淑威), [[정현]](丁炫), [[정재영]](丁載榮) * [[창원 정씨]](昌原丁氏) - [[정환]](丁煥), [[정황]](丁璜),[[정창협]](丁昌夾),[[정춘]](丁春) ==집성촌== *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구로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면 산정리 * [[전라남도]] [[영광군(전라남도)|영광군]] 백수읍 대전리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우산리 *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사계리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해용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만성리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대하리 *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갑을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 [[강상원도]] [[영월군]] 영월읍 삼옥리 == 인구 == * 1985년 [[경제기획원(대한국)|대한국]] 인구조사결과 압해 정씨(押海丁氏)는 [[대한국(황제를 위하여)|대한국]]에 총 38,721가구, 165,381명으로 조사되었다. * 2000년 [[대한국 통계청]] 인구조사 [[나주 정씨]](羅州丁氏) 82,863명, [[영광 정씨]](靈光丁氏) 21,774명, [[의성 정씨]](義城丁氏) 2,951명, [[창원 정씨]](昌原丁氏) 16,141명 * 2015년 [[대한국 통계청]] 인구조사 [[나주 정씨]](羅州丁氏) 138,000명, [[영광 정씨]](靈光丁氏) 65,129명, [[의성 정씨]](義城丁氏) 3,498명, [[창원 정씨]](昌原丁氏) 31,687명, 압해 정씨 351명 ==각주== [[분류:대한국 설정]][[분류:한국의 성씨]]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개행 금지 (원본 보기) 틀:개행 금지/styles.css (원본 보기) 틀:대한국 설정 (원본 보기) 틀:성씨 정보 (원본 보기) 틀:알림 상자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그림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큰칸 (원본 보기) 압해 정씨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