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오륀: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12번째 줄:


*[[흰바람 부족(오륀)|흰바람 부족]]
*[[흰바람 부족(오륀)|흰바람 부족]]
대화산 '저승의 문'에서부터 동부로 이어지는 낮고 긴 북부의 '굳은 피 산맥'에 위치한 부족이다. 부족원 대부분이 광산업에 매진하며, 각종 광물 및 공산품을 다른 부족의 식량과 교환한다. 식량 생산 대부분을 타 부족에게 의존하고 있으나, 산맥 부족이 주술적으로 만들어내는 '''냉철'''이 일반적인 공산품에 비해 워낙 뛰어난 품질을 보이기에 다른 부족에게 권위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이진 않는다. 그 외에도 오륀에서 주술적으로 중요한 환각성 마약 '''감추어진 빛'''를 만들어내는 비법을 알고 있다. 자세한 것은 [[흰바람 부족(오륀)|문서]] 참조.
대화산 '저승의 문'에서부터 동부로 이어지는 낮고 긴 북부의 '굳은 피 산맥'에 위치한 부족이다. 부족원 대부분이 광산업에 매진하며, 각종 광물 및 공산품을 다른 부족의 식량과 교환한다. 식량 생산 대부분을 타 부족에게 의존하고 있으나, 산맥 부족이 주술적으로 만들어내는 '''냉철'''이 일반적인 공산품에 비해 워낙 뛰어난 품질을 보이기에 다른 부족에게 권위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이진 않는다.
<br/>그 외에도 오륀에서 주술적으로 중요한 환각성 마약 '''감추어진 빛'''를 만들어내는 비법을 알고 있다. 자세한 것은 [[흰바람 부족(오륀)|문서]] 참조.


*[[화산 씨족(오륀)|화산 씨족]]
*[[화산 씨족(오륀)|화산 씨족]]
대화산 '저승의 문'을 지키는 씨족으로, 전통적으로 악신 [[오륀 신화#뭉겔티르|뭉겔티르]]의 부활을 막고 번제의 의식을 거행하는 등 오륀의 종교적인 행사의 중추적인 집단이다. 때문에 다른 부족에 비해 규모가 훨씬 작은 씨족사회임에도 오륀 내에서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다. 자세한 것은 [[화산 씨족(오륀)|문서]] 참조.
대화산 '저승의 문'을 지키는 씨족으로, 전통적으로 악신 [[오륀 신화#뭉겔티르|뭉겔티르]]의 부활을 막고 번제의 의식을 거행하는 등 오륀의 종교적인 행사의 중추적인 집단이다. 때문에 다른 부족에 비해 규모가 훨씬 작은 씨족사회임에도 오륀 내에서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다.
<br/>자세한 것은 [[화산 씨족(오륀)|문서]] 참조.


