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 (국가의 시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국가의 시대]]
[[분류:국가의 시대]]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ee1520; width: 100%;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max-width: 450px"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ee1520; width: 100%;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max-width: 450px"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big>'''중화인민공화국'''<ref>사실 한국에서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약칭인 "북중국"이라는 이름이 더 많이 쓰인다.</ref></big><br>'''中华人民共和国<ref>간체자(북중국어)</ref> | 中華人民共和國<ref>정체자(남중국어)</ref>'''<br>'''People's Republic of China'''<ref>사실 영어권에서도 이렇게 부르기보단 "North China"라고 많이 부른다.</ref>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big>'''중화인민공화국'''<ref>사실 실생활에서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약칭인 "북중국"이라는 이름이 더 많이 쓰인다.</ref></big><br>'''中华人民共和国<ref>간체자(북중국어)</ref> | 中華人民共和國<ref>정체자(남중국어)</ref>'''<br>'''People's Republic of China'''
|-
|-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f5f5f5"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7px 10px">[[파일:중국국기.png]]</div>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f5f5f5" align=middle | <div style="margin: 7px 10px">[[파일:중국국기.png]]</div>
21번째 줄: 21번째 줄: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역사'''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역사'''
|-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 중국공산당 창당''' 1921년 7월 1일<br>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 중국공산당 창당''' 1921년 7월 23일<br>
'''• [[제1차 국공내전 (국가의 시대)|제1차 국공내전]]''' 1927년 8월 1일<br>
'''• [[제1차 국공내전 (국가의 시대)|제1차 국공내전]]''' 1927년 8월 1일<br>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수립''' 1931년 11월 7일<br>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수립''' 1931년 11월 7일<br>
'''• [[대장정]]''' 1936년 10월 22일<br>
'''• [[대장정]]''' 1934년 10월 16일<br>
'''[[제2차 국공내전 (국가의 시대)|제2차 국공내전]]''' 1951년 10월 11일<br>
'''[[제2차 국공내전 (국가의 시대)|제2차 국공내전]]''' 1950년 10월 11일<br>
'''• 건국''' 1954년 8월 1일<br>
'''• 건국''' 1954년 8월 1일<br>
'''• [[신장 위구르 병합]]''' 1957년 11월 11일<br>
'''• [[동튀르키스탄 병합]]''' 1957년 5월 28일<br>
'''• 대약진 운동''' 1960년 1월 5일<br>
'''• [[천안문 항쟁]]''' 1990년 12월 11일<br>
|-
|-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지리'''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지리'''
38번째 줄: 40번째 줄: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면적'''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면적'''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5,188,900 km²<sup>(2024)</sup><br>(202개국 중 '''6위''')<ref>명목상 영토로는 현 [[티베트 (국가의 시대|티베트]](시짱, 西藏)와 남중국(광둥성, 광시족 자치구, 푸젠성, 장시성, 저장성, 안후이성, 장쑤성, 후베이성, 구이저우성, 쓰촨성, 윈난성), 그리고 한국의  요동도, 압록도, 흑룡도(둥베이, 东北)가 있으며, 사실 현재는 북중국정부의 실효지배 지역인 신장 위그루 자치구도 [[신장 위그루 병합]]으로 합병하기 전까진 명목상 영토였다.</ref>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5,259,854km²<sup>(2025)</sup><br>(203개국 중 '''6위''')<ref>명목상 영토로는 현 [[티베트 (국가의 시대)|티베트]](시짱, 西藏)와 남중국(후베이, 안후이, 장쑤, 저장, 장시, 푸젠, 대만, 하이난, 윈난, 후난, 쓰촨성, 구이저우성광시족 자치구)과 현 요동도, 압록도, 흑룡도(둥베이, 东北)가 있으며, 원래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도 명목상 영토였지만 [[동튀르키스탄 병합]]이 일어난 뒤로는 합병되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문서 참조</ref>  
|-
|-
[[파일:북중국.png]]
[[파일:북중국 (1).png]]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수도'''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베이징시(北京市)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최대도시'''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베이징시(北京市)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접경국'''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대한민국, 티베트, [[남중국]]
|}
|-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인문 환경'''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div class="mw-customtoggle-prc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prc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background: #fff"
|-
| rowspan="5" width="15%" colspan="1"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인구'''
| width="25%" colspan="1"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총 인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536,726,901명<sup>(2025)</sup> | 세계 3위
|-
| rowspan="2" width="25%" colspan="1"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민족구성'''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한족 (97.27%)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기타 25개 소수민족 (2.73%)
|-
| colspan="1"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인구 밀도'''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102.1명/㎢명
|-
| colspan="1"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출산율'''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0.87명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공용어'''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중국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공용 문자'''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한자]]<sup>(간체)</sup><br>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종교'''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국교 없음'''<br>불교 6.46%, 도교 및 기타 종교 4.7%, 기독교 1.39%, 이슬람 1.93%, 무신론과 무종교 및 전통신앙 86.52%<ref> 종교인이 굉장히 적은 편이다. 이유는 마오쩌둥이 종교가 자신의 장기집권에 불리하다는걸 깨닫고 무자비하게 탄압했기 때문이다. 탄압받은 종교인들은 남중국으로 가거나, 정부의 탄압을 피해 사는 처지가 되었다.</ref>
|}
|-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하위 행정구역'''
|-
| colspan="6"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middle |
<div class="mw-customtoggle-prc3"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prc3"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background: #fff"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성급행정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직할시, 10성, 3자치구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지급행정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11개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현급행정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1,249개 현급시, 현, 자치현, 시할구, 기, 자치기, 민족구, 특구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향급행정구'''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0,612개 진, 향, 민족향, 현할구, 가도, 소목, 민족소목
|}
|-
|-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정치'''
| colspan="6"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정치'''
54번째 줄: 120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민주주의 지수'''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민주주의 지수'''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11점, 권위주의<sup>(2024)</sup><br>(167개국 중 '''145위''')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11점, 권위주의<sup>(2025)</sup><br>(202개국 중 '''145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국가주석<br>공산당 총서기<br>중앙군사위원회 주석<br><small>(국가원수)</small>'''
| colspan="2" style="background: #ee1520; color: #ffff00" align=middle | '''국가주석<br>공산당 총서기<br>중앙군사위원회 주석<br><small>(국가원수)</small>'''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장웨이]]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롱즈톈]]
|-
|-

