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고등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알림창|[[칠성고등학교: Second Chance]]의 진행으로 신규 러너들의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일부 문서가 가림 처리되었습니다. 문서의 일부 혹은 전체가 가림 처리된 문서 목록은 [[:분류:칠성고등학교/임시 보호된 문서|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top}}
{{namucat|칠성고등학교}}[[분류:CSH]]{{css|칠성고등학교}}{{navbarcolor|#00beff}}{{사이트 배경|칠성고}}
{{namucat|칠성고등학교}}[[분류:CSH]]{{css|칠성고등학교}}{{navbarcolor|#00beff}}{{사이트 배경|칠성고}}
<!--<div style="position: fixed; top: 0%; right: 0%; width: 100%; height: 100%; z-index: -3;">[[파일:칠성고 프사2.png|10000px|link=]]--><!--[[파일:Losia white background.png|10000px|link=]]<div style="position: absolute; bottom: 0%;">[[파일:칠성고 한복 단체.jpg|10000px|link=]]</div></div>-->
<!--<div style="position: fixed; top: 0%; right: 0%; width: 100%; height: 100%; z-index: -3;">[[파일:칠성고 프사2.png|10000px|link=]]--><!--[[파일:Losia white background.png|10000px|link=]]<div style="position: absolute; bottom: 0%;">[[파일:칠성고 한복 단체.jpg|10000px|link=]]</div></div>-->
11번째 줄: 10번째 줄:
{{칠성고등학교}}
{{칠성고등학교}}
{|{{style|class=wiki|max-width=420px|table=right|border=#00beff}}
{|{{style|class=wiki|max-width=420px|table=right|border=#00beff}}
|-
|{{style|colspan=2|bg=#00beff}}|{{펼접|id=names-in-other-languages|titlecolor=white|title=[ 언어별 명칭 ]}}
|-
!{{style|width=25%|bg=#00beff}}|{{cl|한국어|white}}
|칠성고등학교
|-
!{{style|bg=#00beff}}|{{cl|영어|white}}
|Chilsung Highschool{{ref|원래 고등학교는 High School로 띄어써야 하지만 팀봇 이름은 붙여 쓴다.}}
|-
!{{style|bg=#00beff}}|{{cl|러시아어|white}}
|Чильсон Старшаяшкола
|-
!{{style|bg=#00beff}}|{{cl|일본어|white}}
|{{ruby|七|しち}}{{ruby|星|せい}}{{ruby|高|こう}}{{ruby|等|とう}}{{ruby|学|がっ}}{{ruby|校|こう}}
|-
!{{style|bg=#00beff}}|{{cl|한자|white}}
|{{중국어|七星高等學校}}
|-
!{{style|bg=#00beff}}|{{cl|로시스|white}}
|{{Roche|C|h|i|l|s|u|n|g}} {{Roche|H|i|g|h|s|c|h|o|o|l}}
|-
!{{style|bg=#00beff}}|{{exhide|type=wikip|윙딩체|{{c|white|윙딩체}}}}
|{{wd|Chilsung Highschool}}
{{펼접끝}}
|-
|-
!{{style|colspan=2|bg=#00beff|align=center|color=white}}|{{++1|칠성고등학교}}<br>{{nobold|七星高等學校<br>Chilsung Highschool}}
!{{style|colspan=2|bg=#00beff|align=center|color=white}}|{{++1|칠성고등학교}}<br>{{nobold|七星高等學校<br>Chilsung Highschool}}
18번째 줄: 41번째 줄:
|{{style|colspan=2|bg=#00beff}}|{{펼접|id=chilsung-other-logos|titlecolor=white|title=[ 다른 표지 및 로고 ]}}
|{{style|colspan=2|bg=#00beff}}|{{펼접|id=chilsung-other-logos|titlecolor=white|title=[ 다른 표지 및 로고 ]}}
|-
|-
|{{nmi|칠성고 로고 new black.png}}
|{{style|padding: 0;}}|{{invert-img|칠성고 로고 new black.png|1000px}}
|-
|-
!{{style|bg=#00beff|color=white}}|메인 로고
!{{style|bg=#00beff|color=white}}|메인 로고
|-
|-
|{{nmi|칠성고 로고 black.png}}
|{{style|padding: 0;}}|{{invert-img|칠성고 로고 black.png|1000px}}
|-
|-
!{{style|bg=#00beff|color=white}}|{{cl|칠성고등학교 시즌 1|white|1기}}부터 {{cl|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white|4기}}까지의 로고{{ref|현재 로고는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부터 사용되었다.}}
!{{style|bg=#00beff|color=white}}|{{cl|칠성고등학교 시즌 1|white|1기}}부터 {{cl|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white|4기}}까지의 로고{{ref|현재 로고는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부터 사용되었다.}}
39번째 줄: 62번째 줄:
|-
|-
!{{style|bg=#00beff|color=white}}|운영진
!{{style|bg=#00beff|color=white}}|운영진
|레이, 산, 률을 비롯한 '''모든 러너'''{{ref|운영진을 '''팀봇 연출에 가담하여 스토리를 조정한 사람'''으로 본다면 말 그대로 러너 모두가 동시에 운영진이다. 이는 굵직한 스토리를 기획하고 구상한 실 운영진들의 노고가 크다.}}
