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보위황하 배너}}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ef1621; width: 100%;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 #ef1621; color: #ffff00" | [[파일:중국국장.svg|25px|link=중화인민공화국 (황하)]] '''중국 관련틀''' |- | colspan="1"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20%, #fff 80%, #fff 100%);" | <div class="mw-customtoggle-cncncn111"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cncncn11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1px " |- | |- |} |} {{황하 중공 정보}} {{목차}} ==개요==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 또는 '''중공'''(中共)<ref>중화인민공화국은 스스로를 中国으로 지칭한다. 하지만 중화민국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중공'''이라 칭하는 편.</ref>은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며 [[중국공산당 (황하)|중국공산당]]이 통치하는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이다. [[중화민국 (황하)|중화민국]]과 함께 중국대륙을 갈라서고 있으며, 6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수도는 [[베이징시 (황하)|베이징시]]이며, 현존하는 중공 내 최대도시이기도 하다. 헌법상 960만 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광할한 중원대륙을 소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아니다. 인구의 대다수를 이루는 한족과 약 50여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투르키스탄 (황하)|동투르키스탄]]이 중국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이슬람 등 종교적 다양성이 이전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중공은 현재까지 중화사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변국(위구르, 티베트)에 대한 영유권도 꾸준히 주장 중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 (황하)|하나의 중국]](一个中国) 원칙을 내걸고 [[중화민국 (황하)|중화민국]]과의 외교 전쟁을 진행 중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패권주의 효력이 예전보다 줄어드는 추세이나, 최근 중화민국과의 치열한 양강구도가 심화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국공갈등은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세계 전체GDP(명목) 2위이며, 아시아에서의 강대국 지위를 유지하는 중이다. ==상징== ===국호===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中華人民共和國)이며, 표준중국어 발음은 중화런민궁허궈(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ʈʂʊ́ŋ.xwǎ ɻə̌n.mǐn kʊ̂ŋ.xɤ̌.kwǒ])라고 발음한다. '''중국'''이라는 명칭이 최초로 나타난 것은 기원전 11세기 주나라의 청동기에 새겨진 글자다. 문서상으로는 시경의 大雅民勞篇 중 “惠此中國, 以綏四方”이라는 구절의 중국이 가장 이른 기원이다. 이는 지리적 중심부, 즉 주나라의 수도 지역을 의미했다. 당시 '''國'''은 아직 '''나라'''의 의미를 갖지 않았다. 중원(中原), 중화(中華)<ref>중화민국의 약칭으로도 주로 쓰인다.</ref>라고도 했다. 주변에 비해 발달된 문명을 가졌던 자신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주변 '''오랑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오랑캐 취급받던 진나라가 중원을 처음으로 제패하여 중구난방 난립하던 중국은 다시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통일 진나라가 고작 15년만에 망해버리고 한나라가 들어서게 되고, 초대 황제인 유방(劉邦)의 이름을 피휘하였기 때문에 邦 대신 '''國'''을 쓰기 시작하여 중국의 개념이 '''중원을 차지한 하나의 나라'''로 정착된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에는 새로운 중국을 수립했다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신중국'''(新中國/新中国)이라 한 적도 있다. 대비되는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화민국 (황하)|중화민국]]을 이르는 '''구중국'''(舊中國/旧中国)이다. 영어권에서는 China 또는 Sina라고 부르며, 타 유럽국가들도 비슷한 명칭을 쓴다. China의 어원으로는 진나라의 친(Chin)에서 유래됬다는 설이 가장 널리 퍼져있다. 이것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 지역을 칭하는 이름인 치나(Cīna)가 되었고, 이 낱말을 포르투갈인 상인들이 페르시아어를 거쳐 수입해 전 유럽에 보급했다. 단어의 첫글자가 C, S, Ch, Sh 등 다양하고, 어원은 같지만 스펠링은 각양각색이다. ===국기===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ee1520; width: 70%;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min-width: 390px"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6px 2px">[[파일:중국국기.png|450px]]</div> |- |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오성홍기''' |- | style="background: #fff; color: #333" align=middle | <div class="mw-customtoggle-duidi"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duidi"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px; background: #fff" |- | width="30%"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국가'''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중화인민공화국 |- | width="30%"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채택일'''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1949년 9월 27일 |- | width="30%"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설계자'''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쩡리엔쑹 |- | width="30%"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비율'''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3 |- |} |} '''오성홍기'''(五星紅旗)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이다. 