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제 (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역대 조 황제}}
{{역대 조 황제}}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670000;max-width:450px;"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670000;max-width:450px;"
!colspan="5" width="450px"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70000); color: #ece5b6; font-size: 12pt; line-height: 1.7em" | 조 제14대 황제<Big><br>정명제 | 正明帝</Big>
!colspan="5" width="450px"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00 0%, #670000 20%, #670000 80%, #330000); color: #ece5b6; font-size: 12pt; line-height: 1.7em" | 조 제14대 황제<Big><br>정명제 | 正明帝</Big>
|-
| colspan="2" style="font-size: 11pt; color: #FFFFFF; background: #1e4a71;"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정명제.webp]]</div></center>
|-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출생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출생
17번째 줄: 18번째 줄:
| colspan="4" style="font-size: ; | [[1505년]] [[2월 4일]] (향년 57세)
| colspan="4" style="font-size: ; | [[1505년]] [[2월 4일]] (향년 57세)
|-
|-
| colspan="4" style="font-size: | 조 남경 헤이롱장성  
| colspan="4" style="font-size: | 조 남경 경선부 헤이롱장성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능묘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능묘
24번째 줄: 25번째 줄:
! colspan="1" rowspan="7"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재위기간
! colspan="1" rowspan="7"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재위기간
|-
|-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fff ; background: #2C2652;" | '''조 정왕'''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fff ; background: #2C2652;" | '''조 정(正)왕'''
|-
|-
| colspan="4" style="font-size: ;" | [[1448년]] [[9월 2일]] ~ [[1452년]] [[1월 9일]]
| colspan="4" style="font-size: ;" | [[1448년]] [[9월 2일]] ~ [[1452년]] [[1월 9일]]
45번째 줄: 46번째 줄: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부모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부모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부황 [[가덕제(조)|영종 효황제]]<br>모후 화선경황후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부황 [[가덕제 (조)|영종 효황제]]<br>모후 화선경황후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형제자매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형제자매  
66번째 줄: 67번째 줄: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연호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연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정명(正明, 1469년 ~ 1505년)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정명(正明) (1469년 ~ 1505년)
|-
|-
|}
|}
79번째 줄: 80번째 줄:
제13대 가덕제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당시 강국이였던 제나라를 점령하고 친히 북연으로 들어가 외교담판을 짓고, 갑진대기근 시기 수라상을 줄여가며 식량 소비를 절약하여 굶주린 백성들에게 궁중 창고를 개방하는등 인치제 이후 망해가던 조나라를 되살려놓은 조나라의 몇 안되는 성군이였다.
제13대 가덕제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당시 강국이였던 제나라를 점령하고 친히 북연으로 들어가 외교담판을 짓고, 갑진대기근 시기 수라상을 줄여가며 식량 소비를 절약하여 굶주린 백성들에게 궁중 창고를 개방하는등 인치제 이후 망해가던 조나라를 되살려놓은 조나라의 몇 안되는 성군이였다.


== 2. 생애 ==
= 생애 =
기선(정명제)은 1447년(가덕 2년)<ref>"인치" 연호를 복구시키기 전인 당시에는 가덕 11년이였다.</ref>에 가덕제와 화선경황후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기선은 당시 가덕제가 장남을 잃은후 10년만에 낳은 귀한 아들이였기 때문에 기선의 탄생은 가덕제로써는 큰 기쁨이였다. 당시 가덕제는 태어난지 하루도 안된 기선을 바로 태자로 책봉하려 하였으나 당시 신하들이 극구 만류하여 기선은 임시로 "금강원자"라 봉해지고 나이 1세때 경원황자로 봉해졌다가 나이 5세때 태자로 정식 책봉되었다.  
기선(정명제)은 1447년(가덕 2년)<ref>"인치" 연호를 복구시키기 전인 당시에는 가덕 11년이였다.</ref>에 가덕제와 화선경황후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기선은 당시 가덕제가 장남을 잃은후 10년만에 낳은 귀한 아들이였기 때문에 기선의 탄생은 가덕제로써는 큰 기쁨이였다. 당시 가덕제는 태어난지 하루도 안된 기선을 바로 태자로 책봉하려 하였으나 당시 신하들이 극구 만류하여 기선은 임시로 "금강원자"라 봉해지고 나이 1세때 경원황자로 봉해졌다가 나이 5세때 태자로 정식 책봉되었다.  