*발굽자국 부족
*발굽자국 부족
대평원을 오가는 유목 부족으로, 다른 부족들의 교류를 돕는 역할을 한다. 이름답게 오륀의 대부족 중 가장 많은 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말을 통해 섬 각지를 이동하며 부족 간의 물물교환에서 약간을 떼먹는 것을 통해 부족을 유지한다.
대평원을 오가는 유목 부족으로, 다른 부족들의 교류를 돕는 역할을 한다. 이름답게 오륀의 대부족 중 가장 많은 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말을 통해 섬 각지를 이동하며 부족 간의 물물교환에서 약간을 떼먹는 것을 통해 부족을 유지한다.
평원 한 가운데에 위치한 뵤르트 간헐천을 거점으로 한다. 간헐천에는 시장 형태의 거대한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섬 내 중계무역을 통해 얻은 물자들을 발굽 부족민들이 다시 교환하는 형태다. 부족 내부의 씨족 또는 길드 마다 담당하는 중계 루트가 있으며, 간혹 이해관계가 뒤틀려 분쟁이 벌어지곤 한다. 때문에 대부족 중에서도 내부 갈등이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인지, 부족 중에서도 재산과 관련된 관습법이 가장 많고 세세하며, 이따금 다른 부족의 법적 분쟁에 자문 역할을 맡기도 하는 등 법률적으로 상당히 진보된 모습을 보인다. 결국 오륀의 가혹한 자연환경 속에서 내부분열이 큰 위기로 번질 수 있음을 잘 알기에 평화적 해결 방법을 모색한 결과인 듯하다.
<br/>평원 한 가운데에 위치한 뵤르트 간헐천을 거점으로 한다. 간헐천에는 시장 형태의 거대한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섬 내 중계무역을 통해 얻은 물자들을 발굽 부족민들이 다시 교환하는 형태다. 부족 내부의 씨족 또는 길드 마다 담당하는 중계 루트가 있으며, 간혹 이해관계가 뒤틀려 분쟁이 벌어지곤 한다. 때문에 대부족 중에서도 내부 갈등이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인지, 부족 중에서도 재산과 관련된 관습법이 가장 많고 세세하며, 이따금 다른 부족의 법적 분쟁에 자문 역할을 맡기도 하는 등 법률적으로 상당히 진보된 모습을 보인다. 결국 오륀의 가혹한 자연환경 속에서 내부분열이 큰 위기로 번질 수 있음을 잘 알기에 평화적 해결 방법을 모색한 결과인 듯하다.
간헐천을 이용한 자체적인 식량 생산 역시 하고는 있으나 부족민 전체를 감당할 수준은 결코 아니며, 대부분의 식량 및 생필품의 수급을 다른 부족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흰바람 부족이나 화산 씨족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화산 씨족은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흰바람 부족은 오륀 섬의 핵심적인 공산품을 생산하기에 계급이 높은 반면, 발굽 부족은 이렇다할 생산 능력 없이 중계업을 통해 이득을 취하기에 다른 부족에게 그리 좋은 시선을 받진 못한다.
<br/>간헐천을 이용한 자체적인 식량 생산 역시 하고는 있으나 부족민 전체를 감당할 수준은 결코 아니며, 대부분의 식량 및 생필품의 수급을 다른 부족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흰바람 부족이나 화산 씨족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화산 씨족은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흰바람 부족은 오륀 섬의 핵심적인 공산품을 생산하기에 계급이 높은 반면, 발굽 부족은 이렇다할 생산 능력 없이 중계업을 통해 이득을 취하기에 다른 부족에게 그리 좋은 시선을 받진 못한다.


