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ouement of the Eclipse/국가/칸프론테아/아스테 대천사 군단: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분류: Denouement of the Eclipse]]
[[분류: Denouement of the Eclipse]]
{{일식의 대단원}}


[[파일:아스테 대천사 군단 국기.png|450px|섬네일|'''아스테 대천사 군단의 국기''']]
[[파일:아스테 대천사 군단 국기.png|450px|섬네일|'''아스테 대천사 군단의 국기''']]
<div>__TOC__</div>
{{css|붉은 깃발}}
<div class="red-flag-bg">{{#SWITCH:
{{랜덤|1|0}}
|0 = [[파일:아스테 배경.webp|10000px|가운데|link=]]
}}
</div>




14번째 줄: 26번째 줄:




<div>__TOC__</div>




95번째 줄: 106번째 줄:


==국민 정신==
==국민 정신==
==아스테 대천사 군단의 미래==
===미하이아쿠스 아스테니아===
====호라이온 코르다누====
====에르바네우 젤레아네스쿠====
===시메오니쿠스 아스테니아===
====샤노아 에네스쿠====
====드미트레 메자드네우====

2025년 2월 18일 (화) 16:09 기준 최신판

아스테 대천사 군단 (Aste Archangel Corps)

Denouement of the Eclipse
[ 펼치기 · 접기 ]
아스테 대천사 군단의 국기








개요

[국가설명]

아스테인들은 험난한 환란의 역사와 가시밭길을 걸어왔습니다. 동부 칸프론테아의 입구에 자리를 잡은 선조들 때문에 그들은 항상 서부에서 몰려드는 제국들과 동부에서 약탈을 하러 습격하는 유목민들 사이에서 묵묵히 견뎌왔습니다. 그러던 중 도르트문텔 제국으로부터 아흐노 신앙이 도입되며 아스테의 토착종교와 통합되었고 이는 혼란스러운 아스테 사회를 파고든 사이비 주교 젤레아넬리우 체르노네스쿠가 이끄는 아스테 신성연방으로 심화되며 광신도적인 국가체제가 설립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들은 동부 칸프론테아의 국가들을 견제하던 도르트문텔 제국의 은밀한 묵인에 시카메온, 구하르, 아스테리온등 접견 국가들에 대한 교화를 이유로 쳐들어갔습니다. 오랜 약탈과 파괴의 시간들 속에서 아스테 신성연방은 폭군적인 행동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 아스테 연합전선과 그로 인해 탄생한 구하르 연방의 공격으로 처참하게 무너졌고 본래 영토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영토를 빼앗기고 다시금 실의에 빠졌습니다.

그래도 원대한 야망을 품고 다시 태어난 아스테 왕국은 구 주교인 젤레아넬리우 체르노네스쿠의 증손자인 에르바네우의 지배를 시작으로 신생국 초기의 몇몇 성공을 이룩했으나 구하르 연방의 철저한 짓밟음과 연속된 자연재해로 많은 젊은이들이 닿을 수 없는 이상 때문에 죽음의 문턱에 발을 올렸습니다. 국가는 여러 차례의 시도들 중에서 아무런 이익을 국민들에게 가져다주지 못했고 그에 비해 왕국은 발전한 것이 없었기에 절망과 좌절은 시민들의 마음속에서 극단적인 새싹을 발아시켰고 이는 배후중상론으로 비화되며 비극의 씨앗을 낳았습니다.

에르바네우의 절친한 동료 호라이온 코르다누는 힘에 의한 독재, 특히 광신적 믿음이 가미된 신정을 그리워했고 전위애국단이라는 극단적 우파 스펙트럼에 포함된 당을 창설하고 군사조직을 만들어 급진적인 보복주의 운동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강력한 왕권을 바라던 미하이아쿠스 왕세자와 손을 잡고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고 아스테의 영토 내에 거주하던 소수민족이나 이방 민족들을 탄압하거나 쓸어버리고 과거의 쓰라린 흉터를 극복하려 하였습니다.

호라이온과 미하이아쿠스, 이 두 남자는 복수와 보복을 중심으로 한 열정으로 입헌군주제를 표면상으로 한 온건적인 사민주의 체제를 붕괴시켰고 권력을 손아귀에 쥐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연합은 경쟁자들을 제치며 헐거워지기 시작했고 미하이아쿠스는 현 정치체제의 유지, 호라이온은 개혁적이고 급진적인 신정국가의 재림을 주장하며 서로간의 적대감은 커져갔고, 권력을 나누어 가지고 싶지 않았던 두 세력의 골은 깊어져만 갔습니다. 그들의 목표가 아스테국의 부흥이라는 것은 뚜렷하지만, 누가 그 영광을 거머쥘 지는 오직 신만이 알 것입니다.


세 명의 남자, 거머쥘 단 한 명의 남자


  • 아스테 대천사 군단의 정당
    • 황제파 - 집권당
      • 카릴로브 3세 (Karyllov the third)
    • 아스테 사민당
      • 샤노아 에네스쿠 (Shanoa Eneschu)
    • 아스테 진보당
      • 드미트리 메자드네우 (Dmitri Mejadneu)
    • 아스테 신정
      • 에르바네우 젤레아네스쿠 (Errbaneu Zeleaneschu)


  • 민족 구성
    • 아스테 인: 72%
    • 제르폰 인: 18%
    • 구하르 인: 4%
    • 기타: 6%


  • 수도
    [아스테]


  • 체제 및 집권 이념
    삼두정, 전제주의적 신권


  • 총계
    • 총 인구: 5500만명
    • 과학 개발도: 작은 과학 기반
    • 사회 개발도: 산업화 중인 사회
    • 문맹도: 보통의 문맹
    • 빈곤도: 중간의 빈곤




국민 정신

아스테 대천사 군단의 미래

미하이아쿠스 아스테니아

호라이온 코르다누

에르바네우 젤레아네스쿠

시메오니쿠스 아스테니아

샤노아 에네스쿠

드미트레 메자드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