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3세 (1939): 두 판 사이의 차이

30번째 줄: 30번째 줄:
<div style="border:none; background:#45223c;color:#FFF;padding:7px;">
<div style="border:none; background:#45223c;color:#FFF;padding:7px;">
'{{글씨 색|gold|하느님}}의 은총으로 {{글씨 색|gold|독일 황제}}, {{글씨 색|gold|오스트리아의 외군주}}, {{글씨 색|gold|프로이센}}의 {{글씨 색|gold|왕}}, {{글씨 색|gold|브란덴부르크}}의 {{글씨 색|gold|변경백}}, {{글씨 색|gold|뉘른베르크}} {{글씨 색|gold|백작}}, {{글씨 색|gold|호엔촐레른}} 백작, {{글씨 색|gold|글라츠}}, {{글씨 색|gold|슐레지엔}}의 {{글씨 색|gold|공작}}, {{글씨 색|gold|라인강 하류}}, {{글씨 색|gold|포젠}}의 {{글씨 색|gold|대공}}, {{글씨 색|gold|작센}}, {{글씨 색|gold|엥언}}, {{글씨 색|gold|베스트팔렌}}, {{글씨 색|gold|포메른}}, {{글씨 색|gold|뤼네부르크}} 의 공작, {{글씨 색|gold|슐레스비히}}, {{글씨 색|gold|홀슈타인}}, {{글씨 색|gold|크로센}}의 공작, {{글씨 색|gold|마그데부르크}}, {{글씨 색|gold|브레멘}}, {{글씨 색|gold|헬데를란트}}, {{글씨 색|gold|율리히}} 및 {{글씨 색|gold|클레베와 베르크}}의 공작, {{글씨 색|gold|벤덴}}과 {{글씨 색|gold|카슈벤 민족}}, {{글씨 색|gold|라우엔부르크}}, {{글씨 색|gold|메클렌부르크}}의 공작, {{글씨 색|gold|헤센}}, {{글씨 색|gold|튀링겐}}의 백작, {{글씨 색|gold|상 라우지츠와 하 라우지츠}}의 {{글씨 색|gold|후작}}, {{글씨 색|gold|오라녜}}, {{글씨 색|gold|뤼겐}}, {{글씨 색|gold|동 프리슬란트}}, {{글씨 색|gold|파더보른}}, {{글씨 색|gold|피어몬트}}의 공작, {{글씨 색|gold|하버슈타트}}, {{글씨 색|gold|뮌스터}}, {{글씨 색|gold|민덴}}, {{글씨 색|gold|오스나브뤼크}}, {{글씨 색|gold|힐데스하임}}, {{글씨 색|gold|베르덴}}, {{글씨 색|gold|캄민}}, {{글씨 색|gold|풀다}}, {{글씨 색|gold|나사우}}, {{글씨 색|gold|뫼르스}}의 공작, {{글씨 색|gold|헨넨베르크}}의 백작, {{글씨 색|gold|마르크}}, {{글씨 색|gold|라벤스부르크}}, {{글씨 색|gold|호헨슈타인}}, {{글씨 색|gold|테클렌부르크}}, {{글씨 색|gold|링엔}}의 백작, {{글씨 색|gold|만스펠트}}, {{글씨 색|gold|지크마링겐}}, {{글씨 색|gold|베링겐}}의 백작, {{글씨 색|gold|프랑크푸르트}}의 {{글씨 색|gold|영주}}이신 '''빌헬름 3세''' 폐하'
'{{글씨 색|gold|하느님}}의 은총으로 {{글씨 색|gold|독일 황제}}, {{글씨 색|gold|오스트리아의 외군주}}, {{글씨 색|gold|프로이센}}의 {{글씨 색|gold|왕}}, {{글씨 색|gold|브란덴부르크}}의 {{글씨 색|gold|변경백}}, {{글씨 색|gold|뉘른베르크}} {{글씨 색|gold|백작}}, {{글씨 색|gold|호엔촐레른}} 백작, {{글씨 색|gold|글라츠}}, {{글씨 색|gold|슐레지엔}}의 {{글씨 색|gold|공작}}, {{글씨 색|gold|라인강 하류}}, {{글씨 색|gold|포젠}}의 {{글씨 색|gold|대공}}, {{글씨 색|gold|작센}}, {{글씨 색|gold|엥언}}, {{글씨 색|gold|베스트팔렌}}, {{글씨 색|gold|포메른}}, {{글씨 색|gold|뤼네부르크}} 의 공작, {{글씨 색|gold|슐레스비히}}, {{글씨 색|gold|홀슈타인}}, {{글씨 색|gold|크로센}}의 공작, {{글씨 색|gold|마그데부르크}}, {{글씨 색|gold|브레멘}}, {{글씨 색|gold|헬데를란트}}, {{글씨 색|gold|율리히}} 및 {{글씨 색|gold|클레베와 베르크}}의 공작, {{글씨 색|gold|벤덴}}과 {{글씨 색|gold|카슈벤 민족}}, {{글씨 색|gold|라우엔부르크}}, {{글씨 색|gold|메클렌부르크}}의 공작, {{글씨 색|gold|헤센}}, {{글씨 색|gold|튀링겐}}의 백작, {{글씨 색|gold|상 라우지츠와 하 라우지츠}}의 {{글씨 색|gold|후작}}, {{글씨 색|gold|오라녜}}, {{글씨 색|gold|뤼겐}}, {{글씨 색|gold|동 프리슬란트}}, {{글씨 색|gold|파더보른}}, {{글씨 색|gold|피어몬트}}의 공작, {{글씨 색|gold|하버슈타트}}, {{글씨 색|gold|뮌스터}}, {{글씨 색|gold|민덴}}, {{글씨 색|gold|오스나브뤼크}}, {{글씨 색|gold|힐데스하임}}, {{글씨 색|gold|베르덴}}, {{글씨 색|gold|캄민}}, {{글씨 색|gold|풀다}}, {{글씨 색|gold|나사우}}, {{글씨 색|gold|뫼르스}}의 공작, {{글씨 색|gold|헨넨베르크}}의 백작, {{글씨 색|gold|마르크}}, {{글씨 색|gold|라벤스부르크}}, {{글씨 색|gold|호헨슈타인}}, {{글씨 색|gold|테클렌부르크}}, {{글씨 색|gold|링엔}}의 백작, {{글씨 색|gold|만스펠트}}, {{글씨 색|gold|지크마링겐}}, {{글씨 색|gold|베링겐}}의 백작, {{글씨 색|gold|프랑크푸르트}}의 {{글씨 색|gold|영주}}이신 '''빌헬름 3세''' 폐하'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1939)|{{글씨 색|gold|제1차 세계 대전}}]]으로 방대한 점령지를 제후들에게 할양되었고, [[독일인의 황제|{{글씨 색|gold|독일인의 황제}}]]를 선언하며 공식적인 칭호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
</div></div>
</div></div>