|주요 운영진을 비롯한 '''모든 러너'''{{ref|운영진을 '''팀봇 연출에 가담하여 스토리를 조정한 사람'''으로 본다면 말 그대로 러너 모두가 동시에 운영진이다. 이는 굵직한 스토리를 기획하고 구상한 실 운영진들의 노고가 크다.}}
|-
|-
!{{style|bg=#00beff|color=white}}|러닝 기간
!{{style|rowspan=2|bg=#00beff|color=white}}|러닝 기간
|2021년 1월 3일 ~ 2021년 9월 14일{{펼접|id=running-period-info|title=[ 시즌별 ]|align=left}}
|2021년 1월 3일 ~ 2021년 9월 14일{{^^|(본편)}}<br>2023년 11월 28일 ~ 2024년 10월 19일{{^^|([[/리메이크|re]])}}
|-
|-
|{{center|[[칠성고등학교 시즌 1|1기]]}}
|{{펼접|id=running-period-info|title=[ 시즌별 ]|align=left}}
|-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시즌 1|1기]]
|2021년 1월 3일 ~ 2021년 1월 20일
|2021년 1월 3일 ~ 2021년 1월 20일
|-
|-
|{{center|[[칠성고등학교 시즌 2|2기]]}}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시즌 2|2기]]
|2021년 1월 22일 ~ 2021년 3월 5일
|2021년 1월 22일 ~ 2021년 3월 5일
|-
|-
|{{center|[[칠성고등학교 시즌 3|3기]]}}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시즌 3|3기]]
|2021년 3월 11일 ~ 2021년 3월 29일
|2021년 3월 11일 ~ 2021년 3월 29일
|-
|-
|{{center|[[칠성고등학교 외전: 忘雄|외전]]}}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외전: 忘雄|외전]]
|2021년 4월 12일 ~ 2021년 5월 11일
|2021년 4월 12일 ~ 2021년 5월 11일
|-
|-
|{{center|[[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4기]]}}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4기]]
|2021년 5월 13일 ~ 2021년 9월 14일
|2021년 5월 13일 ~ 2021년 9월 14일
|-
|-
|{{center|[[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FC]]}}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FC]]
|{{folding|id=fc-ending-days|title={{nobold|2023년 11월 28일 ~ 2024년 2월 25일}}|{{hr}}{{ref|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3월 4일이다.}}}}
|{{folding|id=fc-ending-days|title={{nobold|2023년 11월 28일 ~ 2024년 2월 25일}}|{{hr}}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3월 4일이다.}}
|-
|-
|{{center|[[칠성고등학교: Second Chance|SC]]}}
|{{style|align=center|white-space: nowrap;}}|[[칠성고등학교: Second Chance|SC]]
|2024년 3월 8일 ~
|{{folding|id=sc-ending-days|title={{nobold|2024년 3월 8일 ~ 2024년 10월 19일}}|{{hr}}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에필로그 및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10월 26일이다.}}
{{펼접끝}}
{{펼접끝}}
|-
|-
!{{style|bg=#00beff|color=white}}|엔딩
!{{style|rowspan=2|bg=#00beff|color=white}}|엔딩
|{{펼접|id=chilsung-main-ending-info|align=left}}
|{{펼접|id=chilsung-main-ending-info|title=[ 본편 ]|align=left}}
|-
|-
|[[칠성고등학교/엔딩 기념 영상|엔딩 기념 영상]]
|[[칠성고등학교/엔딩 기념 영상|엔딩 기념 영상]]
74번째 줄: 99번째 줄:
|-
|-
|개장부터 엔딩까지 '''{{날수|2021|1|2|2021|9|14}}일'''
|개장부터 엔딩까지 '''{{날수|2021|1|2|2021|9|14}}일'''
{{펼접끝}}
|-
|{{펼접|id=chilsung-main-ending-info-remake|title=[ 리메이크 ]|align=left}}
|-
|2024년 10월 19일자로 세컨드 찬스 마지막 스토리 진행을 마치고 '''2024년 10월 26일 최종엔딩'''
|-
|개장부터 엔딩까지 '''{{날수|2023|11|28|2024|10|26}}일'''
{{펼접끝}}
{{펼접끝}}
|-
|-
83번째 줄: 115번째 줄:
|-
|-
!{{style|bg=#00beff|color=white}}|문서수
!{{style|bg=#00beff|color=white}}|문서수
|[[:분류:CSH|{{#expr:{{PAGESINCATEGORY:CSH|all}}+{{PAGESINCATEGORY:CSH/넘겨주기|all}}+{{PAGESINCATEGORY:CSH/인물|all}}}}개]] {{fs|9|([[제이위키]])}}{{ref|작성'''해야 할''' 문서까지 더하면 이보다 많다.}}<!--
|[[:분류:CSH|{{#expr:{{PAGESINCATEGORY:CSH|all}}+{{PAGESINCATEGORY:CSH/넘겨주기|all}}+{{PAGESINCATEGORY:CSH/인물|all}}}}개]] {{fs|9|([[제이위키]])}}{{ref|작성'''해야 할''' 문서까지 더하면 이보다 많다.}}
|-
