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자 캠프/배급권: 두 판 사이의 차이

23번째 줄: 23번째 줄:
1카드로 후추, 소금, 고춧가루 등 중 택 1.
1카드로 후추, 소금, 고춧가루 등 중 택 1.


=== 양념 카드 ===
=== 양념 ===
1달마다 5장씩 지급.
1달마다 5장씩 사용 가능.


1카드로 케찹, 고추장, 간장, 참기름, 포도씨유 등 양념 중 택 1.
1카드로 케찹, 고추장, 간장, 참기름, 포도씨유 등 양념 중 택 1.

2021년 10월 16일 (토) 18:35 판


이 문서는 제3차 세계대전 세계관의 공식 설정입니다.
제3차 세계대전 세계관의 공식 설정으로, 모든 문서는 마음껏 수정하셔도 됩니다만 제작자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초기화될 수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개요

생존자 캠프에서 노동의 댓가로 지급했던 배급권에 대하여 다룬다.

  • 배급권은 위조방지 기술을 활용하여 약 100만장이 전쟁 이전 제작되었다.
  • 배급권은 식량 카드로 교환이 가능했다.
  • 대고려국 수립 이후 정부는 배급권을 유상 매수했지만 강제는 아니었다. --10년쯤 지나면 배급권은 수집품으로 비싸게 팔릴지도--

배급권의 가치

쌀 교환권(100g)

배급권 1장.

통조림 교환권

배급권 2장.

과자 교환권

배급권 4장.

향신료

배급권 1장이며, 1개월마다 3개씩 사용 가능.

1카드로 후추, 소금, 고춧가루 등 중 택 1.

양념

1달마다 5장씩 사용 가능.

1카드로 케찹, 고추장, 간장, 참기름, 포도씨유 등 양념 중 택 1.

배급 규정

배급원

  • 배급 장소에는 배급원 3명이 상시 근무.
  • 배급원의 부정행위 적발 시 이유를 불문하고 즉시 추방.

추방자 적발의 포상

  • 추방 처분을 받았으나 추방에 불복하고 캠프에서 목격당한 자를 생포한 자에게 포상을 내림.
  • 추방자 생포 시 배급권 100장
  • 추방자 사살 시 배급권 50장

배급권 지급 규정

배급원

배급권 4장

군인

장교, 무전관, 해정관, 독도관(교육)

배급권 3장

사병

배급권 2장

의료인

배급권 4장+환자 10명 치료 시 배급권 1

수선사

배급권 4장+옷 20벌 수선 시 배급권 1

수의사

배급권 3장+동물 10마리 치료 시 배급권 1

토기 제작가

배급권 2장+토기 30개 제작 시 배급권 1

송근유 추출

배급권 2장+송근유 20l당 배급권 1 가스라이터 충전 : 배급권 1장+라이터 5개 충전 배급권 1

약초꾼

배급권 3장+약초의 수준 판단 후 배급권 추가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