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센 국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권한대행취임일 =
|권한대행취임일 =
|호칭 = 국왕 폐하 <small>( Seine Königlich Majestät )</small>
|호칭 = 국왕 폐하 <small>( Seine Königlich Majestät )</small>
|관저 = [[베를린궁]]
|관저 = [[베를린 궁전]]
|지명자 =  
|지명자 =  
|지명자직책 =  
|지명자직책 =  
27번째 줄: 27번째 줄:
|부관 =  
|부관 =  
|부관직책 =  
|부관직책 =  
|법정계승자 = [[카를 프리드리히 프란츠 알렉산더 폰 프로이센 왕자|카를 폰 프로이센 왕자]]
|법정계승자 = [[카를 프리드리히 프란츠 알렉산더 폰 프로이센 왕태자|카를 폰 프로이센 왕태자]]
|법정계승자작위 = 왕태자
|법정계승자작위 = 왕태자
|봉급 =  
|봉급 =  
36번째 줄: 36번째 줄:
== 권한 ==
== 권한 ==
{{참고|프로이센의 헌법}}
{{참고|프로이센의 헌법}}
== 즉위 ==
== 임기 ==


== 역사 ==
== 역사 ==
[[1701년]] [[1월 18일]], [[대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후계자인 [[프리드리히 1세|프리드리히 3세]]는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프로이센]] 역사상 최대 규모의 즉위식을 치룬 후 [[프로이센|프로이센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다. [[프리드리히 1세]]는 사치스러웠으며, 2년치의 예산인 약 600만 탈러 정도를 즉위식에 사용하였다. [[프리드리히 1세]]의 후계자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이러한 즉위식을 폐지시키고 충성 서약으로 이를 대체하였다.


