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파일:뮤턴트2.jpg|link=]] | |[[파일:뮤턴트2.jpg|link=]] | ||
|} | |} | ||
{{neon|#b57576|black|{{ | {{neon|#b57576|black|{{fontsize|14|'''뮤턴트 / Mutant'''}}}} {{fontsize|9|(변형계, 증강계)}} | ||
{{목차}} | {{목차}} | ||
== 개요 == | == 개요 == |
2022년 9월 2일 (금) 01:43 판
| ||
---|---|---|
[ 펼치기 · 접기 ]
|
분류별 이능력과 이능자 | ||||||||||||||||||||||
---|---|---|---|---|---|---|---|---|---|---|---|---|---|---|---|---|---|---|---|---|---|---|
[ 펼치기 · 접기 ]
|
![]() |
뮤턴트 / Mutant (변형계, 증강계)
개요
뮤턴트(Mutant)는 칠성고등학교의 등장인물 서은우의 능력이다.
상세
간단히 말해 신체 일부를 생물학·유전학적으로 변형시키는 능력이다. 능력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신체 능력이 일반인보다 비약적으로 높으며, 능력을 사용한 부위는 그 정도가 더욱 강화된다.
정확한 원리는 세포의 운동 능력이 발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근력이나 순발력의 개념이 아니라 재생력이나 오감도 발달한다. 뼈가 드러날 정도로 손상을 입어도 늦어도 수 초면 회복되고, 심지어 목이나 심장 같은 급소를 당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거나 재생력 이상의 피해를 입지 않는 한 죽지 않고 재생한다.
신체 변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피부를 벗기고 근육을 비대하게 만들어 운동 능력을 상승시키는 형태와, 두 번째는 신체 강도를 높여 금속처럼 단단하게 만드는 형태이다. 후자는 칼날이나 방패의 모양을 본떠 공격이나 방어의 용도로 사용하고, 전자는 그러한 후자를 뒷받침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신체 변형은 인체 구조의 한계를 무시할 수 있다. 등이나 허리 부근에서 몇 가닥의 긴 촉수를 꺼낼 수도 있고, 팔을 촉수처럼 늘어뜨릴 수도 있다. 너무 많은 변형은 불가하지만, 가능한 범위 내라면 상상력이 받쳐 주는 한 구현하지 못하는 것은 없다. 물론 한계에 가까워질 만큼 신체를 많이 변형할수록 신체에 오는 부담감도 훨씬 커진다.
변이(變異)
인체 구조를 유지한 채로 하는 변형. 이게 뭔 소리냐면, 변형을 해도 손과 발, 팔과 다리 등의 인체들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뮤턴트는 기본적으로 신체 능력을 올려 주지만, 변이를 사용하면 그 부위는 정도가 더욱 올라간다.
손을 변형시킬 땐 사진처럼 늘 손톱대신 칼날을 달고, 발을 변형시킬 땐 사진처럼 늘 발가락과 발바닥 부분을 강철처럼 경질화시키는 편이다. 물론 변형은 자유로우므로 때에 따라 조절하기도 한다. 변이를 전신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체력 소모가 남달라서 1시간 남짓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빠른 순발력을 이용해 때에 따라 올바른 부위만 변이시킨다.
변모(變貌)
촉수를 꺼내거나 팔을 방패처럼 만드는 등 인체 구조의 한계를 무시한 변형. 인체 구조를 무시하는, 즉 원래 신체의 겉넓이나 부피를 조절하는 변형이므로 당연히 한계가 존재한다. 최대 컨디션으로 움직일 수 있는 촉수는 한번에 20개까지. 각각 길이는 약 40m에, 두께는 성인 남성의 몸통만 하고, 힘은 건설 기계마저 맥을 못 추릴 정도다. 여기서 개수를 늘릴수록 힘은 약해지고 길이는 짧아진다. 36개까지 늘리면 잘 단련한 일반인 수준으로까지 약해진다.
촉수는 보통 허리 뒤쪽이나 목 뒤쪽에서 꺼내지만 신체 어디서든 꺼낼 수 있다. 그냥 그 둘이 자주 꺼내서 익숙할 뿐. 사진은 예시. 사진처럼 손이나 팔 자체를 촉수처럼 만들 수도 있다. 길게 늘인 촉수의 끝에는 늘 칼날이 달려 있는 편이다.
변의(變衣)
패널티
뮤턴트도, 아니 넓게 보면 능력도 결국 신체의 일부이기 때문에 사용할수록 체력이 소모된다는 것 외에 뮤턴트만의 특정한 패널티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