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 |- | ||
| colspan="4" |'''지하철 노선 보기''' | | colspan="4" |{{펼접|id=inyangstn|title='''지하철 노선 보기'''}} | ||
|- | |- | ||
|colspan="4"|'''{{글씨 크기|15|인양역}}'''</br>Inyang Station | 仁養驛 | |colspan="4"|'''{{글씨 크기|15|인양역}}'''</br>Inyang Station | 仁養驛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colspan="4"|[[파일:인양 지하철 1호선 마크.png|40px|링크=인양 지하철 1호선]][[파일:인양 지하철 10호선 마크.png|40px|링크=인양 지하철 10호선]] | |colspan="4"|[[파일:인양 지하철 1호선 마크.png|40px|링크=인양 지하철 1호선]][[파일:인양 지하철 10호선 마크.png|40px|링크=인양 지하철 10호선]] | ||
|- | |- |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포원역|#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포원역|#777777|포원 방면}}</small></br>[[강나루역|강나루]]</br>← 1.0km | ||
|rowspan="1" style="background: #004AE0; color: #fff; style="width: 34% | {{cl|인양 지하철 1호선|#fff|1호선}}</br>(I101) | |rowspan="1" style="background: #004AE0; color: #fff; style="width: 34% | {{cl|인양 지하철 1호선|#fff|1호선}}</br>(I101) | ||
|rowspan="2"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이선역|# | |rowspan="2"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이선역|#777777|이선 방면}}</small></br>[[시청역 (인양)|시 청]]</br>1.5km → | ||
|- | |- |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포원역|#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포원역|#777777|포원 방면}}</small></br>[[정암동역|정암동]]</br>← 2.2km | ||
|rowspan="1" style="background: #004AE0; color: #fff; style="width: 34% | {{cl|인양 지하철 1호선|#fff|1호선}}</br>'''{{정당 둥근상자2|{{cl|인양 지하철 1호선|#fff|급행}}|#fff|#FF0000}}''' | |rowspan="1" style="background: #004AE0; color: #fff; style="width: 34% | {{cl|인양 지하철 1호선|#fff|1호선}}</br>'''{{정당 둥근상자2|{{cl|인양 지하철 1호선|#fff|급행}}|#fff|#FF0000}}''' | ||
|- | |- |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개화역|#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개화역|#777777|개화 방면}}</small></br>[[진내역|진 내]]</br>← 1.3km | ||
| style="background: #89E9FF; color: #000; style="width: 34% | {{cl|인양 지하철 10호선|#000|10호선}}</br>(I1016) | | style="background: #89E9FF; color: #000; style="width: 34% | {{cl|인양 지하철 10호선|#000|10호선}}</br>(I1016) | ||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이선역|# |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이선역|#777777|이선 방면}}</small></br>[[강안역|강 안]]</br>0.7km → | ||
{{펼접끝}} | {{펼접끝}}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rowspan="4" style="width: 33% | 기점 | |rowspan="4" style="width: 33% | 기점 | ||
| style="width: 34% | '''[[인만선]]'''</br>인 양 | | style="width: 34% | '''[[인만선]]'''</br>인 양 | ||
| style="width: 33% | <small> | | style="width: 33% | <small>{{cl|만산역|#777777|만 산 방면}}</small></br>[[장덕역(인별국)|장 덕]]</br>3.1km → | ||
|- | |- | ||
| style="width: 150px | '''[[흥학선]]'''</br>인 양 | | style="width: 150px | '''[[흥학선]]'''</br>인 양 | ||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 |- | ||
| style="width: 150px | '''[[만포선]]'''</br>인 양 | | style="width: 150px | '''[[만포선]]'''</br>인 양 | ||
| style="width: 120px | <small> | | style="width: 120px | <small>{{cl|양구역|#777777|양 구 방면}}</small></br>[[서석역|서 석]]</br>5.2km → | ||
|- | |- | ||
| style="width: 150px | <small> | | style="width: 150px | <small>{{cl|신혜진역|#777777|신혜진 방면}}</small></br>[[강변역|강 변]]</br>1.3km ← | ||
| style="width: 120px | '''[[인혜선]]'''</br>인 양 | | style="width: 120px | '''[[인혜선]]'''</br>인 양 | ||
| rowspan="2", style="width: 150px | 기점 | | rowspan="2", style="width: 150px | 기점 | ||
|- | |- | ||
| style="width: 150px | <small> | | style="width: 150px | <small>{{cl|신혜진역|#777777|신혜진 방면}}</small></br>[[천정역|천 정]]</br>7.1km ← | ||
| style="width: 120px | '''[[인혜고속선]]'''</br>인 양 | | style="width: 120px | '''[[인혜고속선]]'''</br>인 양 | ||
|} | |} |
2025년 7월 9일 (수) 00:57 기준 최신판
인양역 Inyang Station | 仁養驛 | |||
---|---|---|---|
지하철 노선 보기
| |||
운영기관 | |||
인만선 | ![]() | ||
인혜선 | |||
만포선 | |||
흥학선 | |||
철도거리표 | |||
기점 | 인만선 인 양 |
만 산 방면 장 덕 3.1km → | |
흥학선 인 양 |
청 남 방면 장 덕 3.1km → | ||
인만고속선 인 양 |
만 산 방면 이 선 18.9km → | ||
만포선 인 양 |
양 구 방면 서 석 5.2km → | ||
신혜진 방면 강 변 1.3km ← |
인혜선 인 양 |
기점 | |
신혜진 방면 천 정 7.1km ← |
인혜고속선 인 양 |
개요
인별국의 주간선철도 인만선, 인해선, 인정선, 만포선의 기/종점이자, 인만고속선, 인해고속선, 인정고속선 등의 고속철도 기/종점이다. 인별국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의 심장같은 곳이자, 인양의 주요 거대역중 한 곳이다.
