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black; width:100%;"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black; width:100%;" | ||
|- | |- | ||
! colspan=" | ! colspan="8"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width="12.5%" | 정당명 | ||
! colspan="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 약칭 | ||
! colspan="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width="12.5%" | 당수 / 당대표 | ||
! colspan="5"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width="12.5%" | 이념 | ! colspan="5"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width="12.5%" | 이념 | ||
! colspan="5"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width="12.5%" | 상원 의석 수 | ! colspan="5"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white; " width="12.5%" | 상원 의석 수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095;" | | | colspan="1" style="background: #000095;" | | ||
| colspan="2" | [[파일:중국 국민당의 문장.png]] | | colspan="2" | [[파일:중국 국민당의 문장.png]] | ||
| colspa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중국 국민당 (민국 38)|중국 국민당]]'''<br /><small>''中國國民黨''</small> | ||
| colspan="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KMT | ||
| colspan="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마잉주 (민국 38)|마잉주]] | ||
| colspan="5" style="text-alig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삼민주의<br />자유보수주의<br />중화사상 |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150|450|#000095}}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150|450|#000095}} |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903|2250|#000095}}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903|2250|#000095}} | ||
| colspan="5" style="text-alig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중도우파 ~ 우익 | ||
| colspan="5" style="text-alig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중국범람연맹 (민국 38)|중국범람연맹]] |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 #e50822;" | | | colspan="1" style="background: #e50822;" | | ||
| colspan="2" | [[파일:중국 사회당의 문장.png]] | | colspan="2" | [[파일:중국 사회당의 문장.png]] | ||
| colspa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중국 사회당 (민국 38)|중국 사회당]]'''<br /><small>''中國社會黨''</small> | ||
| colspan="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SPC | ||
| colspan="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리커창 (민국 38)|리커창]] | ||
| colspan="5" style="text-alig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진보주의<br />사회민주주의<br />민주사회주의 |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78|450|#e50822}}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78|450|#e50822}} |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562|2250|#e50822}} | | colspan="5" | {{정당 정보/의석|562|2250|#e50822}} | ||
| colspan="5" style="text-alig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중도좌파 ~ 좌익 | ||
| colspan="5" style="text-align: | | colspan="5" style="text-align:center;" | [[중국민주혁명동맹 (민국 38)|중국민주혁명동맹]] | ||
|- | |- | ||
|} | |} |
2021년 5월 23일 (일) 10:02 판
1
정당명 | 약칭 | 당수 / 당대표 | 이념 | 상원 의석 수 | 하원 의석 수 | 스펙트럼 | 교섭단체 | |||||||||||||||||||||||||||||
---|---|---|---|---|---|---|---|---|---|---|---|---|---|---|---|---|---|---|---|---|---|---|---|---|---|---|---|---|---|---|---|---|---|---|---|---|
![]() |
중국 국민당 中國國民黨 |
KMT | 마잉주 | 삼민주의 자유보수주의 중화사상 |
150 / 450
|
903 / 2,250
|
중도우파 ~ 우익 | 중국범람연맹 | ||||||||||||||||||||||||||||
![]() |
중국 사회당 中國社會黨 |
SPC | 리커창 | 진보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
78 / 450
|
562 / 2,250
|
중도좌파 ~ 좌익 | 중국민주혁명동맹 |
2
국가 | ||||
---|---|---|---|---|
육군력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파일:Sandbox.svg | 이 문서는 사용자:신단(차이)의 연습장 문서입니다. |