</div>
</div>

2021년 5월 13일 (목) 01:18 판

목차

  1939: Erster Weltkrieg by Ernst |  데스크톱  크롬  리버티 스킨 지원
독일 제국의 황제
Deutscher Kaiser / Kaiser von Deutschland
1871
1888
1941
1951
1994
(초대)
Wilhelm I


독일인의 황제
[ 펼치기·접기 ]

• 리타우엔, 룩셈부르크 대공의 보호자
• 뤼티흐, 엘자스-로트링엔, 모조비엔, 클라인폴렌, 시에라츠 후작의 보호자
• 리히텐슈타인 후작의 보호자
재위 1946년 12월 30일 ~ 1951년 7월 20일
전임자 (초대)
후임자 페르디난트 5세
제국수상 오토 크리스티안 폰 비스마르크 후작
제4대 독일 황제
[ 펼치기·접기 ]

• 바이에른, 작센, 뷔르템베르크 국왕의 보호자
• 올덴부르크, 헤센-다름슈타트,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 바덴
대공의 보호자
• 안할트, 브라운슈바이크, 작센-알텐부르크, 작센-마이닝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의 보호자
• 리페, 샤움부르크-리페, 발데크피르몬트, 로이스그라이츠, 로이스게라,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
 ,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후작의 보호자
• 함부르크, 뤼베크,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의 군주
제10대 프로이센의 국왕
재위 1941년 6월 4일 ~ 1951년 7월 20일
전임자 빌헬름 2세
후임자 페르디난트 5세
국가수상 오토 크리스티안 폰 비스마르크 후작
왕국총리 오토 크리스티안 폰 비스마르크 후작
제2대 오스트리아의 외군주
[ 펼치기·접기 ]