역 정보
역사
1877년 9월 11일, 인만선 최초구간인, 인양~청곡 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시종착 역할을 주로 맡으며 개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1882년 천정역 방면으로 연장이 되자, 시종착 기능은 천정역에게 넘어가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인양 도심지역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역으로써, 많은 인파가 몰렸었으며, 이후 인양시 인구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자, 인양역을 기점으로 인양 - 이선 - 공양 - 마곡 - 천정 - 인양의 경로로 도는 순환선을 착공하였고, 1911년 10월 경 개업을 하면서 시종착 기능이 다시 생겨났다.
1949년 12월 11일, 인양 지하철 1호선이 개통을 하면서, 인별국 최초 지하철로 연계되는 철도역이 되었다.
역 주변 정보
역 앞에 큰 오거리가 있어, 교통이 혼잡하다.
승강장
지상역사
1층
강변역 ↑ | |||||||||||||||||||||||||||||||||||||||
ㅣ | ㅣ | 17 | 16 | ㅣ | ㅣ | 15 | 14 | ㅣ | ㅣ | 13 | 12 | ㅣ | ㅣ | ㅣ | 11 | 10 | ㅣ | ㅣ | 9 | 8 | ㅣ | ㅣ | 7 | 6 | ㅣ | ㅣ | 5 | 4 | ㅣ | ㅣ | ㅣ | 3 | 2 | ㅣ | ㅣ | 1 | |||
↓ 장덕역 | ↓ 서석역 | ↓ 장덕역 |
1 | 인만선·인혜선 | 일반열차 | 시종착 |
2 | 인혜선 | 일반열차 | 천정·강평·원포·신혜진 방면 |
3 | 인만선 | 일반열차 | 이선·금성·섬송·만산 방면 |
4 | 인혜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천정·강평·원포·신혜진 방면 |
4 | 중앙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당역종착 |
5 | 인혜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당역종착 |
5 | 중앙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이선·황명·전석·금성역 방면 |
6 | 인곡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천정·운사·장포원·강평 방면 |
7 | 인곡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이선·청곡·동운·주곡 방면 |
8 | 인곡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천정·운사·장포원·강평 방면 |
9 | 인곡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조암·개화·양덕·만포 방면 |
10 | 만포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당역종착 |
11 | 만포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당역종착 |
12 | 만포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개화·만포·나선·양구 방면 |
13 | 만포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개화·만포·나선·양구 방면 |
14 | 흥학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당역종착 |
15 | 인혜선 | 일반열차 | 천정·강평·원포·신혜진 방면 |
16 | 흥학선 | 일반열차 | 흥학·송산포원·탄영·청남 방면 |
17 | 흥학선 광역전철 | 광역전철 | 흥학·송산포원·탄영·청남 방면 |
2층
천정역 ↑ | 시종착 | ||||||||||||||||||
10 | ㅣ | ㅣ | 9 | 8 | ㅣ | ㅣ | 7 | 6 | ㅣ | ㅣ | 5 | 4 | ㅣ | ㅣ | 3 | 2 | ㅣ | ㅣ | 1 |
시종착 | ↓ 이선역 |
1 | 인만고속선 | ![]() |
당역종착 |
2 | 당역종착 | ||
3 | 이선·금성·섬송·만산 방면 | ||
4 | 이선·금성·섬송·만산 방면 | ||
5 | 인만고속선·인정고속선 | 이선·금성·섬송·만산 방면 | |
6 | 인혜고속선·인정고속선 | 천정·정명·원포·신혜진 방면 | |
7 | 인혜고속선 | 천정·강평·원포·신혜진 방면 | |
8 | 천정·강평·원포·신혜진 방면 | ||
9 | 당역종착 | ||
10 | 당역종착 |
지하역사
인양 지하철 1호선
강나루역 ↑ | |||||||||||||||||||||||||||||||||||
ㅣ | 하 | 하(급) | ㅣ | ㅣ | 상(급) | 상 | ㅣ | ||||||||||||||||||||||||||||
↓ 시청역 |
상 | ![]() |
정암동·황운궁·운내·정진·포원 방면 | |||
상(급) | |||||
하(급) | 시청·강희로3가·상은·도안·진양·이선 방면 | ||||
하 |
이 역에서 급행열차가 완행열차를 추월한다.
만포국제공항철도
종착역 | |||||||||||||||||||||||||||||||||||
하 | ㅣ | ㅣ | 하(직통) | 상(직통) | ㅣ | ㅣ | 상 | ||||||||||||||||||||||||||||
↓ 진산역 |
상 | 만포국제공항철도 | 종착 | |||
상(급) | |||||
하(급) | 개화·만포·청덕·만포제2국제공항 방면 | ||||
하 | 개화·안선구청·만포·청덕·만포제2국제공항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