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공화국 (1920 Revolution):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날짜 변경)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틀 색 = #363455
| 틀 색 = #363455
| 글씨 색 = #FFFFFF
| 글씨 색 = #FFFFFF
| 국명 = 대한 공화국
|| 국명 = 대한 공화국
| 원어명 = Korea Republic <sub>[[영어]]</sub> <br>大韓 共和國 <sub>[[한자]]</sub>
| 원어명 = 大韓 共和國<br>Korean Republic
| 국기 = 태극기.png
| 국기 = 대한국 기 1 (CLBI).svg
| 국기 크기 = 200px
| 국기 크기 = 200px
| 국장 = 대한 공화국 임시 국장.png
| 국장 = 대한제국군 문장 (TEO).png
| 국장 크기 = 200px
| 국장 크기 = 200
| 범례 너비 = 30%
| 범례 너비 = 30%
| 범례 배경 색 = #D44322
| 범례 배경 색 = #0047A0
| 범례 글씨 색 = #ffffff
| 범례 글씨 색 = white
| 모토 =  
| 모토 = 사람들이 사는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다
| 국가 = 애국가, 국기가
| 국가 = 애국가
| 국화 = 무궁화
| 국화 = 목련
| 국목 = 소나무
| 국조 = 까치
| 국조 = 까치
| 국수 = 호랑이
| 지도 =  
| 지도 =  
| 역사 =  
| 역사 =  
24번째 줄: 26번째 줄:
*민족 독립 운동일 1913년 3월 1일  
*민족 독립 운동일 1913년 3월 1일  
*독립 겸 정부 수립일 1919년 2월 5일
*독립 겸 정부 수립일 1919년 2월 5일
| 수도 = [[한성수부(1920 Revolution)|한성수부]]
| 수도 = [[한성수부 (1920 Revolution)|한성수부]]
| 최대 도시 =  
| 최대 도시 =  
| 면적 = 223,903㎢
| 면적 = 223,903㎢
| 접경국 = 중국, 소비에트 러시아 공화국
| 구성국 = 대한 공화국, 독도, 류큐국
| 총 인구 = 2200만명
| 접경국 = 중국, 소비에트 연방
| 총 인구 = 2500만명
| 인구 밀도 = 469.491명/km2
| 인구 밀도 = 469.491명/km2
| 출생 인구 =  
| 출생 인구 =  
49번째 줄: 52번째 줄:
| 행정 각료3 = 허헌
| 행정 각료3 = 허헌
| 여당 = [[고려공화당|{{정당 둥근상자|'''고려공화당'''|white|#254170}}]]
| 여당 = [[고려공화당|{{정당 둥근상자|'''고려공화당'''|white|#254170}}]]
| 원내 야당 = 민주노동당, 조선공산당, 신한청년당
| 원내 야당 = [[황국협회 (1920 Revolution)|황국협회]], [[통일누리당 (1920 Revolution)|통일누리당]], [[조선공산당 (1920 Revolution)|조선공산당]]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총 GDP 명목 = 3조 4800억$
| 총 GDP 명목 = 3조 4800억$
| 1인당 GDP 명목 = 33,142$
| 1인당 GDP 명목 = 33,142$
| 신용 등급 = AA
| 신용 등급 = AA
| 화폐 = 대한 공화국
| 화폐 = 대한 공화국
| ISO4217 = KRH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단군기원
| 시간대 = UTC+8:30(한반도 표준시)
| 도량형 = SI 단위
| ccTLD = .kr
| 국가 코드 = 8282, FRKP, KRF
| 전화 코드 = +82
| 대한수교현황 =
| 유엔가입 =
| 무비자입국 = 류큐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연합 왕국,
| 주한대사관 =
| 여행유의 = 우루무치, 부산부
| 여행자제 = 소련, 중국 공산당 자치국
| 철수권고 = 만주국
| 여행금지 = 스페인 낭만주의 공화국
| 특별여행주의보 = 미 연방 제국
| ISO4217 = KRW, ₩
| ISO4217 = KRW, ₩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단기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단기
| 시간대 = UTC+9
| 도량형 = SI 단위
| 도량형 = SI 단위
| ccTLD = .kr
| 국가 코드 = 410, KOR, KR
| 전화 코드 = +82
| 전화 코드 = +82
| 문양 = 대한 공화국 임시 국장.png
| 문양 = 대한 공화국 임시 국장.png
72번째 줄: 88번째 줄:


==역사==
==역사==
자세한 내용은 [[대한 공화국/역사(1920 Revolution)|대한 공화국/역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대한 공화국 (1920 Revolution)/역사|대한 공화국/역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국호==
==국호==
헌법에는 국호가 대한 공화국으로 적혀있지만 민간에서는 한국(Korea, 韓國) 또는 조선(Chosun,朝鮮) 아니면 외국에서는 Dai-Han으로 쓰기도 한다. 영어로 줄여서는 KOR(Korea)로 쓴다.
헌법에는 국호가 대한 공화국으로 적혀있지만 민간에서는 한국(Korea, 韓國) 또는 조선(Chosun,朝鮮) 아니면 외국에서는 Dai-Han으로 쓰기도 한다. 영어로 줄여서는 KOR(Korea)로 쓴다. 일부 중화권과 일어권에서는 대한민국(Great Korea Republic 大韓民國)로 쓰기도 한다.


