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량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역 정보
{{namucat|Project Utopia|영남선|대현월국의 철도역|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
|역명 = 미천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width: 100%;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1pt; color: #000"
|배경색 =  Blue
! colspan="3" style="height:70px; background: #fff; color: #000;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50%" | '''{{글씨 크기|15|도량진역}}'''<br>'''Doryangjin Station''' | '''圖梁津驛'''
|그림 =
|-
|그림설명 = 역사
|colspan="4"|[[파일: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png|40px|링크=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
|소재지 = [[한월특별시]] [[한남구]] 임하로 202
|-
|개업일 = 2022년 11월 12일
| colspan="4" |
|관할 = [[대현월국 철도청]] 한월본부 한월지역관리단 강동포관리역
<div class="mw-customtoggle-Geisteswissenschaftlichesumfeld"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fff;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div></div>
|종별 = 보통역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eisteswissenschaftlichesumfeld"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left;">
|등급 = 3급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승강장 = 2면 4선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좌표 =  
|-
|노선1 = [[영남선]]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가성진역|#414141|가성진 방면}}</small>
|영업거리1 = '''[[한월역|한월]]''' 기점 5.9 km
|rowspan="2"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style="width: 34%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br>(127)
|전역1 = [[북산역|북산]]
| color: #414141; style="width: 33% |<small>{{cl|남서탄역|#414141|남서탄}}·{{cl|월평역|#414141|월평 방면}}</small>
|전거리1 = 2.3
|-
|후역1 = [[강동포역|강동포]]
|rowspan="2"|[[북산역|북 산]]</br>← 2.6km
|후거리1 = 4.1
|rowspan="2"|[[독방역|독 방]]</br>1.5km →
|비고 =  
|-
}}
|rowspan="2"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style="width: 34%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br>'''{{정당 둥근상자2|{{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영남선 급행 A}}|#fff|#FF0000}}'''
 
|-
'''미천역'''(Micheon Station,美天驛)은 [[한월특별시]] [[한남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북한월역|#414141|북한월 방면}}</small>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월평역|#414141|월평 방면}}</small>
== 개요 ==
|-
[[한월특별시]] [[한남구]]의 세번째 철도역으로써 모든 통일호와 비둘기호가 정차한다.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북산역|#414141|북산 방면}}</small></br>[[북산역|북 산]]</br>← 2.6km
 
|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style="width: 34%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br>'''{{정당 둥근상자2|{{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한하선 특급}}|#fff|#00BFFF}}'''
== 역사 ==
|rowspan="2"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월하역|#414141|월하 방면}}</small></br>[[강동포역|강동포]]</br>3.3km →
[[대현월국]] 건국과 동시에 [[영남선]]이 개통하면서 [[2022년]] 영업을 개시하였다.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북산역|#414141|북산 방면}}</small></br>[[북산역|북 산]]</br>← 2.6km
=== 연혁 ===
|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style="width: 34%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br>'''{{정당 둥근상자2|{{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한하선 급행}}|#fff|#FF0000}}'''
*2022년 11월 12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
== 구조 ==
|-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5em;"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주소
 
|-
|-  
| colspan="4"|[[한월특별시]] [[봉황구]] 도량진로 151</br>(도량진동 67-2)
 
|-
| <small>[[북산역|북산]]</small>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역 코드
|-
|[[현월철도공사]]
|colspan="3"|004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관리역 등급
|-
|colspan="4"|보통역 / 3급</br>([[강동포역]] 관리/[[현월철도공사|현월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운영기관
|-
|[[영남선]]
| colspan="3"|[[현월철도공사]]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개업일
|-
|[[영남선]]
| colspan="3"|[[2022년]] [[11월 12일]]
|-
|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000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
| colspan="3"|[[2024년]] [[3월 9일]]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역사 구조
|-
|colspan="3"|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승강장 구조
|-
|colspan="3"| 5면 9선 복합식 승강장 (횡단 가능, [[영남선]])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철도거리표
|-
| style="width: 33% | <small>[[한월역|한월]] 방면</small></br>[[북산역|북 산]]</br>← 2.6km
| style="width: 34% | '''[[영남선]]'''</br>도량진
| style="width: 33%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독방역|독 방]]</br>1.5km →
|-
| style="width: 33% | 기점
| style="width: 34% | '''[[북산삼각선]]'''<ref>영남선 한월역 기점 4.0km 지점</ref>
| style="width: 33% | <small>종점 방면</small></br>삼각선<ref>한화선 북산기점 0.8km 지점</ref></br>0.5km →
|-
|}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수도권 전철 1호선]] 127번, [[한월특별시]] [[봉황구]] 도량진로 151 (도량진동 67-2) 소재.
==역 정보==
2022년 11월 12일 [[대현월국]] 최초의 철도노선인 [[영남선]]의 개통과 함께 문을 연 유서 깊은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수도권 전철]]의 개통 이후엔 왕복 2회의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만 정차하였으나 이마저도 2024년 5월 16일부터 폐지되면서 현재는 광역전철 전용역이 되었다.
==역 주변 정보==
===출구 정보===
==일평균 이용객==
===수도권 전철===
===일반철도===
==승강장==
{|class="wikitable" style="width: 50%; border: 2px solid #BBBBBB;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 colspan="15" style="background: #fff; color: #black" | [[북산역|북산]] ↑
|-
|ㅣ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7
|ㅣ
|ㅣ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6
|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 5
|ㅣ
|ㅣ
|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 4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3
|ㅣ
|ㅣ
|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 2
|ㅣ
|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 1
|-
| colspan="15" style="background: #fff; color: #black" | ↓ [[독방역|독방]]
|-
|-
|| {{!}} <span style="color:#fffff; ">1 2</span> {{!}} {{!}} <span style="color: #fffff; background-color: ">3 4</span> {{!}}
|- 
| <small>[[강동포역|강동포]] ↓</small>
|}
|}


