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북역 Hanbuk Station | 漢北驛 | |||
---|---|---|---|
일반열차 노선 보기 | |||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 |||
주소 | |||
한월특별시 나원구 신계로 98-2 (일계동 85)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 / 2급 (현월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기관 | |||
한화선 | 현월철도공사 | ||
한철선 | |||
명우선 | |||
개업일 | |||
일반열차 | |||
한화선 | 2023년 2월 25일 | ||
한철선 | 2023년 3월 22일 | ||
명우선 | 2024년 8월 18일 | ||
무궁화호 | 2024년 3월 17일 | ||
수도권 전철 | |||
1호선 | 2024년 3월 9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 |||
승강장 구조 | |||
3면 6선 복합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북산 방면 신 계 ← 1.1km |
한화선 한 북 |
화적 방면 일 계 1.1km → | |
기점 | 한철선 한 북 |
철천 방면 광 덕 2.1km → | |
명우 방면 일문기지 ← 2.6km |
명우선 한 북 |
종점 |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11번. 한월특별시 나원구 신계로 98-2 (일계동 44) 소재.
화물취급도 담당하기 때문에 구내가 굉장히 넓다. 때문에 한월 북부에서 가장 넓은 철도 부지를 지니고 있다.
역 정보
2023년 2월 25일 한화선 해월도성~한북 구간의 개통과 함께 관리역으로 개업하였다. 당시엔 비둘기호와 통일호만 정차하였으며, 모든 승강장이 저상홈이었다.
2024년 3월 9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과 함께 한화선 전용 승강장이던 1~3번 승강장이 고상홈으로 개량되었으며, 일부 전철의 시종착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2024년 3월 17일 무궁화호의 투입과 함께 통일호 및 비둘기호의 취급이 중지되었다.
역 주변 정보
출구 정보
일평균 이용객
수도권 전철
일반열차
연도 | 비둘기호 | 통일호 | 무궁화호 | 총합 | 비고 |
---|---|---|---|---|---|
2023년 | 5,896명 | 2,233명 | 미운행 | 8,129명 |
승강장
일계 ↑ | 신광덕 ↑ | |||||||||||||
1 | ㅣ | ㅣ | 2 | 3 | ㅣ | ㅣ | ㅣ | 4 | 5 | ㅣ | ||||
↓ 신계 |
1 | ![]() |
가성진·가성진북부 방면 영남선 계통 일부 당역 종착 한화선 계통 당역 출발[1] | |
2 | 태원·장택·월평 방면 영남선 계통 당역 종착 | ||
3 | 신로·분평·월하 방면 한하선 계통 일부 당역 종착 한화선 계통 당역 종착[2] | ||
4·5 | 한철선 | 무궁화호 | 북한월·태가원·철천 방면 |
연계 교통
기타
- 선로취급실 바로 옆에 철도신호기, 철도 건널목 등 여러 기계들을 견학할 수 있도록 해 놨지만 일반인 접근 금지 구역이다.
둘어보기
![]() | |||||||||||||
[ 펼치기 · 접기 ]
|
한화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
한철선의 철도역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