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 | [[파일:근대화의 여명.png]] | ||
[[분류:근대화의 여명]] | |||
== 역사와의 분기점 == | == 역사와의 분기점 == | ||
1848년, 철종이 즉위한 이후 초기의 철종은 개혁의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곧 세도가들의 꼭두각시 왕인 자신은 실권이 없어 스스로 왕다운 왕이 아니라는 허탈감과 복잡한 궁중 예법에 질려버렸고, 국정에 대한 의욕까지 잃어버려 여색과 술로 시간을 때운다. 이 상황에서 삼정의 문란으로 민생은 파탄났고, 탐관오리의 환곡 착취가 극심해졌다. 결국 점점 전국 각지에서 백성들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북학파 계열의 사림 후손들은 이틈을 타 개혁을 논의하기 시작한다. 결국 1857년 5월 3일, 정사정변이 발생하게 된다. | |||
== 주요 국가 == | == 주요 국가 == | ||
[[대한민국 (근대화의 여명)]] | [[대한민국 (근대화의 여명)]]<br> | ||
[[독일 (근대화의 여명)]] | [[독일 (근대화의 여명)]]<br> | ||
[[미국 (근대화의 여명)]] | [[미국 (근대화의 여명)]]<br> | ||
[[일본 (근대화의 여명)]] | [[일본 (근대화의 여명)]]<br> | ||
[[북중국]] | [[북중국]]<br> | ||
[[남중국]] | [[남중국]]<br> | ||
[[러시아 (근대화의 여명)]] | [[러시아 (근대화의 여명)]]<br> | ||
[[티베트 (근대화의 여명)]] | [[티베트 (근대화의 여명)]]<br> |
2025년 7월 10일 (목) 17:18 기준 최신판
역사와의 분기점
1848년, 철종이 즉위한 이후 초기의 철종은 개혁의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곧 세도가들의 꼭두각시 왕인 자신은 실권이 없어 스스로 왕다운 왕이 아니라는 허탈감과 복잡한 궁중 예법에 질려버렸고, 국정에 대한 의욕까지 잃어버려 여색과 술로 시간을 때운다. 이 상황에서 삼정의 문란으로 민생은 파탄났고, 탐관오리의 환곡 착취가 극심해졌다. 결국 점점 전국 각지에서 백성들의 불만이 고조되었고, 북학파 계열의 사림 후손들은 이틈을 타 개혁을 논의하기 시작한다. 결국 1857년 5월 3일, 정사정변이 발생하게 된다.
주요 국가
대한민국 (근대화의 여명)
독일 (근대화의 여명)
미국 (근대화의 여명)
일본 (근대화의 여명)
북중국
남중국
러시아 (근대화의 여명)
티베트 (근대화의 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