제작자 : 사용자:Country
나무위키 틀 형식으로 이전에 존재했던 국가 정보 틀을 만들어주는 틀입니다. 추가하고 싶은게 있다면 제작자한테 묻지 마시고 그냥 바로 추가해주세요.
범례 배경 색2는 군사정보틀범례2.png 파일을 확인 바람
사용자:Country (토론) 2021년 6월 15일 (화) 20:55 (KST)]
|
사용법
{{나무위키 군사정보 | 너비 = 틀의 너비 | 테두리 색 = 테두리의 색 | 틀 색 = 틀의 배경 색 | 글씨 색 = 틀의 글씨 색 | 명칭 = 해당 군의 한국어 명칭 | 원어 명칭 = 해당 군의 원어 명칭 | 로고 = 해당 군의 문장 혹은 해당국가 국방부 문장 | 표어 = 군의 표어 | 국가 = 소속 국가 | 소속 = 소속 기관 (ex : 국방부) | 통수권자 = 통수권 한 나라의 병력을 지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 | 군령권자 = 군사상의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 (작전부대 지휘권자) | 상비군 = 상비군 병력 수 | 예비군 = 예비군 병력 수 | 전시 최대 가용 인원 = 전쟁시 가용 할 수 있는 최대 인원 | 병역제도 = 해당 군의 군사 징병 제도 (ex : 징병제, 모병제) | 범례 너비 = 좌특 틀의 너비 | 범례 배경 색 = 좌측 틀의 배경 색 | 범례 배경 색2 = 좌측 틀의 군종별 세부 사항 부분의 색 | 범례 글씨 색 = 좌측 틀의 글씨 색 | 육군 장비 분류 1 이름 = 해당 육군 장비의 이름 | 육군 장비 분류 1 = 해당 육군 장비의 보유 개수 | 함정·소정 총합 1 이름 = 해당 함정·소정 의 이름 | 함정·소정 총합 1 = 해당 함정·소정의 보유 개수 | 수상함 종류 1 이름 = 해당 수상함의 이름 | 수상함 종류 1 = 해당 수상함의 보유 개수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 이름 = 해당 모함, 상륙함, 수송함의 이름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 = 해당 모함, 상륙함, 수송함의 보유 개수 | 잠수함 종류 1 이름 = 해당 잠수함의 이름 | 잠수함 종류 1 = 해당 잠수함의 보유 개수 | 공군 장비 분류 1 이름 = 해당 공군 장비의 이름 | 공군 장비 분류 1 = 해당 공군 장비의 보유 개수 | 국방비 총합 = 해당 국가의 국방비 총합 }}
템플릿
{{나무위키 군사정보 | 너비 = | 테두리 색 = | 틀 색 = | 글씨 색 = | 명칭 = | 원어 명칭 = | 로고 = | 표어 = | 국가 = | 소속 = | 통수권자 = | 군령권자 = | 상비군 = | 예비군 = | 전시 최대 가용 인원 = | 병역제도 = | 범례 너비 = | 범례 배경 색 = | 범례 배경 색2 = | 범례 글씨 색 = | 육군 장비 분류 1 이름 = | 육군 장비 분류 1 = | 육군 장비 분류 15 이름 = | 육군 장비 분류 15 = | 함정·소정 총합 1 이름 = | 함정·소정 총합 1 = | 함정·소정 총합 10 이름 = | 함정·소정 총합 10 = | 수상함 종류 1 이름 = | 수상함 종류 1 = | 수상함 종류 20 이름 = | 수상함 종류 20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 이름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0 이름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0 = | 잠수함 종류 1 이름 = | 잠수함 종류 1 = | 잠수함 종류 10 이름 = | 잠수함 종류 10 = | 공군 장비 분류 1 이름 = | 공군 장비 분류 1 = | 공군 장비 분류 20 이름 = | 공군 장비 분류 20 = | 국방비 총합 = }}
예시
{{나무위키 군사정보 | 너비 = 450px | 테두리 색 = #3d5114 | 틀 색 = #3d5114 | 글씨 색 = #fff | 명칭 = 중화민국 국군 | 원어 명칭 = 中華民國國軍 | 로고 = 중화민국 국방부 문장.png | 표어 = 博愛、奉獻、真誠<br>박애, 봉헌, 진성 | 국가 = {{국기나라|중화민국 (민국 38)}} | 소속 = 중화민국 국방부 | 통수권자 = 중화민국 총통 | 군령권자 = 중화민국 국방부 장관 | 상비군 = 163,000명 | 예비군 = 1,657,000명 | 전시 최대 가용 인원 = | 병역제도 = 모병제 | 범례 너비 = 30% | 범례 배경 색 = #d2cfca | 범례 배경 색2 = #b0cecb | 범례 글씨 색 = #000 | 육군 장비 분류 1 이름 = 전차 총합 | 육군 장비 분류 1 = 1,190대 | 육군 장비 분류 2 이름 = 장갑차 (APCs/IFVs) | 육군 장비 분류 2 = 2,626대 | 육군 장비 분류 3 이름 = 견인포 | 육군 장비 분류 3 = 1,130문 | 육군 장비 분류 4 이름 = 자주포 | 육군 장비 분류 4 = 285문 | 육군 장비 분류 5 이름 = MLRS | 육군 장비 분류 5 = 115문 | 함정·소정 총합 1 이름 = | 함정·소정 총합 1 = | 함정·소정 총합 10 이름 = | 함정·소정 총합 10 = | 수상함 종류 1 이름 = <small>1만톤 미만 ~ 9천톤 이상</small><br>구축함 | 수상함 종류 1 = 4척 | 수상함 종류 2 이름 = <small>3천톤 미만 ~ 5천톤 이상</small><br>구축함 | 수상함 종류 2 = 22척 | 수상함 종류 3 이름 = <small>5백톤 미만 ~ 6백톤 이상</small><br>초계함 | 수상함 종류 3 = 1척 | 수상함 종류 4 이름 = <small>5백톤 이상 ~ 6백톤 미만</small><br>미사일 고속정 | 수상함 종류 4 = 12척 | 수상함 종류 5 이름 = <small>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small><br>고속정 | 수상함 종류 5 = 31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 이름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0 이름 =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종류 10 = | 잠수함 종류 1 이름 = <small>2천7백톤 이상 ~ 2천8백톤 미만</small><br>재래식 잠수함 | 잠수함 종류 1 = 2척 | 잠수함 종류 2 이름 = <small>1천5백톤 이상 ~ 1천6백톤 미만</small><br>재래식 잠수함 | 잠수함 종류 2 = 2척 | 공군 장비 분류 1 이름 = 4세대 전투기 | 공군 장비 분류 1 = 325기 | 공군 장비 분류 2 이름 = 3세대 전투기 | 공군 장비 분류 2 = 29기 | 공군 장비 분류 3 이름 = 조기경보통제기 (E-2T/K) | 공군 장비 분류 3 = 6기 | 공군 장비 분류 4 이름 = 헬리콥터 | 공군 장비 분류 4 = 307기 | 국방비 총합 = $10,400,000,000 }}
![]() 나라 제작 틀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