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대한민국의 수도(부산)권 지역과 그 근교지역을 운행하는 대규모 통근형 도시철도 체계이다.
부산과 울산,경남[1],대구,경북 남부지역[2]까지 운영한다.
명칭
부산권 도시철도가 정식명칭이나 수도권 도시철도라고도 흔히 부른다.
하지만 아직 부산은 법에서나 국민들의 인식에서나 완전히 수도로 자리잡지 못한상태이기에 정식명칭으로 수도권 도시철도가 붙지는 않았다.
노선 목록
부산권 전철 노선 | |||||
로고 | 노선명 | 색상 | 개통년도 | 기점/종점 | 연장 |
---|---|---|---|---|---|
부산권 전철 1호선 | 1974년 | 포항역 마산역,동대구역 |
|||
부산 지하철 2호선 | 1980년 | 순환선 남포-사상-강서-구포-연산-수영-남포 |
|||
부산 지하철 3호선 | 1985년 | 송도 언양 |
|||
부산 지하철 4호선 | 1985년 | 이기대 대산 |
|||
부산 지하철 5호선 | 1995년 | 미포 창원 |
|||
부산 지하철 6호선 | 2000년 | 민락 부산대 |
|||
부산 지하철 7호선 | 1996년 | 가야 기장 |
|||
부산 지하철 8호선 | 1996년 | 다대포 봉황 |
|||
부산 지하철 9호선 | 2009년 | 김해대 부산국제공항 |
|||
![]() |
부산 지하철 10호선 | 2018년 | 연산 통도사 |
||
![]() |
부산권 전철 마산울산선 | 1994년 | 마산역 울산역 |
||
![]() |
부산권 전철 밀양선 | 2011년 | 연지공원역 삼량진역 |
||
![]() |
부산권 전철 거제선 | 2007년 | 녹산역 통영역 |
||
![]() |
대경선 광역전철 | 2013년 | 구미역 경주역 |
||
울산 도시철도 1호선 | 1999년 | 중산역 망양역 |
|||
울산 도시철도 2호선 | 2016년 | 울산역 언양역 |
|||
부산 경전철 부산진선 | 2022년 | 순환선 부전-진구청-가야-연지-부전 |
|||
부산 경전철 정관선 | 2017년 | 노포 일광 |
|||
창원 도시철도 1호선 | 2016년 | 창원역 성산구청역 |
|||
마산 도시철도 1호선 | 2012년 | 마산역 진동역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1987년 | 설화명곡역 금호역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1993년 | 문양역 영남대역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2005년 | 문양역 영남대역 |
|||
대구 도시철도 4호선 | 2023년 | 수성구민운동장역 이시아폴리스역 |
여담
현실의 수도권 도시철도 계획을 모티브로한 계획으로 큰틀에선 유사한면이 있으나,서울과 부산의 도시의 지리적 구조,사전 인프라등이 다르기에 그로 인한 차이가 여럿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