• 오스트리아 및 합스부르크 군주의 보호자
• 오버-니더외스터라이히 황실대공의 보호자
• 케른텐, 잘츠부르크, 슈타이어마르크, 오버-니더슐레지엔, 크라인, 로트링엔, 주데텐란트 공작의 보호자
• 티롤, 포어아를베르크, 괴르츠-그라디스카 제후백작의 보호자
• 이스트리엔 변경백작의 보호자
• 트리에스테 군주의 보호자
재위 1941년 6월 4일 ~ 1951년 7월 20일
군주 카를 1세 (~1945)
오토 1세 (1945~)
전임자 빌헬름 2세
후임자 페르디난트 5세
미텔아프리카의 황제
[ 펼치기·접기 ]

• 알트-노이카메룬, 콩고, 가봉, 우방기샤리, 차드, 다호메이, 토고란트, 코트디부아르, 남서아프리카
 , 동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북 로디지아, 잔지바르, 마다가스카르, 마요트
의 군주
노이기니아 및 자모아의 군주
클라인베네디히의 군주
모로코의 보호자
재위 1946년 12월 30일 ~ 1951년 7월 20일
전임자 (초대)
후임자 페르디난트 5세
독일 제국의 황태자
프로이센의 왕세자
재위 1888년 6월 15일 ~ 1941년 6월 3일
전임자 빌헬름 2세
후임자 빌헬름 폰 프로이센 왕자
호엔촐레른 왕가 수장
재위 1941년 6월 4일 ~ 1951년 7월 20일
전임자 빌헬름 2세
후임자 페르디난트 5세
기타 작위
[ 펼치기·접기 ]
식민지령의 보호자
• 독일령 서인도제도, 파나마의 군주
• 벨기엔 왕국, 체코슬로바카이, 바르샤우 왕국, 오스트란트, 우크라이네, 핀란트, 카우카지엔의 보호자
재위 1946년 12월 30일 ~ 1951년 7월 20일
전임자 (초대)
후임자 페르디난트 5세
이름 프리드리히 빌헬름 빅토어 아우구스트 에른스트
출생일 1882년 5월 6일(1882-05-06)
출생지 독일 제국 독일 제국 브란덴부르크 포츠담
사망일 1951년 7월 20일 (69세)
사망지 독일 제국 독일 제국 빈 쇤브룬궁
가문 호엔촐레른 왕가
부친 빌헬름 2세
모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의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배우자 메클렌부르크슈베린 여공작 체칠리에
자녀 빌헬름 왕자
페르디난트 5세
후베르투스 왕자
프리드리히 왕자
알렉산드리네 공주
체칠리에 공주
종교 루터교
Seine Kaiserliche Und Königliche Majestät
빌헬름 3세
Wilhelm III

가족 사진에서 빌헬름 3세

독일 황제기
신상정보
지위

 1 개요 1 개요

1941년에서 1951년 동안 독일 제국의 제 4대 황제로 재위했다. 1946년부터 독일 황제(Deutscher Kaiser)라는 군주 칭호와 따로 외스터라이히까지 포함하여 독일인의 황제(Kaiser von Deutschland)라는 칭호를 만들어 제1대 독일인의 황제에 올랐다.

 2 칭호 2 칭호

'하느님의 은총으로 독일 황제, 오스트리아의 외군주, 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변경백, 뉘른베르크 백작, 호엔촐레른 백작, 글라츠, 슐레지엔공작, 라인강 하류, 포젠대공, 작센, 엥언, 베스트팔렌, 포메른, 뤼네부르크 의 공작,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크로센의 공작, 마그데부르크, 브레멘, 헬데를란트, 율리히클레베와 베르크의 공작, 벤덴카슈벤 민족, 라우엔부르크, 메클렌부르크의 공작, 헤센, 튀링겐의 백작, 상 라우지츠와 하 라우지츠후작, 오라녜, 뤼겐, 동 프리슬란트, 파더보른, 피어몬트의 공작, 하버슈타트, 뮌스터, 민덴, 오스나브뤼크, 힐데스하임, 베르덴, 캄민, 풀다, 나사우, 뫼르스의 공작, 헨넨베르크의 백작, 마르크, 라벤스부르크, 호헨슈타인, 테클렌부르크, 링엔의 백작, 만스펠트, 지크마링겐, 베링겐의 백작, 프랑크푸르트영주이신 빌헬름 3세 폐하'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방대한 점령지를 제후들에게 할양되었고, 독일인의 황제를 선언하며 공식적인 칭호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