2025년 5월 15일 (목) 20:36 기준 최신판

중화인민공화국[1]
中华人民共和国[2] | 中華人民共和國[3]
People's Republic of China
국기 국장
为人民服务
인민을 위해 복무한다
상징
국가 의용군 진행곡
국조 두루미, 금계
역사
• 중국공산당 창당 1921년 7월 23일

제1차 국공내전 1927년 8월 1일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수립 1931년 11월 7일
대장정 1934년 10월 16일
제2차 국공내전 1950년 10월 11일
• 건국 1954년 8월 1일
동튀르키스탄 병합 1957년 5월 28일
• 대약진 운동 1960년 1월 5일
천안문 항쟁 1990년 12월 11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면적 5,259,854km²(2025)
(203개국 중 6위)[4]
수도 베이징시(北京市)
최대도시 베이징시(北京市)
접경국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대한민국, 티베트, 남중국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536,726,901명(2025) | 세계 3위
민족구성 한족 (97.27%)
기타 25개 소수민족 (2.73%)
인구 밀도 102.1명/㎢명
출산율 0.87명
공용어 중국어
공용 문자 한자(간체)
종교 국교 없음
불교 6.46%, 도교 및 기타 종교 4.7%, 기독교 1.39%, 이슬람 1.93%, 무신론과 무종교 및 전통신앙 86.52%[5]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급행정구 2직할시, 10성, 3자치구
지급행정구 211개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현급행정구 1,249개 현급시, 현, 자치현, 시할구, 기, 자치기, 민족구, 특구
향급행정구 20,612개 진, 향, 민족향, 현할구, 가도, 소목, 민족소목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중국식 민주주의), 다당합작, 일당우위정당제, 단원제, 단일국가, 중앙집권제
민주주의 지수 2.11점, 권위주의(2025)
(202개국 중 145위)
국가주석
공산당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국가원수)
롱즈톈
  1. 사실 실생활에서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약칭인 "북중국"이라는 이름이 더 많이 쓰인다.
  2. 간체자(북중국어)
  3. 정체자(남중국어)
  4. 명목상 영토로는 현 티베트(시짱, 西藏)와 남중국(후베이, 안후이, 장쑤, 저장, 장시, 푸젠, 대만, 하이난, 윈난, 후난, 쓰촨성, 구이저우성광시족 자치구)과 현 요동도, 압록도, 흑룡도(둥베이, 东北)가 있으며, 원래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도 명목상 영토였지만 동튀르키스탄 병합이 일어난 뒤로는 합병되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문서 참조
  5. 종교인이 굉장히 적은 편이다. 이유는 마오쩌둥이 종교가 자신의 장기집권에 불리하다는걸 깨닫고 무자비하게 탄압했기 때문이다. 탄압받은 종교인들은 남중국으로 가거나, 정부의 탄압을 피해 사는 처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