!{{style|rowspan=2|bg=#00beff|color=white}}|관련 링크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20픽셀|link=https://story.kakao.com/adhgop01]]{{ttt|본편|[[칠성고등학교 시즌 1|시즌 1]], [[칠성고등학교 시즌 2|시즌 2]], [[칠성고등학교 시즌 3|시즌 3]],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시즌 4: Finale]]}}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20픽셀|link=https://story.kakao.com/akddnd]]{{ttt|외전|[[칠성고등학교 외전: 忘雄|외전: 忘雄]]}}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20픽셀|link=https://story.kakao.com/_kSusCA]]{{ttt|re|[[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First Children]]}}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20픽셀|link=https://story.kakao.com/on_the_wxy]]{{ttt|소설|현재 접속 불가}}
|-
|[[파일:포스타입 아이콘.svg|20픽셀|link=https://livealthoughalone.postype.com/]] │ [[파일:유튜브 아이콘.png|20픽셀|link=https://www.youtube.com/channel/UCCkqmGSGTs4WmAfAMbtEaKg]]-->
|}
|}
{{목차}}
{{목차}}
{|{{style|class=wiki|max-width=400px|table=center|border=#00beff|align=center}}
{|{{style|class=wiki|max-width=400px|width=100%|table=center|border=#00beff|align=center|layout=on}}
|-
|-
|{{style|colspan=2|bg=#00beff}}|{{너비맞춤}}[[파일:칠성고 로고 new.png|150px|가운데|link=]]
|{{style|colspan=2|bg=#00beff}}|{{너비맞춤}}[[파일:칠성고 로고 new.png|150px|가운데|link=]]
|-
|-
!{{style|width=50%}}|{{nobold|개장일로부터}}
!{{style|padding: 0;}}|{{nobold|개장일로부터}}
!{{style|width=50%}}|{{nobold|엔딩일로부터}}
!{{style|padding: 0;}}|{{nobold|엔딩일로부터}}
|-
|-
|{{++5|{{neon|#00beff|inherit|번짐=12|D+{{날수|2021|1|2}}}}}}
|{{++5|{{neon|#00beff|inherit|번짐=12|D+{{날수|2021|1|2}}}}}}
|{{++5|{{neon|#00beff|inherit|번짐=12|D+{{날수|2021|9|13}}}}}}
|{{++5|{{neon|#00beff|inherit|번짐=12|D+{{날수|2021|9|13}}}}}}
|-
|-
|<div style="margin: -.3rem 0;">2021.1.3</div>
!{{style|padding: 0;}}|{{nobold|2021.1.3}}
|<div style="margin: -.3rem 0;">2021.9.14<!--02:19:34+0900--></div>
!{{style|padding: 0;}}|{{nobold|2021.9.14}}
|-
|colspan=2|{{펼접|id=from-open-to-close-remake|title=[ 리메이크 ]|layout=on}}
|-
!{{style|padding: 0;}}|{{nobold|개장일로부터}}
!{{style|padding: 0;}}|{{nobold|엔딩일로부터}}
|-
|{{++5|{{neon|#00beff|inherit|번짐=12|D+{{날수|2023|11|27}}}}}}
|{{++5|{{neon|#00beff|inherit|번짐=12|D+{{날수|2024|10|25}}}}}}
|-
!{{style|padding: 0;}}|{{nobold|2023.11.28}}
!{{style|padding: 0;}}|{{nobold|2024.10.26}}
{{펼접끝}}
|}
|}
== 개요 ==
== 개요 ==
111번째 줄: 150번째 줄:
# '''액션'''<br>아래의 이능력 배틀과 맞물려 팀봇의 주된 양상이 러너 측과 빌런 측의 대립이며 이에 따라 전투 역극이 거의 매 스토리 진행마다 필수적으로 나온다.{{brbr}}<!--
# '''액션'''<br>아래의 이능력 배틀과 맞물려 팀봇의 주된 양상이 러너 측과 빌런 측의 대립이며 이에 따라 전투 역극이 거의 매 스토리 진행마다 필수적으로 나온다.{{brbr}}<!--
-->
-->
# '''이능력 배틀'''<br>'''애초에 팀봇의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설정이 [[이능력]]이다.''' 팀봇에는 원소계 키네시스처럼 단순하고 흔한 이능력부터 [[아테나#이능력|미네르바 토너먼트]]나 [[이해인#이능력|에고 힐러]]와 같은 독특하고 복잡한 이능력 등 사람의 머릿수만큼 다양한 이능력이 등장하고, 그런 이능력자들이 각자의 신념과 정의를 이루기 위해 싸운다.{{brbr}}<!--
# '''이능력 배틀'''<br>'''애초에 팀봇의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설정이 [[이능력]]이다.''' 팀봇에는 원소계 키네시스처럼 단순하고 흔한 이능력부터 [[미네르바 토너먼트]]나 [[사상의 척도]]와 같은 독특하고 복잡한 이능력 등 사람의 머릿수만큼 다양한 이능력이 등장하고, 그런 이능력자들이 각자의 신념과 정의를 이루기 위해 싸운다.{{brbr}}<!--
-->
-->
# '''성장'''<br>러너, 즉 팀봇의 주인공 세력으로 볼 수 있는 이들이 [[첫 번째 아이들|아직 미성숙한 고등학생들]]이며, 이들이 사선을 넘나들고 세계의 운명과 존치를 건 싸움을 겪고 이겨 나가면서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성장하고 성숙해지는 과정이 그려진다.{{brbr}}<!--
# '''성장'''<br>러너, 즉 팀봇의 주인공 세력으로 볼 수 있는 이들이 [[첫 번째 아이들|아직 미성숙한 고등학생들]]이며, 이들이 사선을 넘나들고 세계의 운명과 존치를 건 싸움을 겪고 이겨 나가면서 [[전설의 기수|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성장하고 성숙해지는]] 과정이 그려진다.{{brbr}}<!--
-->
-->
# '''{{--|연애}}'''<br>오히려 전쟁통에 사랑이 더 꽃핀다고, {{--|사실 그런 건 아무 상관없고 그냥 오너들의 가십거리일 뿐이지만}} 학생들 상호 간에 커플이 많고 커플이든 솔로든 사랑 얘기에 관해 평균적으로 모두 흥미가 많은 편이다.
# '''{{--|연애}}'''<br>오히려 전쟁통에 사랑이 더 꽃핀다고, {{--|사실 그런 건 아무 상관없고 그냥 오너들의 가십거리일 뿐이지만}} 학생들 상호 간에 커플이 많고 커플이든 솔로든 사랑 얘기에 관해 평균적으로 모두 흥미가 많은 편이다.