== 역대 국왕 ==
== 역대 국왕 ==
57번째 줄: 62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iedrich I.jpg|80px]]
| [[파일:Friedrich I.jpg|80px]]
| '''[[프리드리히 1세]]'''<br />{{작게|1701년-1713년}}
| '''[[프리드리히 1세]]'''<br />{{작게|1657년-1713년}}
| [[1701년]] [[1월 18일]]
| [[1701년]] [[1월 18일]]
| [[1713년]] [[2월 25일]]
| [[1713년]] [[2월 25일]]
64번째 줄: 69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iedrich Wilhelm I.jpg|80px]]
| [[파일:Friedrich Wilhelm I.jpg|80px]]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br />{{작게|1713년-1740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br />{{작게|1688년-1740년}}
| [[1713년]] [[2월 25일]]
| [[1713년]] [[2월 25일]]
| [[1740년]] [[5월 31일]]
| [[1740년]] [[5월 31일]]
71번째 줄: 76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iedrich II.jpg|80px]]
| [[파일:Friedrich II.jpg|80px]]
| '''[[프리드리히 2세]]'''<br />{{작게|1740년-1786년}}
| '''[[프리드리히 2세]]'''<br />{{작게|1712년-1786년}}
| [[1740년]] [[5월 31일]]
| [[1740년]] [[5월 31일]]
| [[1786년]] [[8월 17일]]
| [[1786년]] [[8월 17일]]
78번째 줄: 83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eidrich Wilhelm II.png|80px]]
| [[파일:Freidrich Wilhelm II.png|80px]]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br />{{작게|1786년-1797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br />{{작게|1744년-1797년}}
| [[1786년]] [[8월 17일]]
| [[1786년]] [[8월 17일]]
| [[1797년]] [[11월 16일]]
| [[1797년]] [[11월 16일]]
85번째 줄: 90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eidrich Wilhelm III.jpg|80px]]
| [[파일:Freidrich Wilhelm III.jpg|80px]]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br />{{작게|1797년-1840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br />{{작게|1770년-1840년}}
| [[1797년]] [[11월 16일]]
| [[1797년]] [[11월 16일]]
| [[1840년]] [[6월 7일]]
| [[1840년]] [[6월 7일]]
92번째 줄: 97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eidrich Wilhelm IV.jpg|80px]]
| [[파일:Freidrich Wilhelm IV.jpg|80px]]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br />{{작게|1840년-1861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br />{{작게|1795년-1861년}}
| [[1840년]] [[6월 7일]]
| [[1840년]] [[6월 7일]]
| [[1861년]] [[1월 2일]]
| [[1861년]] [[1월 2일]]
99번째 줄: 104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Wilhelm I.jpg|80px]]
| [[파일:Wilhelm I.jpg|80px]]
| '''[[빌헬름 1세]]'''<br />{{작게|1861년-1888년}}
| '''[[빌헬름 1세]]'''<br />{{작게|1797년-1888년}}
| [[1861년]] [[1월 2일]]
| [[1861년]] [[1월 2일]]
| [[1888년]] [[3월 9일]]
| [[1888년]] [[3월 9일]]
106번째 줄: 111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eidrich III.png|80px]]
| [[파일:Freidrich III.png|80px]]
| '''[[프리드리히 3세]]'''<br />{{작게|1888년}}
| '''[[프리드리히 3세]]'''<br />{{작게|1831년-1888년}}
| [[1888년]] [[3월 9일]]
| [[1888년]] [[3월 9일]]
| [[1888년]] [[6월 15일]]
| [[1888년]] [[6월 15일]]
113번째 줄: 118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Wilhelm II.jpg|80px]]
| [[파일:Wilhelm II.jpg|80px]]
| '''[[빌헬름 2세]]'''<br />{{작게|1888년-1941년}}
| '''[[빌헬름 2세]]'''<br />{{작게|1859년-1941년}}
| [[1888년]] [[6월 15일]]
| [[1888년]] [[6월 15일]]
| [[1941년]] [[6월 9일]]
| [[1941년]] [[6월 9일]]
120번째 줄: 125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Wilhelm III.jpg|80px]]
| [[파일:Wilhelm III.jpg|80px]]
| '''[[빌헬름 3세]]'''<br />{{작게|1941년-1951년}}
| '''[[빌헬름 3세]]'''<br />{{작게|1882년-1951년}}
| [[1941년]] [[6월 9일]]
| [[1941년]] [[6월 9일]]
| [[1951년]] [[6월 20일]]
| [[1951년]] [[6월 20일]]
127번째 줄: 132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Wilhelm IV.jpg|80px]]
| [[파일:Wilhelm IV.jpg|80px]]
| '''[[빌헬름 4세]]'''<br />{{작게|1951년-1994년}}
| '''[[빌헬름 4세]]'''<br />{{작게|1907년-1994년}}
| [[1951년]] [[6월 20일]]
| [[1951년]] [[6월 20일]]
| [[1994년]] [[11월 26일]]
| [[1994년]] [[11월 26일]]
134번째 줄: 139번째 줄:
| style="background:#dcdcdc;" |
| style="background:#dcdcdc;" |
| [[파일:Freidrich IV.jpg|80px]]
| [[파일:Freidrich IV.jpg|80px]]
| '''[[프리드리히 4세]]'''<br />{{작게|1994년-현재}}
| '''[[프리드리히 4세]]'''<br />{{작게|1976년-현재}}
| [[1994년]] [[11월 26일]]
| [[1994년]] [[11월 26일]]
| 현재
| 현재
143번째 줄: 148번째 줄:
== 계승 순위 ==
== 계승 순위 ==
{{본문|프로이센의 왕위 계승 순위}}
{{본문|프로이센의 왕위 계승 순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order:1px #AAAAFF solid"
|-
!width=10% | 순위
!width=30% | 성명
!width=30% | 출생
!width=30% | 계승 권리
|-
! colspan="4"|
[[파일:Emblem of Prussia.png|x30px|link=]] '''<big>[[프로이센]] 왕위 계승 순위</big>''' [[파일:Emblem of Prussia.png|x30px|link=]]<br />
{{lang|de|''Preußisch Thronfolge''}}
|-
| style="height:75px;" | 1
| style="height:75px;" | [[카를 프리드리히 프란츠 알렉산더 폰 프로이센 왕태자|카를 폰 프로이센 황태자]]
| style="height:75px;" | [[2013년]] [[1월 20일]]
| style="height:75px;" | [[프리드리히 4세]]의 장남
|-
| style="height:75px;" | 2
| style="height:75px;" | [[루이스 페르디난트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왕자|루이스 폰 프리드리히 왕자]]
| style="height:75px;" | [[2013년]] [[1월 20일]]
| style="height:75px;" | [[프리드리히 4세]]의 차남
|-
| style="height:75px;" | 3
| style="height:75px;" | [[엠마 마리 샤를로테 조피 폰 프로이센 왕녀|엠마 폰 프로이센 왕녀]]
| style="height:75px;" | [[2015년]] [[4월 2일]]
| style="height:75px;" | [[프리드리히 4세]]의 장녀
|-
| style="height:75px;" | 4
| style="height:75px;" | [[하인리히 알베르트 요한 게오르크 폰 프로이센 왕자|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왕자]]
| style="height:75px;" | [[2016년]] [[11월 17일]]
| style="height:75px;" | [[프리드리히 4세]]의 삼남
|-
| style="height:75px;" | 5
| style="height:75px;" | [[코르네리세실 폰 프로이센 왕녀]]
| style="height:75px;" | [[1978년]] [[1월 30일]]
| style="height:75px;" | [[루이스 페르디난트 오스카르 크리스티안 폰 프로이센 왕자|루이스 폰 프로이센 왕자]]의 장녀
|-
| style="height:75px;" | 6
| style="height:75px;" | [[마리체칠 키라 빅토리아 루이스 폰 프로이센 왕녀|마리체칠 폰 프로이센 왕녀]]
| style="height:75px;" | [[1942년]] [[5월 2일]]
| style="height:75px;" | [[빌헬름 4세]]의 장녀
|-
| style="height:75px;" | 7
| style="height:75px;" | [[키라마리나 리프스너]]
| style="height:75px;" | [[1977년]] [[1월 22일]]
| style="height:75px;" | [[키라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프레데리카 폰 프로이센 왕녀|키라 폰 프로이센 왕녀]]의 장녀
|-
| style="height:75px;" | 8
| style="height:75px;" |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폰 프로이센 왕자]]
| style="height:75px;" | [[1946년]] [[3월 14일]]
| style="height:75px;" | [[빌헬름 4세]]의 사남
|-
| style="height:75px;" | 9
| style="height:75px;" | [[이사벨라알렉산드라 폰 프로이센 왕녀]]
| style="height:75px;" | [[1969년]] [[11월 18일]]
| style="height:75px;" |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폰 프로이센 왕자]]의 장녀
|-
| style="height:75px;" | 10
| style="height:75px;" |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폰 프로이센 왕자|크리스티안 폰 프로이센 왕자]]
| style="height:75px;" | [[1988년]] [[7월 4일]]
| style="height:75px;" |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폰 프로이센 왕자]]의 장남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 [[프로이센 공작]]
* [[호엔촐레른가]]


