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div style="background:#14214e;border:2px solid #185f68;padding:10px;margin:20px auto;box-shadow:2px 2px 10px 1px #000;color:#00ffff"> <Big>'''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Big><br> <Big>'''Peace Treaty About Chaotic Situation In China'''</Big><br> ==개요== 섬네일|왼쪽|우한평화협정에따른 국경 우한평화협정(Wuhan Peace Treaty),공식명칭 '''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파일:우한평화협정.png|섬네일|왼쪽|우한평화협정에따른 국경]] | [[파일:우한평화협정.png|섬네일|왼쪽|우한평화협정에따른 국경]] | ||
우한평화협정(Wuhan Peace Treaty),공식명칭 '''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은 2054년 3월 17일 구중국지역의 10개의 독립세력들과 몽골,러시아,한국,일본,베트남,미얀마 총 16개 국가간에 채결된 평화협정으로 [[제2차 군벌시대 (2080)|{{color|#00ffff|제2차 군벌시대}}]]의 공식적인 종결을 알렸고,오랜역사동안 패권을 쥐었던 중화의 몰락의 상징이다.<br><br><br><br><br><br><br><br><br><br> | 우한평화협정(Wuhan Peace Treaty),공식명칭 '''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은 2054년 3월 17일 구중국지역의 10개의 독립세력들과 몽골,러시아,한국,일본,베트남,미얀마 총 16개 국가간에 채결된 평화협정으로 [[제2차 군벌시대 (2080)|{{color|#00ffff|제2차 군벌시대}}]]의 공식적인 종결을 알렸고,오랜역사동안 패권을 쥐었던 중화의 몰락의 상징이다. <br><br><br><br><br><br><br><br><br><br> | ||
==내용 전문== | ==내용 전문== | ||
{{인용문9|'''서문''' | {{인용문9|'''서문''' | ||
조약채결 당사국인 16개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붕괴이래 벌어진 | 조약채결 당사국인 16개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붕괴이래 벌어진 20여년간의 혼란으로 동아시아의 평안이 위협되었음을 유감스럽게 여긴다.<br> | ||
오늘로서 이 조약을 채결함으로서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평안속에 함께 번영할수있기를 기원하며 2054년 3월 17일 <br>대한민국,일본국,몽골국,러시아 연방,베트남민주공화국,미얀마연방공화국<br>광동민주공화국,중화공화국,북양민국,광서민국,호남공화국,서남연방공화국<br>시베이국,티베트국,동투르키스탄공화국,만주민국 16개국은 <br>'''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을 채결한다. | 오늘로서 이 조약을 채결함으로서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평안속에 함께 번영할수있기를 기원하며 2054년 3월 17일 <br>대한민국,일본국,몽골국,러시아 연방,베트남민주공화국,미얀마연방공화국<br>광동민주공화국,중화공화국,북양민국,광서민국,호남공화국,서남연방공화국<br>시베이국,티베트국,동투르키스탄공화국,만주민국 16개국은 <br>'''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을 채결한다.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11조 광시좡족자치구(팡청강시,충줘시를 제외한지역)은 광서민국에 양도된다.<br><br> | 11조 광시좡족자치구(팡청강시,충줘시를 제외한지역)은 광서민국에 양도된다.<br><br> | ||
12조 내몽골자치구(후룬베이얼시 일부를 제외한 지역),허베이성 장차카우시,청더시,닝샤후이족 자치구 인촨시,스쭈이산시,랴오닝성 차오양시,후루다오시,푸신시,진저우시,지린성 바이청시는 몽골국에 양도된다.<br><br> | 12조 내몽골자치구(후룬베이얼시 일부를 제외한 지역),허베이성 장차카우시,청더시,닝샤후이족 자치구 인촨시,스쭈이산시,랴오닝성 차오양시,후루다오시,푸신시,진저우시,지린성 바이청시는 몽골국에 양도된다.<br><br> | ||
13조 랴오닝성(차오양시,후루다오시,푸신시, | 13조 랴오닝성(차오양시,후루다오시,푸신시,진저우시,다롄시를 제외한 지역),지린성(바이청시를 제외한지역)은 대한민국에 양도된다.<br><br> | ||