2025년 6월 22일 (일) 11:40 기준 최신판


조(趙) 황제
[ 펼치기 · 접기 ]
대조 大趙
초대 제2대 제3대
건원제 흥헌제 융정제
제4대 제5대 제6대
경명제 숭태제 선혜제
제7대 제8대 제9대
명성제 문치제 경희제
제10대 제11대 제12대
영덕제 순화제 인치제
제13대 제14대 제15대
가덕제 정명제 안정제
제16대 제17대 제18대
숭희제 경정제 만통제
제19대 제20대 제21대
선치제 숭경제 경성제
남조 南趙
제22대 제23대 제24대
흥광제 영정제 만덕제
조 제14대 황제
정명제 | 正明帝
출생 1447년 8월 7일
조 남경 경선부 헤이롱장성
즉위 1468년 4월 11일
조 남경 경선부 헤이롱장성
사망 1505년 2월 4일 (향년 57세)
조 남경 경선부 헤이롱장성
능묘 유릉(裕陵)
재위기간
조 정(正)왕
1448년 9월 2일 ~ 1452년 1월 9일
조 황태자
1452년 1월 9일 ~ 1468년 4월 11일
제14대 황제
1468년 4월 11일 ~ 1505년 2월 4일
[ 펼치기 · 접기 ]
성씨 기(纪)
선(善)
부모 부황 영종 효황제
모후 화선경황후
형제자매 4남 3녀중 차남
배우자 신혜정황후,숙효황후
자녀 10남 15녀
작호 정왕(正王) → 황태자(皇太子) → 황제(皇帝)
묘호 고종(高宗)
시호 현황제
(愛賢皇帝)
연호 정명(正明) (1469년 ~ 1505년)

개요

중국 조나라의 제14대 황제.

연호는 정명이며 묘호는 고종으로, 제13대 가덕제의 차남이며 휘는 선이다. 어머니는 화선치세 라고도 많이 알려진 화선경황후였다.

제13대 가덕제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당시 강국이였던 제나라를 점령하고 친히 북연으로 들어가 외교담판을 짓고, 갑진대기근 시기 수라상을 줄여가며 식량 소비를 절약하여 굶주린 백성들에게 궁중 창고를 개방하는등 인치제 이후 망해가던 조나라를 되살려놓은 조나라의 몇 안되는 성군이였다.

생애

기선(정명제)은 1447년(가덕 2년)[1]에 가덕제와 화선경황후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기선은 당시 가덕제가 장남을 잃은후 10년만에 낳은 귀한 아들이였기 때문에 기선의 탄생은 가덕제로써는 큰 기쁨이였다. 당시 가덕제는 태어난지 하루도 안된 기선을 바로 태자로 책봉하려 하였으나 당시 신하들이 극구 만류하여 기선은 임시로 "금강원자"라 봉해지고 나이 1세때 경원황자로 봉해졌다가 나이 5세때 태자로 정식 책봉되었다.

기선은 태자 책봉후 당시 최고의 전문학자들과 관료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기선은 유가 경전과 법전을 모두 암송하고 제왕의 법도와 세상의 이치를 꽤뚫는등 매우 총명하여 모두가 태자가 장차 최고의 성군이 될것이라고 예견하였다.

하루는 태자의 나이 15세때 아버지 가덕제와 함께 사냥을 나갔다가 갑자기 태자가 타고 있던 말의 말발굽이 부러져 낙마하게 되어 머리에 큰 부상을 입고 의식불명 상태가 되었다. 태자는 다행히도 몇시진 뒤에 깨어났지만 이후 후유증이 크게 남아 몸이 매우 허약해졌으며 잔병 치례가 많아져 가덕제의 걱정을 샀다. 그날 이후 태자는 자주 병이 들기 시작하여 병이 들었다가 회복되었다가를 반복하다가 당시 명의였던 석충의 탕제를 먹고 완전히 회복하였다. 이후 석충이 죽었을때 정명제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그에게 친히 호문공 이라는 공호를 봉했다.

그의 나이 19세 때에는 그의 동복동생 중친왕 기민과 함께 연못 주위에서 놀다가 실수로 연못에 빠져 기민이 간신히 태자를 물속에서 끌어올려서 즉시 태자궁으로 이송되었고 하루만에 건강을 되찾았다. 당시 가덕제는 병석에 누워있다가 태자가 연못에 빠졌다는 소식을 듣곤 벌떡 일어나 아픈 몸으로 태자궁으로 들어가 태자의 건강상태를 살피다가 쓰러져 다시는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하였다.

정명제는 1468년(정명 원년)에 부황이 갑작스럽게 승하하자 20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초반 6년간은 치세가 평화로워 국정을 안정스럽게 잘 다스렸다. 그러나 정명 6년(1474년) 북방의 북연이 서서히 조나라를 향해 남진하자 정명제는 대장군 충석과 금공을 각각 조연성과 북신성 으로 보냈다. 그러나 충석과 금공을 보낸뒤에도 차도가 없자 정명제는 본인이 직접 전쟁에 나서서 승전을 거뒀고, 이후 정명 9년(1477년)에 상호불가침 조약과 책임배상조약을 맺고 전쟁을 끝냈다.

정명 10년(1478년)에는 정명제의 황후였던 숙효황후가 궁안에서 이상한 요술을 부린다는 소문이 퍼져 정명제가 확인차 황후에게 찾아가던중 수십명의 남자들을 발견하였고 이와 같은 남자들은 모두 황후와 동침을 하였다. 이 사실에 정명제는 대노하여 황후를 폐후하려고 하다가 황후와 황후의 가족들의 진심어린 사죄로 용서를 하였으나 얼마 뒤에 관료의 신고로 숙효황후의 요술 행위가 발각되어 폐후되었고 폐위된 숙효황후는 유배를 갔다. 폐황후의 가족들도 사실상 지위를 잃어서 정명제를 배신하고 반란을 일으키려 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모두 유배되었다.

  1. "인치" 연호를 복구시키기 전인 당시에는 가덕 11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