== 시즌 ==
== 시즌 ==
{|{{style|class=wiki}}
* [[칠성고등학교 시즌 1]]
|-
* [[칠성고등학교 시즌 2]]
!rowspan=3|본편
* [[칠성고등학교 시즌 3]]
|[[칠성고등학교 시즌 1]]
* [[칠성고등학교 외전: 忘雄]]
|-
*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
|[[칠성고등학교 시즌 2]]
* [[/리메이크|리메이크]]
|-
**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
|[[칠성고등학교 시즌 3]]
** [[칠성고등학교: Second Chance]]
|-
** [[칠성고등학교: Third Order]]
!외전
* [[/스핀오프|스핀오프]]
|[[칠성고등학교 외전: 忘雄]]
** [[작전명: 맥스웰]]
|-
** {{--|[[작전명: 딜리스]]}}{{ref|예정 취소. 수요 조사까지는 진행되었고 인원을 만족했지만 준비 과정에서 취소되어 개장은 진행되지 않았다.}}
!본편
* {{--|[[칠성고등학교: 아타락시아]]}}{{ref|정규 시즌이 아니며 개장된 적 없음.}}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
|-
!rowspan=2|리메이크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
|-
|[[칠성고등학교: Second Chance]]
|-
!비정규
|{{--|[[칠성고등학교: 아타락시아]]}}{{ref|정규 시즌이 아니며 개장된 적 없음.}}
|}
 