==국기==
==국기==
[[파일:EOK.png|프레임|alt=퍼즐 형태의 로고|민간에서 사용하는 태극기]]
[[파일:EOK.png|프레임|alt=퍼즐 형태의 로고|민간에서 사용하는 태극기]]
국기의 이름은 태극기로 지위는 대한 공화국의 국기이다. 하지만 아래에 국기처럼 대한제국 시기에 쓰인 태극기도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채택 년도는 1882년로, 이후 경술국치로 1910년 금지되었다가, 대한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됐다.
국기의 이름은 태극기로 지위는 대한 공화국의 국기이다. 하지만 오른쪽에 국기처럼 대한제국 시기에 쓰인 태극기도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채택 년도는 1882년로, 이후 경술국치로 1910년 금지되었다가, 대한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됐다.




86번째 줄: 102번째 줄:
{{youtube|oRmj6SzSNeQ|448|250}}
{{youtube|oRmj6SzSNeQ|448|250}}
{{인용문|1.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br>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br><br>후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br>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br><br>2.남산 우헤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듯<br>바람이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br><br>3.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br> 괴로오나 질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인용문|1.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br>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br><br>후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br>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br><br>2.남산 우헤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듯<br>바람이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br><br>3.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br> 괴로오나 질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youtube|KtEFkB0_wC8|448|250}}
{{인용문|우리 국기 높이 날이는 곳에<br>삼천만의 정성 쇠같이 뭉처<br>맹세하네 굳게 태극기 앞에<br>빛내랴고 굳게 대한의 역사}}


==행정구역==
==행정구역==
93번째 줄: 107번째 줄:


-수부:
-수부:
[[한성수부(1920 Revolution)|한성수부]]
[[한성수부 (1920 Revolution)|한성수부]]


-부:
-부:

2025년 5월 3일 (토) 01:59 기준 최신판


대한 공화국
大韓 共和國
Korean Republic
200
국기 국장
사람들이 사는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다
상징
국가 애국가
국조
까치
국목
소나무
국화
목련
국수
호랑이
역사
[ 펼치기 · 접기 ]
  • 계묘전쟁 1903년 6월 2일
  • 민족 독립 운동일 1913년 3월 1일
  • 독립 겸 정부 수립일 1919년 2월 5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한성수부
면적
223,903㎢
구성국
대한 공화국, 독도, 류큐국
접경국
중국, 소비에트 연방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500만명
밀도
469.491명/km2명/km2
민족 구성
한민족 97.8% 기타 2.2%
출산율
3.57명
기대 수명
58세
공용어
한국어
공용 문자
한글
종교
국교
종교의 자유
분포
기독교 23% (개신교 17%, 가톨릭 6%), 이슬람 0.4%, 불교 16%, 기타 2%, 무종교 59%
군대
대한 공화국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14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
국가 원수 (주석)
유관순
정부
요인
의정원장
이승만
대법원장
허헌
여당
고려공화당
원내 야당
황국협회, 통일누리당, 조선공산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명목)
전체 GDP
3조 4800억$
1인당 GDP
33,142$
신용 등급
AA
화폐
공식 화폐
대한 공화국 환
ISO 4217
KRW, ₩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단기
시간대
UTC+8:30(한반도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ccTLD
.kr
국가 코드
8282, FRKP, KRF
전화 코드
+82
여행 경보
[ 펼치기 · 접기 ]
여행유의
우루무치, 부산부
여행자제
소련, 중국 공산당 자치국
철수권고
만주국
여행금지
스페인 낭만주의 공화국
특별여행주의보
미 연방 제국


개요

대한 공화국(大韓 共和國, Korea Republic)은 동아시아의 위치한 국가이다. 한반도에 위치한 나라로, 약칭은 한국(韓國), 조선(朝鮮)이다. 주요 민족은 한민족으로 나라 면적은 223,903㎢이다. 대한 공화국은 1차 세계 대전 이후에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일과 소련 등의 국가들의 기반하에(동맹국 국가들) 협상을 통해 세워진 나라이다.

역사

자세한 내용은 대한 공화국/역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국호

헌법에는 국호가 대한 공화국으로 적혀있지만 민간에서는 한국(Korea, 韓國) 또는 조선(Chosun,朝鮮) 아니면 외국에서는 Dai-Han으로 쓰기도 한다. 영어로 줄여서는 KOR(Korea)로 쓴다. 일부 중화권과 일어권에서는 대한민국(Great Korea Republic 大韓民國)로 쓰기도 한다.

국기

퍼즐 형태의 로고
민간에서 사용하는 태극기

국기의 이름은 태극기로 지위는 대한 공화국의 국기이다. 하지만 오른쪽에 국기처럼 대한제국 시기에 쓰인 태극기도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채택 년도는 1882년로, 이후 경술국치로 1910년 금지되었다가, 대한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됐다.


국가

국가의 이름은 애국가로 가사는 있지만 음은 없어서 임시로 스코틀랜드의 민요 올드 랭 사인의 곡조를 따와서 부른다. 가끔씩 국기가 계양될 때 국기가를 사용하기도 한다.

1.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후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2.남산 우헤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듯
바람이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3.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오나 질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행정구역

도는 14개 수부는 1개 부는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수부: 한성수부

-부: 부산부, 대전부, 광주부, 대구부, 평양부

-도: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