*검은꼬리 부족
*검은꼬리 부족
오륀 서부에 조성된 할스타구르 숲을 다스리는 부족. 할스타구르 섬에서만 사는 검은꼬리끝흰여우를 숭배하는 독특한 부족이다. 다른 부족과의 교류가 그리 잦지 않으며, 숲의 과일이나 설치류, 야생돼지, 사슴 등을 사냥하거나 서부 끝에 위치한 삼각주의 간헐천을 이용한 온천수 온실농사 등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편이다.
오륀 서부에 조성된 할스타구르 숲을 다스리는 부족. 할스타구르 섬에서만 사는 검은꼬리끝흰여우를 숭배하는 독특한 부족이다. 다른 부족과의 교류가 그리 잦지 않으며, 숲의 과일이나 설치류, 야생돼지, 사슴 등을 사냥하거나 서부 끝에 위치한 삼각주의 간헐천을 이용한 온천수 온실농사 등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편이다.
유일하게 숲 외부의 부족과 교류하는 경우는 목재 때문으로, 오륀에서 가장 큰 숲을 거느리는 만큼 다른 부족에게 목재를 대가로 다른 부족의 생산품을 받는다. 주된 거래품목은 흰바람 부족에서 생산되는 마약이나 냉철, 그리고 다른 부족의 양모 및 유제품이다. 대체로 양모와 우유, 치즈를 많이 거래하기 때문에 목재 거래만을 위해 양과 소를 기르는 대지주도 있을 정도다.
<br/>유일하게 숲 외부의 부족과 교류하는 경우는 목재 때문으로, 오륀에서 가장 큰 숲을 거느리는 만큼 다른 부족에게 목재를 대가로 다른 부족의 생산품을 받는다. 주된 거래품목은 흰바람 부족에서 생산되는 마약이나 냉철, 그리고 다른 부족의 양모 및 유제품이다. 대체로 양모와 우유, 치즈를 많이 거래하기 때문에 목재 거래만을 위해 양과 소를 기르는 대지주도 있을 정도다.
오륀의 다른 부족들은 모두 전설 속의 현자이자 하늘의 대리인인 [[오에번]]을 숭배하는 반면, 검은꼬리 부족민들은 독특하게도 섬 곳곳에 펼쳐져있다고 믿어지는 자연의 정령들을 숭배한다. 검은꼬리 부족은 검은꼬리끝흰여우가 정령들의 분신이거나 정령들의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고 믿으며, 때문에 정령들의 터전인 숲과 검은꼬리끝흰여우를 지키기 위해 다른 부족들로부터 할스타구르 숲을 수비하고 있다.
<br/>오륀의 다른 부족들은 모두 전설 속의 현자이자 하늘의 대리인인 [[오에번]]을 숭배하는 반면, 검은꼬리 부족민들은 독특하게도 섬 곳곳에 펼쳐져있다고 믿어지는 자연의 정령들을 숭배한다. 검은꼬리 부족은 검은꼬리끝흰여우가 정령들의 분신이거나 정령들의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고 믿으며, 때문에 정령들의 터전인 숲과 검은꼬리끝흰여우를 지키기 위해 다른 부족들로부터 할스타구르 숲을 수비하고 있다.
그들의 존재는 단순히 오륀 내 이교집단 뿐 아니라 섬의 생태계에도 아주 중요한데, 그 이유는 오륀의 특성상 목재가 지나치게 적기 때문이다. 온천수를 이용한 온실농업을 통해 인구 안정성이 높아진 이후, 땔감과 주거를 위한 목재의 선호도가 높아져 자칫 잘못하면 숲의 절멸로 이어질 수 있었던 인구 팽창을 검은꼬리 부족이 막아주었기 때문. 오륀에서 가장 큰 숲인 할스타구르 숲이 사라지면 오직 할스타구르 숲에만 서식하는 검은꼬리끝흰여우는 물론 목재를 필요로 하는 다른 부족들이 생존의 위기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숲을 보호하는 검은꼬리 부족의 중요도는 매우 높다.
<br/>그들의 존재는 단순히 오륀 내 이교집단 뿐 아니라 섬의 생태계에도 아주 중요한데, 그 이유는 오륀의 특성상 목재가 지나치게 적기 때문이다. 온천수를 이용한 온실농업을 통해 인구 안정성이 높아진 이후, 땔감과 주거를 위한 목재의 선호도가 높아져 자칫 잘못하면 숲의 절멸로 이어질 수 있었던 인구 팽창을 검은꼬리 부족이 막아주었기 때문. 오륀에서 가장 큰 숲인 할스타구르 숲이 사라지면 오직 할스타구르 숲에만 서식하는 검은꼬리끝흰여우는 물론 목재를 필요로 하는 다른 부족들이 생존의 위기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숲을 보호하는 검은꼬리 부족의 중요도는 매우 높다.


*[[따개비 부족(오륀)|따개비 부족]]
*[[따개비 부족(오륀)|따개비 부족]]

2022년 1월 30일 (일) 00:21 판

개요

신화

오륀 섬은 대홍수 이후 육지와의 교류가 단절되어 독자적인 종교적 세계관을 구축하였다. 자세한 것은 오륀 신화 항목 참조.

사회

사회구조

오륀은 9개의 대부족이 섬의 각 지역을 다스리고 있다. 오륀의 대부족은 다음과 같다.

대화산 '저승의 문'에서부터 동부로 이어지는 낮고 긴 북부의 '굳은 피 산맥'에 위치한 부족이다. 부족원 대부분이 광산업에 매진하며, 각종 광물 및 공산품을 다른 부족의 식량과 교환한다. 식량 생산 대부분을 타 부족에게 의존하고 있으나, 산맥 부족이 주술적으로 만들어내는 냉철이 일반적인 공산품에 비해 워낙 뛰어난 품질을 보이기에 다른 부족에게 권위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이진 않는다.
그 외에도 오륀에서 주술적으로 중요한 환각성 마약 감추어진 빛를 만들어내는 비법을 알고 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대화산 '저승의 문'을 지키는 씨족으로, 전통적으로 악신 뭉겔티르의 부활을 막고 번제의 의식을 거행하는 등 오륀의 종교적인 행사의 중추적인 집단이다. 때문에 다른 부족에 비해 규모가 훨씬 작은 씨족사회임에도 오륀 내에서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발굽자국 부족