위 목록은 개장 순서이며, 시간 순서 상으로는 외전 {{ruby|→|12년 뒤}} 1기(FC) {{ruby|→|1년 뒤}} 2기(SC) {{ruby|→|5년 뒤}} 3기 {{ruby|→|직후}} 4기이다. 외전에서 12년 뒤가 1기, 1기에서 1년 뒤가 2기, 2기에서 5년 뒤가 3기이며 3기와 4기는 같은 연도다.


리메이크 시즌인 FC는 1기와 같은 배경이며 SC는 2기와 같다. 즉 FC와 SC는 마찬가지로 1년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외전과 1기는 12년 차이인 데 반해 외전과 FC는 6년 차이다. 리메이크되면서 설정이 다소 바뀐 듯하다.
리메이크 시즌인 FC는 1기와 같은 배경이며 SC는 2기와 같다. 즉 FC와 SC는 마찬가지로 1년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외전과 1기는 12년 차이인 데 반해 외전과 FC는 6년 차이다. 또한 2기와 3기는 5년 차이지만 SC와 TO는 8년 차이다. 리메이크되면서 설정이 다소 바뀐 듯하다.


=== [[/엔딩 기념 영상|엔딩]] ===
=== [[/엔딩 기념 영상|엔딩]] ===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엔딩 기념 영상}}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엔딩 기념 영상}}
=== [[/리메이크|리메이크]] ===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리메이크}}
=== [[/스핀오프|스핀오프]] ===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스핀오프}}


== [[칠성고등학교/줄거리|줄거리]] ==
== [[칠성고등학교/줄거리|줄거리]] ==
159번째 줄: 192번째 줄:


== [[칠성고등학교/등장 세력|등장 세력]] ==
== [[칠성고등학교/등장 세력|등장 세력]] ==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등장 세력}}<!--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등장 세력}}


== 총괄진 ==
== 총괄진 ==
소위 '호미'{{ref|밭을 갈 때 사용하는 그 호미. 팀봇이라는 밭을 직접 일구고 갈기 때문에 지어졌다. '운영진에 뛰어든다' 또는 '스토리 진행에 NPC로 참여한다'는 말을 '호미를 쥔다'고 표현하기도 한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총괄진은 총괄과 그외로 나뉘며, 스토리 진행에 NPC로 한 번이라도 참여하여 스토리 진행을 주도한 적이 있는 모든 이들을 이릅니다.
소위 '호미'{{ref|밭을 갈 때 사용하는 그 호미. 팀봇이라는 밭을 직접 일구고 갈기 때문에 지어졌다. '운영진에 뛰어든다' 또는 '스토리 진행에 NPC로 참여한다'는 말을 '호미를 쥔다'고 표현하기도 한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총괄진은 총괄과 그외로 나뉘며, 스토리 진행에 NPC로 한 번이라도 참여하여 스토리 진행을 주도한 적이 있는 모든 이들을 말한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닉네임이 아니라 어떤 캐릭터의 오너인지만 기재한다.


{{MT|style=text-align: center;}}
{|{{style|class=wiki|align=center}}
|-
|-
!rowspan="3"|총괄
!rowspan=2|주요 운영진
|레이
!본편
|<div style="margin-left: -.5em;">
* [[김신기]] 오너
* [[김영희]] 오너
* [[황민호]]/[[백하민]] 오너</div>
|-
|-
|
!리메이크
|<div style="margin-left: -.5em;">
* [[도영희]]/[[고이준]] 오너
* [[황민호 (re)|황민호]]/[[백하민 (re)|백하민]] 오너</div>
|-
|-
|
!colspan=2|그외
|-
|<div style="margin-left: -.5em;">
!style="height: 90px;"|그외
* '''모든 칠성고 오너들'''</div>
|'''모든 칠성고 오너들'''
|}
{{MT끝}}-->
 
[[/리메이크|리메이크]], 특히 그중 러닝 기간이 길었던 [[세컨드 찬스]]에서는 총괄 계정의 프로필 사진이 어두운 밤하늘이었기 때문에 총괄이나 호미보다 '깜하(까만 하늘)'라고 더 많이 불렸다. 아예 엔딩 후기에서 총괄진이 본인들을 이렇게 칭했을 정도.