큰 별은 [[중국공산당 (황하)|중국공산당]]을, 작은 별은 각각 노동자, 농민, 소자산계급, 민족자산계급을 나타낸다. 바탕의 붉은색은 공산주의와 혁명을, 별의 노란색은 [[중국공산당 (황하)|공산주의 혁명]]의 광명과 중화인민의 종족성을 나타낸다. 4개의 작은 별의 중심에서 뻗은 직선은 큰 별의 중심에서 만나는데, 이는 [[중국공산당 (황하)|공산당]]의 영도하에 단결된 공화국의 혁명인민을 상징한다. 큰 별은 한족을, 나머지 작은 별은 티베트족, 몽골족, 좡족, 회족을 가리킨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오성홍기는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을 선언하면서 정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전국에서 응모된 약 3,000개의 도안을 심사해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황하)|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선정하였는데, 최종 선정된 오성홍기를 디자인한 사람은 [[중화민국 (황하)|중화민국]] [[저장성 (황하)|저장성]] 출신 경제학자 쩡롄쑹(曾联松)이다. [[중화민국 (황하)|중화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반란집단이자 적국으로 간주하며 오성홍기의 계양 자체를 명목상으로 금지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ee1520; width: 70%;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min-width: 390px"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황하 중공 국기 규격.png]]</div> |- | width="50%" style="background: #ee1c25; color: #fff" align=middle | {{정당 둥근상자|'''#EE1C25'''|#ee1c25|#fff}}<br>R=238, G=28, B=37 | width="50%" style="background: #ffff00; color: #000" align=middle | {{정당 둥근상자|'''#FFFF00'''|#ffff00|#000}}<br>R=255, G=255, B=0 |} 중화인민공화국 인민정부가 공개한 공식적인 국기의 규격과 색상은 위와 같다. ===국장=== ===국가=== ==역사== ==자연환경== ===지리=== ===환경오염=== ==인문환경== ===인구=== ===언어=== ===교통=== ==행정구역== {{본문|중화인민공화국 (황하)/행정구역}} {| class="wikitable" style="border: 1.2px solid #ee1520;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행정구역 요약표''' |- | rowspan="2" width="20%" style="background: #eee; color: #444" align=middle | '''성급행정구''' | style="background: #f8f8f8; color: #000" align=left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직할시|직할시]](直辖市),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성|성]](省),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자치구|자치구]](自治区)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1급 행정구. 중화인민공화국을 광역적으로 분류하는 하위 행정구역이다. |- | row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eee; color: #444" align=middle | '''지급행정구''' | style="background: #f8f8f8; color: #000" align=left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부성급시|부성급시]](副省级市),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지급시|지급시]](地级市), 자치주(自治州), 지구(地区), 맹(盟)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급 행정구. 성급행정구의 산하 행정구역, 주요 광역도시 등에 부여하는 지위이다. |- | row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eee; color: #444" align=middle | '''현급행정구''' | style="background: #f8f8f8; color: #000" align=left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현급시|현급시]](县级市), 현(县), 자치현(自治县), 시할구(市辖区), 기(旗), 자치기(自治旗)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3급 행정구. 지급행정구의 산하 행정구역에 부여하는 지위이다. |- | row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eee; color: #444" align=middle | '''향급행정구''' | style="background: #f8f8f8; color: #000" align=left | 가도(街道), 진(镇), 향(乡), 민족향(民族乡), 소목(苏木), 민족소목(民族苏木)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4급 행정구. 현급행정구의 산하 행정구역에 부여하는 지위이다. 민족 단위의 행정구역으로 분류하거나 주거지, 마을 등의 단위로 구분한다. |- | row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eee; color: #444" align=middle | '''촌급행정구''' | style="background: #f8f8f8; color: #000" align=left | 촌민위원회, 사구거위원회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5급 행정구. 중화인민공화국의 최하위 행정구역 단위이다. |- |} 중화인민공화국의 하위 행정구역은 총 4단계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4단계의 행정구역마다 명칭이 다르고 지위도 다르기 때문에 타 국가에 비해 행정구역 체계가 복잡하고 세밀한 편이다. ===성급행정구=== {{황하 중공 성급행정구}}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직할시|직할시]](直辖市)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성|성]](省)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자치구|자치구]](自治区) ===지급행정구===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부성급시|부성급시]](副省级市)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지급시|지급시]](地级市) * 자치주(自治州) * 지구(地区) * 맹(盟) ===현급행정구=== * [[중화인민공화국 (황하)/현급시|현급시]](县级市) * 현(县) * 자치현(自治县) * 시할구(市辖区) * 기(旗) * 자치기(自治旗) [[분류:보위황하]]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둥근상자1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보위황하 배너 (원본 보기) 틀:본문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정당 둥근상자 (원본 보기) 틀:한자2 (황하) (원본 보기) 틀:한자 (황하) (원본 보기) 틀:황하 중공 성급행정구 (원본 보기) 틀:황하 중공 정보 (원본 보기) 중화인민공화국 (황하)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