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vfjerd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Halvfjerd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namucat|제5공 세계관|DISPLAYTITLE=제23대 국회의원 선거}} | {{namucat|제5공 세계관|DISPLAYTITLE=제23대 국회의원 선거}}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500px; border: 2px solid rgb(80, 11, 13) | {| class="wikitable" style="width: 500px; border: 2px solid rgb(80, 11, 13);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 ||
| colspan="5" style="background: rgb(80, 11, 13); color: #ffffff; text-align: center; height: 50px;" | <big><big>'''대한민국 제23대 국회의원 선거'''</big></big> | | colspan="5" style="background: rgb(80, 11, 13); color: #ffffff; text-align: center; height: 50px;" | <big><big>'''대한민국 제23대 국회의원 선거'''</big></big> | ||
|- | |-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0px;"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0px;" | ||
! 투표율 | ! 투표율 | ||
| colspan="4" | | | colspan="4" | 63.8% <small><span style="color: #0000ff;">▼ 3.2%p</span></small>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 rgb(80, 11, 13); color: #ffffff;" | 선거 결과 | ! colspan="5" style="background: rgb(80, 11, 13); color: #ffffff;" | 선거 결과 | ||
84번째 줄: | 84번째 줄: | ||
== 해설 == | == 해설 == | ||
<div style="border-radius: 20px; border: 2px #ccc solid; padding: 0; margin-bottom: 0.5rem;">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transparent solid; width: 100%; text-align: center; margin: 0; background: transparent;" | |||
|- | |||
| colspan='5' | '''세계관 주요 사건''' | |||
|- | |||
| 2022-2024 | |||
| rowspan="3" | → | |||
| 2028 | |||
| rowspan="3" | → | |||
| rowspan="3" style=" width:27%;" | (현재) | |||
|- | |||
| style=" width:27%; height: 100px;"| 기존의 3당체제에서<br>[[개혁신당 (제5공)|{{색|#FF7210 |개혁신당}}]]이 [[국민의당 (제5공)|{{색|#006241|국민의당}}]]을 대체하다<br><small>([[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5공)|8회 지선]]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5공)|22대 총선]])</small> | |||
! rowspan="2" style=" width:27%;" | [[국민의힘 (제5공)|{{색|#E61E2B|국민의힘}}]]이 분당되고<br>[[개혁신당 (제5공)|{{색|#FF7210 |개혁신당}}]]과 [[미래대연합 (제5공)|{{색|#D8005A | 미래대연합}}]]이<br></small>새로운 보수 여당이 되다<br><small>([[제20대 대통령 선거 (제5공)|20대 대선]] · [[제23대 국회의원 선거 (제5공)|23대 총선]])</small> | |||
|- | |||
| style=" width:27%; height: 100px;" | [[더불어민주당 (제5공)|{{색|#152484 |더불어민주당}}]]이<br>보수 분열 사이에서 여당이 되다<br><small>([[제19대 대통령 선거 (제5공)|19대 대선]]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5공)|22대 총선]])</small> | |||
|} | |||
</div> | |||
{{블러4 | {{블러4 | ||
| 22대 총선 직후 윤석열 당대표 등에 의해(...) [[국민의힘 (제5공)|국민의힘]]의 정치력이 순식간에 바닥을 치고 결국 분당이 결정된다. 분당 후 두 개의 당 중 온건한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미래대연합 (제5공)|미래대연합]] | | 22대 총선 직후 윤석열 당대표 등에 의해(...) [[국민의힘 (제5공)|국민의힘]]의 정치력이 순식간에 바닥을 치고 결국 분당이 결정된다. 분당 후 두 개의 당 중 온건한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미래대연합 (제5공)|미래대연합]], 그리고 유사한 성향을 지닌 [[개혁신당 (제5공)|개혁신당]]은 내각제 개헌을 노리고 대선에서 후보 단일화를 진행한다. 개혁신당과 미래대연합은 보수 분열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중도, 제3지대, 보수 유권자들의 표를 받으며 대선 승리와 총선 167석을 기록하였고, 민주당도 같은 의석 수인 167석을 받았다. | ||
두 세력 간의 접전으로 투표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투표 당일 전국에 호우가 내리면서 투표율이 중폭 감소하였다. | |||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연합에는 사회민주당 등이 소속되었고 그 중 사회민주당 1석이 당선되었고, 개혁신당의 위성정당인 혁신당에는 시대전환 등이 소속되었으며 그 중 시대전환 1석이 당선되었다. {{--|원내정당으로 빨주노초파남보 전부 있다.}} | |||
}} | }} |
2024년 8월 25일 (일) 04:38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 제23대 국회의원 선거 | ||||
2024년 4월 10일 22대 총선 |
→ | 2028년 4월 12일 23대 총선 |
→ | 2032년 4월 14일 24대 총선 |
---|---|---|---|---|
해설
세계관 주요 사건 | ||||
2022-2024 | → | 2028 | → | (현재) |
기존의 3당체제에서 개혁신당이 국민의당을 대체하다 (8회 지선 · 22대 총선) |
국민의힘이 분당되고 개혁신당과 미래대연합이 새로운 보수 여당이 되다 (20대 대선 · 23대 총선) | |||
---|---|---|---|---|
더불어민주당이 보수 분열 사이에서 여당이 되다 (19대 대선 · 22대 총선) |
22대 총선 직후 윤석열 당대표 등에 의해(...) 국민의힘의 정치력이 순식간에 바닥을 치고 결국 분당이 결정된다. 분당 후 두 개의 당 중 온건한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미래대연합, 그리고 유사한 성향을 지닌 개혁신당은 내각제 개헌을 노리고 대선에서 후보 단일화를 진행한다. 개혁신당과 미래대연합은 보수 분열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중도, 제3지대, 보수 유권자들의 표를 받으며 대선 승리와 총선 167석을 기록하였고, 민주당도 같은 의석 수인 167석을 받았다.
두 세력 간의 접전으로 투표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투표 당일 전국에 호우가 내리면서 투표율이 중폭 감소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연합에는 사회민주당 등이 소속되었고 그 중 사회민주당 1석이 당선되었고, 개혁신당의 위성정당인 혁신당에는 시대전환 등이 소속되었으며 그 중 시대전환 1석이 당선되었다. 원내정당으로 빨주노초파남보 전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