== 평가 ==
== 평가 ==
184번째 줄: 225번째 줄:
{{인용문CSH|'''숨겨진 명작'''이라고 생각|[[주니]]}}
{{인용문CSH|'''숨겨진 명작'''이라고 생각|[[주니]]}}


팀봇을 직접 뛴 참여자들, 즉 러너들의 평이 매우 좋은 편에 속한다. 이야기 전개의 어색함{{ref|사실 이건 운영진이 전문 시나리오 작가가 아니므로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다. 오히려 반대로 아마추어끼리 기획한 이야기가 이 정도라는 점이 놀라울 정도.}}, 운영진의 사소한 갈등으로 인한 진행 저속화{{ref|특히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는 이로 인해 1부와 2부가 나뉘었으며 그 사이 공백 기간이 무려 한달 가까이 되었다.}}, 특정 인물 편향{{ref|주로 운영진 또는 그와 가까운 지인의 캐릭터. 그러나 이도 팀봇의 편하고 유려한 진행을 위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점이기도 하다.}} 등 비판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절대다수다.
팀봇을 직접 뛴 참여자들, 즉 러너들의 평이 매우 좋은 편에 속한다. 이야기 전개의 어색함{{ref|사실 이건 운영진이 전문 시나리오 작가가 아니므로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다. 오히려 반대로 아마추어끼리 기획한 이야기가 이 정도라는 점이 놀라울 정도. 애초에 영화나 드라마 시나리오를 전문으로 쓰는 각본가는 있을 수 있어도 '''카카오스토리 팀봇'''을 위한 전문 시나리오 작가라는 직업이 있을 리가 없다.}}, 운영진의 사소한 갈등으로 인한 진행 저속화{{ref|특히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는 이로 인해 1부와 2부가 나뉘었으며 그 사이 공백 기간이 무려 한달 가까이 되었다.}}, 특정 인물 편향{{ref|주로 운영진 또는 그와 가까운 지인의 캐릭터. 그러나 이도 팀봇의 편하고 유려한 진행을 위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점이기도 하다.}} 등 비판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절대다수다.


== 패러디 ==
== 패러디 ==
작품 속에 많은 패러디가 나온다. 오마주 수준부터 표절 수준까지 다양하다. 아래는 사례.
작품 속에 많은 패러디가 나온다. 오마주 수준부터 표절 수준까지 다양하다. 아래는 사례.


*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칠성고 re 줄거리|유성 폭격}} 편에서 [[김영희 (re)|김영희]]가 개화하는 장면이 주술회전에서 고등학생인 고죠 사토루가 후시구로 토우지와 싸우다가 각성하게 되는 장면과 비슷하다.<!--
*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칠성고 re 줄거리|유성 폭격}} 편에서 [[도영희]]가 개화하는 장면이 주술회전에서 고등학생인 고죠 사토루가 후시구로 토우지와 싸우다가 각성하게 되는 장면과 비슷하다.
 
지금 이 제이위키에서의 칠성고 서술자인 [[김찬]] 또한 칠성고의 러너 중 한 명으로서 긍정하는 바이다.-->


== [[/명대사|명대사]] ==
== [[/명대사|명대사]] ==
197번째 줄: 236번째 줄:


== [[/갤러리|갤러리]] ==
== [[/갤러리|갤러리]] ==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갤러리}}<!--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갤러리}}
 
== [[/테마곡|테마곡]] ==
{{상세 내용2|칠성고등학교/테마곡}}
 
== 기타 ==
* 칠성고등학교는 카카오스토리에서 팀봇으로 진행되었고 총괄진에서 위키를 적극 이용하거나 홍보한 것도 아니므로 사실상 이 '칠성고 위키'는 단지 [[김찬|러너 중 한 명]]의 팬심에서 비롯한 아카이브일 뿐이지만, 그래도 위키가 팀봇 및 세계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사례가 없지는 않다.
** 하나는 [[이능력]]의 [[이능력#분류|분류]]다. 구버전에서는 전체적으로 세계관 설정이 정립된 게 많이 없기도 했지만 공식적으로 이능력이 현실을 조작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는데, 이에 위키 서술자가 먼저 위키에만 비공식적으로 이능력의 분류 체계를 서술했고 리메이크에서는 이 분류 체계가 [[유석환 (re)|유석환]]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공식 설정이 되었다.<!--


== 미디어 믹스 ==
== 미디어 믹스 ==
220번째 줄: 266번째 줄:
== 둘러보기 ==
== 둘러보기 ==
{{김찬의 참여 팀봇}}
{{김찬의 참여 팀봇}}
{{CORD|분류}}