[[분류:프로이센]]
[[분류:프로이센]]

2021년 1월 8일 (금) 16:15 기준 최신판

프로이센의 국왕
König von Preußen
호칭 국왕 폐하 ( Seine Königlich Majestät )
관저 베를린 궁전
임기 종신직
초대 프리드리히 1세
성립 1701년 1월 18일
법정계승자 카를 폰 프로이센 왕태자
(왕태자)

프로이센 국왕(독일어: König von Preußen 쾨니히 폰 프로이센[*], 영어: King of Prussia 킹 오브 프러시아[*])는 프로이센의 국가원수이다. 1701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동군연합프리드리히 1세프로이센을 건국하면서 성립되었다. 호칭은 국왕 폐하(독일어: Seine Königlich Majestät 자이네 쾨니클리헤 마예슈테트[*])이다. 호엔촐레른가의 세습 작위이며, 현재 제12대 국왕으로 프리드리히 4세가 제위중이다. 박물관섬에 위치한 베를린궁을 관저로 하여, 국가수상의 임명과 국가의회의 개회와 해산, 군통수권 등의 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베를린궁을 포함한 여러 궁전 및 저택 등을 소유하고 있다.

권한

즉위

임기

역사

1701년 1월 18일, 대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후계자인 프리드리히 3세쾨니히스베르크에서 프로이센 역사상 최대 규모의 즉위식을 치룬 후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다. 프리드리히 1세는 사치스러웠으며, 2년치의 예산인 약 600만 탈러 정도를 즉위식에 사용하였다. 프리드리히 1세의 후계자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이러한 즉위식을 폐지시키고 충성 서약으로 이를 대체하였다.

역대 국왕

프로이센 국왕
König von Preußen
[ 펼치기 · 접기 ]
초상 성명
(생몰)
임기
취임 퇴임 기간

프로이센 국왕
König von Preußen

프리드리히 1세
1657년-1713년
1701년 1월 18일 1713년 2월 25일 4422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1688년-1740년
1713년 2월 25일 1740년 5월 31일 9958
프리드리히 2세
1712년-1786년
1740년 5월 31일 1786년 8월 17일 16880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1744년-1797년
1786년 8월 17일 1797년 11월 16일 4110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1770년-1840년
1797년 11월 16일 1840년 6월 7일 15544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1795년-1861년
1840년 6월 7일 1861년 1월 2일 7515
빌헬름 1세
1797년-1888년
1861년 1월 2일 1888년 3월 9일 9929
프리드리히 3세
1831년-1888년
1888년 3월 9일 1888년 6월 15일 99
빌헬름 2세
1859년-1941년
1888년 6월 15일 1941년 6월 9일 19352
빌헬름 3세
1882년-1951년
1941년 6월 9일 1951년 6월 20일 3664
빌헬름 4세
1907년-1994년
1951년 6월 20일 1994년 11월 26일 15866
프리드리히 4세
1976년-현재
1994년 11월 26일 현재

계승 순위

순위 성명 출생 계승 권리

프로이센 왕위 계승 순위
Preußisch Thronfolge

1 카를 폰 프로이센 황태자 2013년 1월 20일 프리드리히 4세의 장남
2 루이스 폰 프리드리히 왕자 2013년 1월 20일 프리드리히 4세의 차남
3 엠마 폰 프로이센 왕녀 2015년 4월 2일 프리드리히 4세의 장녀
4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왕자 2016년 11월 17일 프리드리히 4세의 삼남
5 코르네리세실 폰 프로이센 왕녀 1978년 1월 30일 루이스 폰 프로이센 왕자의 장녀
6 마리체칠 폰 프로이센 왕녀 1942년 5월 2일 빌헬름 4세의 장녀
7 키라마리나 리프스너 1977년 1월 22일 키라 폰 프로이센 왕녀의 장녀
8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폰 프로이센 왕자 1946년 3월 14일 빌헬름 4세의 사남
9 이사벨라알렉산드라 폰 프로이센 왕녀 1969년 11월 18일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폰 프로이센 왕자의 장녀
10 크리스티안 폰 프로이센 왕자 1988년 7월 4일 크리스티안지기스문트 폰 프로이센 왕자의 장남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