대평원을 오가는 유목 부족으로, 다른 부족들의 교류를 돕는 역할을 한다. 이름답게 오륀의 대부족 중 가장 많은 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말을 통해 섬 각지를 이동하며 부족 간의 물물교환에서 약간을 떼먹는 것을 통해 부족을 유지한다.
평원 한 가운데에 위치한 뵤르트 간헐천을 거점으로 한다. 간헐천에는 시장 형태의 거대한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섬 내 중계무역을 통해 얻은 물자들을 발굽 부족민들이 다시 교환하는 형태다. 부족 내부의 씨족 또는 길드 마다 담당하는 중계 루트가 있으며, 간혹 이해관계가 뒤틀려 분쟁이 벌어지곤 한다. 때문에 대부족 중에서도 내부 갈등이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인지, 부족 중에서도 재산과 관련된 관습법이 가장 많고 세세하며, 이따금 다른 부족의 법적 분쟁에 자문 역할을 맡기도 하는 등 법률적으로 상당히 진보된 모습을 보인다. 결국 오륀의 가혹한 자연환경 속에서 내부분열이 큰 위기로 번질 수 있음을 잘 알기에 평화적 해결 방법을 모색한 결과인 듯하다.
간헐천을 이용한 자체적인 식량 생산 역시 하고는 있으나 부족민 전체를 감당할 수준은 결코 아니며, 대부분의 식량 및 생필품의 수급을 다른 부족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흰바람 부족이나 화산 씨족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화산 씨족은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흰바람 부족은 오륀 섬의 핵심적인 공산품을 생산하기에 계급이 높은 반면, 발굽 부족은 이렇다할 생산 능력 없이 중계업을 통해 이득을 취하기에 다른 부족에게 그리 좋은 시선을 받진 못한다.

  • 검은꼬리 부족

오륀 서부에 조성된 할스타구르 숲을 다스리는 부족. 할스타구르 섬에서만 사는 검은꼬리끝흰여우를 숭배하는 독특한 부족이다. 다른 부족과의 교류가 그리 잦지 않으며, 숲의 과일이나 설치류, 야생돼지, 사슴 등을 사냥하거나 서부 끝에 위치한 삼각주의 간헐천을 이용한 온천수 온실농사 등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편이다.
유일하게 숲 외부의 부족과 교류하는 경우는 목재 때문으로, 오륀에서 가장 큰 숲을 거느리는 만큼 다른 부족에게 목재를 대가로 다른 부족의 생산품을 받는다. 주된 거래품목은 흰바람 부족에서 생산되는 마약이나 냉철, 그리고 다른 부족의 양모 및 유제품이다. 대체로 양모와 우유, 치즈를 많이 거래하기 때문에 목재 거래만을 위해 양과 소를 기르는 대지주도 있을 정도다.
오륀의 다른 부족들은 모두 전설 속의 현자이자 하늘의 대리인인 오에번을 숭배하는 반면, 검은꼬리 부족민들은 독특하게도 섬 곳곳에 펼쳐져있다고 믿어지는 자연의 정령들을 숭배한다. 검은꼬리 부족은 검은꼬리끝흰여우가 정령들의 분신이거나 정령들의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고 믿으며, 때문에 정령들의 터전인 숲과 검은꼬리끝흰여우를 지키기 위해 다른 부족들로부터 할스타구르 숲을 수비하고 있다.
그들의 존재는 단순히 오륀 내 이교집단 뿐 아니라 섬의 생태계에도 아주 중요한데, 그 이유는 오륀의 특성상 목재가 지나치게 적기 때문이다. 온천수를 이용한 온실농업을 통해 인구 안정성이 높아진 이후, 땔감과 주거를 위한 목재의 선호도가 높아져 자칫 잘못하면 숲의 절멸로 이어질 수 있었던 인구 팽창을 검은꼬리 부족이 막아주었기 때문. 오륀에서 가장 큰 숲인 할스타구르 숲이 사라지면 오직 할스타구르 숲에만 서식하는 검은꼬리끝흰여우는 물론 목재를 필요로 하는 다른 부족들이 생존의 위기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숲을 보호하는 검은꼬리 부족의 중요도는 매우 높다.

오륀 남서부의 작은 반도지역에 거점을 둔 부족으로, 사실상 오륀 남부의 해안 전역을 다스린다고 봐도 무방하다. 오륀의 어업생산 전체를 책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륀의 다른 대부족과 달리 유일하게 육지 경험이 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전통과 풍습

자연

기후

지리

식생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