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div style="background:#14214e;border:2px solid #14214e;padding:10px;margin:20px auto;box-shadow:2px 2px 10px 1px #000;color:#aaffff"> ==개요== 대한민국의 수도(부산)권 지역과 그 근교지역을 운행하는 대규모 통근형 도시철도 체계이다.<br> 부산과 울산,경남<ref>하동시,사천시,산청시,합천시,함양군,거창군,남해군제외</ref>,대구,경북 남부지역<ref>경주시,포항시,영천시,경산시,청도시,성주시,칠곡시,구미시</ref>까지 운영한다. ==명칭== 부산권 도시철도가 정식명칭이나 수도권 도시철도라고도 흔히 부른다.<br> 하지만 아직 부산은 법에서나 국민들의 인식에서나 완전히 수도로 자리잡지 못한상태이기에 정식명칭으로 수도권 도시철도가 붙지는 않았다. ==노선 목록== {| class="wikitable !mx-auto text-center" style="border:2px solid #004098; line-height:150%" |- | colspan="6" | {{글씨 크기|20|'''부산권 전철 노선'''}} |- ! class="!bg-[#00a63d] text-white" | 로고 ! class="!bg-[#00a63d] text-white" | 노선명 ! class="!bg-[#00a63d] text-white" | 색상 ! class="!bg-[#00a63d] text-white" | 개통년도 ! class="!bg-[#00a63d] text-white" | 기점/종점 ! class="!bg-[#00a63d] text-white" | 연장 |- | [[파일:수도권 전철 1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FF2400" | [[부산권 전철 1호선|'''{{글씨 색|#0052A4|{{글씨 크기|18|부산권 전철 1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0052A4" | | 1974년 | 포항역<br>마산역,동대구역 | |- | [[파일:수도권 전철 2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FF8C00" | [[부산 지하철 2호선|'''{{글씨 색|#00A84D|{{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2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00A84D" | | 1980년 | 순환선<br>남포-사상-강서-구포-연산-수영-남포 | |- | [[파일:수도권 전철 3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3호선|'''{{글씨 색|#EF7C1C|{{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3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EF7C1C" | | 1985년 | 송도<br>언양 | |- | [[파일:수도권 전철 4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4호선|'''{{글씨 색|#00A4E3|{{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4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00A4E3" | | 1985년 | 이기대<br>대산 | |- | [[파일:수도권 전철 5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5호선|'''{{글씨 색|#996CAC|{{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5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996CAC" | | 1995년 | 미포<br>창원 | |- | [[파일:수도권 전철 6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6호선|'''{{글씨 색|#CD7C2F|{{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6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CD7C2F" | | 2000년 | 민락<br>부산대 | |- | [[파일:수도권 전철 7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7호선|'''{{글씨 색|#747F00|{{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7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747F00" | | 1996년 | 가야<br>기장 | |- | [[파일:수도권 전철 8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8호선|'''{{글씨 색|#E6186C|{{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8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E6186C" | | 1996년 | 다대포<br>봉황 | |- | [[파일:수도권 전철 9호선 로고.sv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9호선|'''{{글씨 색|#BDB092|{{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9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BDB092" | | 2009년 | 김해대<br>부산국제공항 | |- | [[파일:부산 10호선 로고.pn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 지하철 10호선|'''{{글씨 색|#f04938|{{글씨 크기|18|부산 지하철 10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f04938" | | 2018년 | 연산<br>통도사 | |- | [[파일:마산울산선 로고.pn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권 전철 마산울산선|'''{{글씨 색|#FABE00|{{글씨 크기|18|부산권 전철 마산울산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FABE00" | | 1994년 | 마산역<br>울산역 | |- | [[파일:밀양선 로고.pn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권 전철 밀양선|'''{{글씨 색|#d31145|{{글씨 크기|18|부산권 전철 밀양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d31145" | | 2011년 | 연지공원역<br>삼량진역 | |- | [[파일:거제선 로고.png|40px]] | style="color:#005fae" | [[부산권 전철 거제선|'''{{글씨 색|#0090D2|{{글씨 크기|18|부산권 전철 거제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0090D2" | | 2007년 | 녹산역<br>통영역 | |- | [[파일:대경선 로고.png|40px]] | style="color:#005fae" | [[대경선 광역전철|'''{{글씨 색|#77C4A3|{{글씨 크기|18|대경선 광역전철}}}}''']] | style="color: #fff; background: #77C4A3" | | 2013년 | 구미역<br>경주역 | |- | | style="color:#005fae" | [[울산 도시철도 1호선|'''{{글씨 색|#759CCE|{{글씨 크기|18|울산 도시철도 1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759CCE" | | 1999년 | 중산역<br>망양역 | |- | | style="color:#005fae" | [[울산 도시철도 2호선|'''{{글씨 색|#f5a251|{{글씨 크기|18|울산 도시철도 2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f5a251" | | 2016년 | 울산역<br>언양역 | |- | | style="color:#005fae" | [[부산 경전철 부산진선|'''{{글씨 색|#6789CA|{{글씨 크기|18|부산 경전철 부산진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6789CA" | | 2022년 | 순환선<br>부전-진구청-가야-연지-부전 | |- | | style="color:#005fae" | [[부산 경전철 정관선|'''{{글씨 색|#B7C450|{{글씨 크기|18|부산 경전철 정관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B7C450" | | 2017년 | 노포<br>일광 | |- | | style="color:#005fae" | [[창원 도시철도 1호선|'''{{글씨 색|#56AD2D|{{글씨 크기|18|창원 도시철도 1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56AD2D" | | 2016년 | 창원역<br>성산구청역 | |- | | style="color:#005fae" | [[마산 도시철도 1호선|'''{{글씨 색|#FD8100|{{글씨 크기|18|마산 도시철도 1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FD8100" | | 2012년 | 마산역<br>진동역 | |- | | style="color:#005fae" | [[대구 도시철도 1호선|'''{{글씨 색|#D93F5C|{{글씨 크기|18|대구 도시철도 1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D93F5C" | | 1987년 | 설화명곡역<br>금호역 | |- | | style="color:#005fae" | [[대구 도시철도 2호선|'''{{글씨 색|#00AA80|{{글씨 크기|18|대구 도시철도 2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00AA80" | | 1993년 | 문양역<br>영남대역 | |- | | style="color:#005fae" | [[대구 도시철도 3호선|'''{{글씨 색|#FFB100|{{글씨 크기|18|대구 도시철도 3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FFB100" | | 2005년 | 문양역<br>영남대역 | |- | | style="color:#005fae" | [[대구 도시철도 4호선|'''{{글씨 색|#0099CC|{{글씨 크기|18|대구 도시철도 4호선}}}}''']] | style="color: #fff; background: #0099CC" | | 2023년 | 수성구민운동장역<br>이시아폴리스역 | |- |} ==여담== 현실의 수도권 도시철도 계획을 모티브로한 계획으로 큰틀에선 유사한면이 있으나,서울과 부산의 도시의 지리적 구조,사전 인프라등이 다르기에 그로 인한 차이가 여럿 있다. [[분류:동백꽃 필 무렵]]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부산권 도시철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