{| border="1" style="margin-left: 0.5em;"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float: right;  width: 100%; border: 2px solid #BBBBBB; text-align: left;" text-align: left;  
|-
|-
!1▪︎2
|rowspan="2"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1
|rowspan="2"|[[영남선]]
|rowspan="4"|[[파일: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png|20px|링크=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 [[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수도권 전철 1호선]]
|rowspan="2"|[[통일호]]▪︎[[비둘기호]]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0000|한하선 급행}}
|[[한월역|한월]]▪︎[[북산역|북산]] 방면
|rowspan="2" colspan="4"| [[강동포역|강동포]]·[[신로역|신로]]·[[부원역|부원]]·[[선내역|선내]]·[[분평역|분평]]·[[월하역|월하]] 방면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0000|한하선 특급}}'''
|-
|rowspan="2"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2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0000|한하선 급행}}
|rowspan="2" colspan="2"| [[북산역|북산]] 방면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0000|한하선 특급}}'''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3
|colspan="4"|미사용 승강장
|-
|rowspan="2"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4
|rowspan="4"|[[파일: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png|20px|링크=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 [[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신로역|신로]]·[[월하역|월하]]·[[남서탄역|남서탄]]·[[월평역|월평]] 방면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0000|영남선 급행A}}
|[[금양역|금양]]·[[태원역|태원]]·[[장택역|장택]]·[[월평역|월평]] 방면
|-
|rowspan="2" colspan="1"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5
|완행
| [[북산역|북산]]·[[한월역]]·[[한북역|한북]]·[[가성진역|가성진]] 방면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0000|영남선 급행A}}
|[[북산역|북산]]·[[북한월역|북한월]] 방면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6·7
|colspan="4"|미사용 승강장
|-
|-
!3▪︎4
| [[진덕역|진덕]]▪︎[[창진역|창진]]▪︎[[서진덕역|서진덕]]▪︎[[영포역|영포]]▪︎[[동도역|동도]] 방면
|}
|}


== 인접한 역 ==
==기타==
{{인접정차역/열기}}
==둘러보기==
{{인접정차역
{{틀: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의 철도역}}
|노선 = [[영남선]]
{{틀:영남선의 철도역}}
|전색 = green
|전역 = [[북산역|북산]]
|전방면 = [[한월역|한월]] 방면
|종별 = [[통일호]]</br>[[영남선]]
|후역 = [[강동포역|강동포]]
|후방면 = [[창진역|창진]] 방면
|후색 = green
}}
{{인접정차역
|전색 = #3681B7
|전역 = [[북산역|북산]]
|전방면 = [[한월역|한월]] 방면
|종별 = [[비둘기호]]</br>[[영남선]]
|후역 = [[강동포역|강동포]]
|후방면 = [[창진역|창진]] 방면
|후색 = #3681B7
}}
{{인접정차역
|노선 = [[진포선]]
|전색 = green
|전역 = [[북산역|북산]]
|전방면 = [[북산역|북산]] 방면
|종별 = [[통일호]]</br>[[진포선]]
|후역 = [[강동포역|강동포]]
|후방면 = [[영포역|영포]] 방면
|후색 = green
}}
{{인접정차역
|전색 = #3681B7
|전역 = [[북산역|북산]]
|전방면 = [[북산역|북산]] 방면
|종별 = [[비둘기호]]</br>[[진포선]]
|후역 = [[강동포역|강동포]]
|후방면 = [[영포역|영포]] 방면
|후색 = #3681B7
}}
{{인접정차역/닫기}}
 
== 같이 보기 ==
 
 
== 각주 ==
 
 
== 외부 링크 ==

2024년 12월 30일 (월) 10:46 기준 최신판

도량진역
Doryangjin Station | 圖梁津驛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주소
한월특별시 봉황구 도량진로 151
(도량진동 67-2)
역 코드
현월철도공사 004
관리역 등급
보통역 / 3급
(강동포역 관리/현월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기관
영남선 현월철도공사
개업일
영남선 2022년 11월 12일
1호선 2024년 3월 9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5면 9선 복합식 승강장 (횡단 가능, 영남선)
철도거리표
한월 방면
북 산
← 2.6km
영남선
도량진
창산 방면
독 방
1.5km →
기점 북산삼각선[1] 종점 방면
삼각선[2]
0.5km →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27번, 한월특별시 봉황구 도량진로 151 (도량진동 67-2) 소재.

역 정보

2022년 11월 12일 대현월국 최초의 철도노선인 영남선의 개통과 함께 문을 연 유서 깊은 역이다.

수도권 전철의 개통 이후엔 왕복 2회의 무궁화호만 정차하였으나 이마저도 2024년 5월 16일부터 폐지되면서 현재는 광역전철 전용역이 되었다.

역 주변 정보

출구 정보

일평균 이용객

수도권 전철

일반철도

승강장

북산
7 6 5 4 3 2 1
독방
1 수도권 전철 1호선 한하선 급행 강동포·신로·부원·선내·분평·월하 방면
한하선 특급
2 한하선 급행 북산 방면
한하선 특급
3 미사용 승강장
4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신로·월하·남서탄·월평 방면
영남선 급행A 금양·태원·장택·월평 방면
5 완행 북산·한월역·한북·가성진 방면
영남선 급행A 북산·북한월 방면
6·7 미사용 승강장

기타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영남선의 철도역
[ 펼치기 · 접기 ]
  1. 영남선 한월역 기점 4.0km 지점
  2. 한화선 북산기점 0.8km 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