{{각주}}
{{각주}}

2025년 7월 27일 (일) 22:19 기준 최신판

칠성고등학교
七星高等學校
 칠성고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계관에 등장하는 동명의 학교에 대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 (칠성고등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 언어별 명칭 ]
한국어 칠성고등학교
영어 Chilsung Highschool[1]
러시아어 Чильсон Старшаяшкола
일본어 (しち)(せい)(こう)(とう)(がっ)(こう)
한자 七星高等學校
로시스 ᚦᚺᛁᛚᛋᚢᚾᚷ ᚺᛁᚷᚺᛋᚦᚺᛟᛟᛚ
윙딩체 👍☟✋☹💧🕆☠☝ ☟✋☝☟💧👍☟⚐⚐☹
칠성고등학교
七星高等學校
Chilsung Highschool
[ 다른 표지 및 로고 ]
메인 로고
1기부터 4기까지의 로고[2]
본편 계정의 프로필 사진[3]
Second Chance 계정의 프로필 사진
장르 액션, 이능력 배틀, 성장, 연애
운영진 주요 운영진을 비롯한 모든 러너[4]
러닝 기간 2021년 1월 3일 ~ 2021년 9월 14일(본편)
2023년 11월 28일 ~ 2024년 10월 19일(re)
[ 시즌별 ]
1기 2021년 1월 3일 ~ 2021년 1월 20일
2기 2021년 1월 22일 ~ 2021년 3월 5일
3기 2021년 3월 11일 ~ 2021년 3월 29일
외전 2021년 4월 12일 ~ 2021년 5월 11일
4기 2021년 5월 13일 ~ 2021년 9월 14일
FC
2023년 11월 28일 ~ 2024년 2월 25일

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3월 4일이다.
SC
2024년 3월 8일 ~ 2024년 10월 19일

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에필로그 및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10월 26일이다.
엔딩
[ 본편 ]
엔딩 기념 영상
2021년 9월 12일자로 시즌 4 마지막 스토리 진행을 마치고 2021년 9월 14일 최종엔딩
개장부터 엔딩까지 255일
[ 리메이크 ]
2024년 10월 19일자로 세컨드 찬스 마지막 스토리 진행을 마치고 2024년 10월 26일 최종엔딩
개장부터 엔딩까지 333일
플랫폼 카카오스토리(팀봇)
상징색
#00BEFF
문서수 472개 (제이위키)[5]
개장일로부터 엔딩일로부터
D+1675 D+1421
2021.1.3 2021.9.14
[ 리메이크 ]
개장일로부터 엔딩일로부터
D+616 D+283
2023.11.28 2024.10.26

개요

당신의 운명은 지금 만개합니다!
캐치프레이즈

칠성고등학교는 2021년 1월 3일부터 2021년 9월 14일까지 진행되었던 카카오스토리 팀봇이다.

장르

  1. 액션
    아래의 이능력 배틀과 맞물려 팀봇의 주된 양상이 러너 측과 빌런 측의 대립이며 이에 따라 전투 역극이 거의 매 스토리 진행마다 필수적으로 나온다.
  2. 이능력 배틀
    애초에 팀봇의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설정이 이능력이다. 팀봇에는 원소계 키네시스처럼 단순하고 흔한 이능력부터 미네르바 토너먼트사상의 척도와 같은 독특하고 복잡한 이능력 등 사람의 머릿수만큼 다양한 이능력이 등장하고, 그런 이능력자들이 각자의 신념과 정의를 이루기 위해 싸운다.
  3. 성장
    러너, 즉 팀봇의 주인공 세력으로 볼 수 있는 이들이 아직 미성숙한 고등학생들이며, 이들이 사선을 넘나들고 세계의 운명과 존치를 건 싸움을 겪고 이겨 나가면서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성장하고 성숙해지는 과정이 그려진다.
  4. 연애
    오히려 전쟁통에 사랑이 더 꽃핀다고, 사실 그런 건 아무 상관없고 그냥 오너들의 가십거리일 뿐이지만 학생들 상호 간에 커플이 많고 커플이든 솔로든 사랑 얘기에 관해 평균적으로 모두 흥미가 많은 편이다.

시즌

리메이크 시즌인 FC는 1기와 같은 배경이며 SC는 2기와 같다. 즉 FC와 SC는 마찬가지로 1년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외전과 1기는 12년 차이인 데 반해 외전과 FC는 6년 차이다. 또한 2기와 3기는 5년 차이지만 SC와 TO는 8년 차이다. 리메이크되면서 설정이 다소 바뀐 듯하다.

엔딩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엔딩 기념 영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메이크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리메이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핀오프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스핀오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줄거리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설정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등장 세력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등장 세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총괄진

소위 '호미'[8]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총괄진은 총괄과 그외로 나뉘며, 스토리 진행에 NPC로 한 번이라도 참여하여 스토리 진행을 주도한 적이 있는 모든 이들을 말한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닉네임이 아니라 어떤 캐릭터의 오너인지만 기재한다.

