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동쪽의 홀란트}} {{군대 정보 <!-- | 이름 = --> | 원어이름 = Federatie Landmacht | 기 = Flag of Federatie Landmacht.png | 문장 = Emblem of Federatie Landmacht.png | 문장 이름 = 인장 |활동 기간 = 1815년 1월 15일 ~ 현재 |그림= Federatie Landmacht.jpg |국가 = {{국기그림|니우홀란트 연방}} [[니우홀란트 연방 |니우홀란트]] |종류 = [[육군]] |규모 = 12만명 (2020년 기준) |명령 체계 = [[니우홀란트 국방부|국방부]]<br/> [[니우홀란트의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본부 = [[바타비아]] 산하 [[육군본부]] |표어 = "''정예강군 ''" |군가 = "''전우여 우리는 간다 ''" |참전 = [[동인도 전쟁]]<br/> [[한국 전쟁]]<br/> [[베트남 전쟁]]<br/> [[걸프 전쟁]]<br/> '[[테러와의 전쟁]]'<br/> [[이라크 전쟁]]<br/>[[동티모르 사태|동티모르 전쟁]] |지휘관 = 대장 마르크 예거 |지휘관 명칭 = 참모총장 }} '''니우홀란트연방 육군'''(新和蘭聯邦 陸軍, {{llang|nl|Federatie Landmacht, 줄여서 FL}})은 [[니우홀란트]]의 [[지상군]] 전력이다. [[2017년]] 8월 기준으로 니우홀란트 육군에는 6개(5개 사단 1개 수도사단)[[사단 (군사)|사단]]이 있다. == 역사 == === 초기 ===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의 [[동인도군]]이 육군의 시작이며 1945년 [[동인도전쟁]]으로 니우홀란트 육군으로 변경되었다. === 동인도 전쟁 === [[파일:57mm-AT-gun-Korea-1950.JPG|thumb|250px|left|2차세계대전 당시 전선에서 전투중인 니우홀란트 육군]] {{본문|태평양 전쟁}} [[태평양 전쟁]]은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니우홀란트를 점령하기 위해 니우홀란트를 침략한 사건으로 태평양 전쟁의 일부분이다. 1935년 부터 미국의 지원을 받아 군을 재무장 하여 일본에 침략에 대비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점령당한다. === 베트남 전쟁 참전 === {{본문|베트남 전쟁}} [[1963년]]부터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파견, 지원할 군사적 협력을 세계 각국에 요청하였고 [[니우홀란트]] 역시 [[미국]]의 파월 지원 요청에 응하여 리치부대를 비롯한 건설공병대대 파견을 시작으로 1972년까지 약 8만명의 연방군을 파병하게 된다. 8만명 파견 중 전사 2천명, 부상 9천명의 사상자가 나오기도 했다. 연방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해서는 그 때마다 남베트남 정부의 요청과 [[니우홀란트연방 스타텐헤네랄]]의 승인이 있었으나 그 심의과정에서는 야당인사들의 반대를 시작으로, 파병 찬·반 양론이 엇갈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월남전에 파월(월남에 파병)한 연방군은 극복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다대한 전공과 업적을 쌓았으며, [[베트남]] 땅에 연방군에 대한 많은 신화를 남겨 놓게 되었다. 베트남 파병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받은 자금과 회수한 무기로 군사무기 개량및 개발 인프라 건설, 경제 개발 사업 자금 등으로 활용되었다. 베트남전이 서서히 막을 내리던 [[1973년]] [[3월]] 파월 연방군은 완전히 베트남 땅에서 철수하였다. === 21세기 === 1990년대 부터 꾸준히 육군의 군축이 논의되어왔다. 섬나라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육군의 중요성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해군과 공군에 비해 투자가 매우 적었다. 2008년 국방개혁에 따라 25만명이 되는 병력을 2025년까지 9~10만명으로 줄이는 대신 보병 개개인의 장비와 85%의 기계화를 목표로 군축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2015년에는 육군이 해체되는 이야기가 나오는 등 육군의 미래는 밝지 않다. == 조직 == === 참모총장 === [[4성 장군|대장]] 계급의 현직 군인중에서 [[국방부 장관]]의 선임에 따라 임명된다. === 편성 === 2017년 8월 26일 현재 육군본부및 7개 기능사령부와 2개의 구성군(2개 군단)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 같이 보기 == *[[니우홀란트 육군의 여단 목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ISO 639 이름 (원본 보기) 틀:Lang (원본 보기) 틀:Llang (원본 보기) 틀:개행 금지 (원본 보기) 틀:개행 금지/styles.css (원본 보기) 틀:국기그림 (원본 보기) 틀:국기그림/구현 (원본 보기) 틀:군대 정보 (원본 보기) 틀:나라자료 니우홀란트 연방 (원본 보기) 틀:동쪽의 홀란트 (원본 보기) 틀:언어 이름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그림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칸 (원본 보기) 모듈:Langname (원본 보기) 모듈:Langname/data (원본 보기) 니우홀란트 육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