14조 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훙허 하니족 다이족 자치주,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광시좡족자치구 팡청강시,충줘시는 베트남민주공화국에 양도된다.<br><br> | 14조 윈난성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훙허 하니족 다이족 자치주,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광시좡족자치구 팡청강시,충줘시는 베트남민주공화국에 양도된다.<br><br> | ||
15조 윈난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누장 리수족 자치주,바오산시,린창시는 미얀마연방공화국에 양도된다.<br><br> | 15조 윈난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누장 리수족 자치주,바오산시,린창시는 미얀마연방공화국에 양도된다.<br><br> | ||
16조 센카쿠열도(다오위다오 열도)는 일본국의 영토임을 공식 | 16조 센카쿠열도(다오위다오 열도)는 일본국의 영토임을 공식 확인하며 다롄시지역은 일본국에 양도된다.<br><br> | ||
17조 조약채결이후 당사국 16개국은 일체의 전투를 중단한다.<br><br> | 17조 조약채결이후 당사국 16개국은 일체의 전투를 중단한다.<br><br> | ||
18조 해당 조약은 채결즉시 효력이 발생한다.<br><br> | 18조 해당 조약은 채결즉시 효력이 발생한다.<br><br>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만주민국 외무장관 | 만주민국 외무장관 | ||
|}} | |}} | ||
==반응== | |||
===당사국들=== | |||
====중원지역국가==== | |||
일부는 중화민족의 통일이 완전히 좌절되었다며 분노했지만,이미 30년에 가까운 전시상태에 진저리가난 대다수의 사람들은 협정체결을 긍정적으로 보았다.그와동시에 다수의 국가들이 상호간 외교관계를 맺고 2년뒤 태평양-인도양조약기구를 공동으로 창설하게된다. | |||
====한국,일본등 주변 아시아국가들==== | |||
중국의 통일이 완전히 좌절됨에 안도한 동시에 각국 정부들은 중원지역 국가들과 공식적으로 외교적관계를 맺고,2년뒤 2056년에 태평양-인도양조약기구를 창설시키며 협력을 강화하게된다. | |||
====러시아==== | |||
결과적으로 조금 부정적 반응이 나왔다.53혁명으로 아무르공화국이 만주민국으로 변화하며 러시아의 영향력이 거의 없어진마당에 사실상 얻은것이 없었기 때문인데 이로인해 결국 러시아는 유럽연합과의 관계에 더 집중하게된다. | |||
===비당사국=== | |||
====미국==== | |||
공식성명으로 아시아의 평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내보이나 중원내 국가들과 아시아국가들이 상호간의 협력을 강화하며 결과적으로 태평양 패권을 다수 상실하는 결과로 다가왔다. | |||
[[분류:2080]] |
2024년 5월 30일 (목) 16:59 기준 최신판
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
Peace Treaty About Chaotic Situation In China
개요

우한평화협정(Wuhan Peace Treaty),공식명칭 중원지역에서의 혼란상황에 대한 평화협정은 2054년 3월 17일 구중국지역의 10개의 독립세력들과 몽골,러시아,한국,일본,베트남,미얀마 총 16개 국가간에 채결된 평화협정으로 제2차 군벌시대의 공식적인 종결을 알렸고,오랜역사동안 패권을 쥐었던 중화의 몰락의 상징이다.
내용 전문
서문
조약채결 당사국인 16개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붕괴이래 벌어진 20여년간의 혼란으로 동아시아의 평안이 위협되었음을 유감스럽게 여긴다. 조항
|
반응
당사국들
중원지역국가
일부는 중화민족의 통일이 완전히 좌절되었다며 분노했지만,이미 30년에 가까운 전시상태에 진저리가난 대다수의 사람들은 협정체결을 긍정적으로 보았다.그와동시에 다수의 국가들이 상호간 외교관계를 맺고 2년뒤 태평양-인도양조약기구를 공동으로 창설하게된다.
한국,일본등 주변 아시아국가들
중국의 통일이 완전히 좌절됨에 안도한 동시에 각국 정부들은 중원지역 국가들과 공식적으로 외교적관계를 맺고,2년뒤 2056년에 태평양-인도양조약기구를 창설시키며 협력을 강화하게된다.
러시아
결과적으로 조금 부정적 반응이 나왔다.53혁명으로 아무르공화국이 만주민국으로 변화하며 러시아의 영향력이 거의 없어진마당에 사실상 얻은것이 없었기 때문인데 이로인해 결국 러시아는 유럽연합과의 관계에 더 집중하게된다.
비당사국
미국
공식성명으로 아시아의 평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내보이나 중원내 국가들과 아시아국가들이 상호간의 협력을 강화하며 결과적으로 태평양 패권을 다수 상실하는 결과로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