주요 운영진 본편
리메이크
그외
  • 모든 칠성고 오너들

리메이크, 특히 그중 러닝 기간이 길었던 세컨드 찬스에서는 총괄 계정의 프로필 사진이 어두운 밤하늘이었기 때문에 총괄이나 호미보다 '깜하(까만 하늘)'라고 더 많이 불렸다. 아예 엔딩 후기에서 총괄진이 본인들을 이렇게 칭했을 정도.

평가

3.67
별점 부여하러 가기
이 장르의 정점이 아닐까?
기여자
숨겨진 명작이라고 생각
주니

팀봇을 직접 뛴 참여자들, 즉 러너들의 평이 매우 좋은 편에 속한다. 이야기 전개의 어색함[9], 운영진의 사소한 갈등으로 인한 진행 저속화[10], 특정 인물 편향[11] 등 비판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절대다수다.

패러디

작품 속에 많은 패러디가 나온다. 오마주 수준부터 표절 수준까지 다양하다. 아래는 사례.

명대사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명대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갤러리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갤러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테마곡

 자세한 내용은 칠성고등학교/테마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타

  • 칠성고등학교는 카카오스토리에서 팀봇으로 진행되었고 총괄진에서 위키를 적극 이용하거나 홍보한 것도 아니므로 사실상 이 '칠성고 위키'는 단지 러너 중 한 명의 팬심에서 비롯한 아카이브일 뿐이지만, 그래도 위키가 팀봇 및 세계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사례가 없지는 않다.
    • 하나는 이능력분류다. 구버전에서는 전체적으로 세계관 설정이 정립된 게 많이 없기도 했지만 공식적으로 이능력이 현실을 조작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는데, 이에 위키 서술자가 먼저 위키에만 비공식적으로 이능력의 분류 체계를 서술했고 리메이크에서는 이 분류 체계가 유석환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공식 설정이 되었다.

둘러보기

김찬 기여 작품
[ 대표 팀봇 ]
참여 팀봇
칠성고등학교
(2021.1.3 ~ 2021.9.14)
퇴귀야담
(2021.2.7 ~ 2021.11.20)
무도학당
(2019.7 ~ 2021.11.22)
[ 그외 세계관 ]
그외 세계관
벌레굴 코르델리아 Guns N' Roses 東京喰種
BAD 음양사 바실리우스 메이저 아르카나
아이리시온 Core of Evil Main Quest 어항
창작 작품 보러가기
 
에른스트의 코드 목록
[ 펼치기 · 접기 ]
판타지 윈테라 판타지 프론트 포커스 기타 오펜시브 확장 유니버스 대역 서풍
이능물 칠성고등학교 아포 경계의 끝에서 아포 하늘 방공호 대역 마지막 제국
대역 CLBI 대역 1961 대역 초국가주의와 세계 대역 아침해의 원유관
국가 아키시오 국가 코싱가 국가 랏세이초 국가 맑은 빛으로
판타지 린크 판타지 아이펠루스 판타지 아르세도스 판타지 이데아포비아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추천입니다.
  1. 원래 고등학교는 High School로 띄어써야 하지만 팀봇 이름은 붙여 쓴다.
  2. 현재 로고는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부터 사용되었다.
  3. 현재 메인 표지는 First Children 계정의 프로필 사진이다.
  4. 운영진을 팀봇 연출에 가담하여 스토리를 조정한 사람으로 본다면 말 그대로 러너 모두가 동시에 운영진이다. 이는 굵직한 스토리를 기획하고 구상한 실 운영진들의 노고가 크다.
  5. 작성해야 할 문서까지 더하면 이보다 많다.
  6. 예정 취소. 수요 조사까지는 진행되었고 인원을 만족했지만 준비 과정에서 취소되어 개장은 진행되지 않았다.
  7. 정규 시즌이 아니며 개장된 적 없음.
  8. 밭을 갈 때 사용하는 그 호미. 팀봇이라는 밭을 직접 일구고 갈기 때문에 지어졌다. '운영진에 뛰어든다' 또는 '스토리 진행에 NPC로 참여한다'는 말을 '호미를 쥔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9. 사실 이건 운영진이 전문 시나리오 작가가 아니므로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다. 오히려 반대로 아마추어끼리 기획한 이야기가 이 정도라는 점이 놀라울 정도. 애초에 영화나 드라마 시나리오를 전문으로 쓰는 각본가는 있을 수 있어도 카카오스토리 팀봇을 위한 전문 시나리오 작가라는 직업이 있을 리가 없다.
  10. 특히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는 이로 인해 1부와 2부가 나뉘었으며 그 사이 공백 기간이 무려 한달 가까이 되었다.
  11. 주로 운영진 또는 그와 가까운 지인의 캐릭터. 그러나 이도 팀봇의 편하고 유려한 진행을 위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