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주국 (동백 유니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51번째 줄: 251번째 줄:
== 사회 ==
== 사회 ==
전 교육부장관 방국봉에 의해 국가 단위로 탈학교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 교육부장관 방국봉에 의해 국가 단위로 탈학교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 민족 구성 ===
삼국연합전쟁 이후 4,400만명의 외국계 노동자가 들어왔으며, 통일 이후에는 북한계 주민이 더해져 한민족의 비율이 50% 정도가 되었으나 2034년 3월, 한민족은 다른 한민족과 혼인을 할 수 없으며, 오직 외국인이나 다문화 2세와만 결혼할 수 있다는 법이 제정되어 2045년 즈음에는 한민족의 비율이 36% 정도로 감소하였다.
*2041년 조사
** 한민족 (36.3%)
** 중국인 (19.7%)
** 베트남인 (8.9%)
** 태국인 (7.8%)
** 미국인 (7.7%)
** 우즈베크인 (6.0%)
** 필리핀인 (2.6%)
** 러시아인 (1.9%)
** 기타 (3.9%)


[[분류:동백 유니버스]]
[[분류:동백 유니버스]]


<references />
<references />

2023년 3월 21일 (화) 00:03 판

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주국(일명 통일 한국) 大韩民主国

Democratic Commonwealth of Korea

국기
국장
표어 삼균주의(三均主义)
국가 민주애국가

수도 서울특별시
구역 2구성국, 1특별시, 2특별행정자치시, 3특별자치도, 12도, 8광역시
나라 수도 주권국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주국
조선인민공화국 평양특별자치시
역사
삼국연합전쟁 2030년 7월 23일 ~ 2030년 12월 24일
제2차 한국전쟁 2031년 1월 ~ 2031년 3월
남북통일 2031년 3월 2일
제8공화국 성립 2045년 1월 1일
제2차 한일전쟁 2045년 8월 23일 ~ 2046년 4월
정치 (2045년 시점)
정치체제 공화제, 민주제, 단일국가[1], 내각책임제, 단원제
국회상임간사회 의장(국가원수) 김신
정부수석(정부수반) 최한결
국회의장 지동철
대법원장 서석우
지리
국토면적 223,348 km²
내수면비율 0.3%
시간대 KST(UTC+09:00)
DST 없음
인문
공용어 한국어, 한국수어 외 14개 +α[2]
지역어 제주어, 육진어
경제
2045년 기준 GDP(명목) 5조 5000억 $ (?위)
2045년 기준 1인당 GDP 55000 $(?위)
통화 원 (KRW,₩)
인구
2045년 어림 79.650.340 명
2044년 조사 79.549.300 명
인구밀도 358.0 (35위)
평균수명 44세[3]

개요

2031년, 남북통일로 성립한 이른바 '통일 한국'의 정식 명칭이자 동백 유니버스의 주무대이다.

정치

주요 정당

I. 사람중심당(2041년부터 여당): 제24대 대통령 오늘이 한려시 시장이던 시절 창당한 정당. 전국신경다양성연합(전신련)을 모태로 하고 있다. 이름인 사람중심당은 전신련에서 가장 큰 단체 '휴먼퍼스트'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II. 통일진보당(사람당과 연립여당): 사람당 이전에 원내 3당을 차지했던 정당으로 진보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2045년 정부수석을 맡고 있는 최한결이 이 당 소속이다.

III. 헌정민주당: 중도보수 정당. 오늘 이전에는 나라사랑당과 함께 양당 체제를 이루고 있었다.

IV. 우리애국당: 우파~극우 정당. 나라사랑당 해산 이후 나라사랑당 잔당 중 일부가 이 당에 소속되어 있다.

행정

제8공화국부터 '장관' 대신에 '위원'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음(각료를 총칭하는 표현은 '정부위원'). 아래는 제8공화국 기준 정부부처이다.

I. 행정안전부

i)경찰청

ii)소방청

II. 기획재정부

i)관세청

ii)국세청

iii)조달청

III.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V. 외교부

V. 법무부

i)검찰청

ii)교정청

iii)이민청

VI. 국방부

i)방위사업청

ii)병무청

VII. 국가보훈부

VIII. 문화체육관광부

i)관광청

ii)대중문화청

iii)국가유산청

iv)번역청

IX. 고용노동부

X. 창의산업정책부

i)지식재산권청

XI. 동력자원부

i)신재생에너지청

ii)원자력청

XII. 농림축산식품부

XIII. 디자인산업부

XIV. 유통물류부

XV. 바이오나노부

XVI. 소재부품정책부

XVII. 전자부품부

XVIII. 철강화학부

XIX. 섬유세라믹부

XX. 기계로봇부

XXI. 자동차항공부

XXII.조선해양플랜트부

XXIII. 전자전기부

XXIV. 보건복지부

XXV. 환경부

i)기상청

XXVI. 여성가족부

XXVII. 국토교통부

i)철도청

ii)항공청

iii)건설청

XXVIII. 해양수산부

i)해양경찰청

ii)해운청

XXIX. 중소벤처기업부

경제

북유럽 사민주의보다 발전한 형태를 취하여 대부분의 기업은 국유화되어 있으나(브랜드는 유지하고 있다), 경영은 자율적이다.

삼국연합전쟁 이후, 이나연 대통령에 의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1. 재벌 증세(대표적으로 상속세로 10조 원 이상 회수)로 전 대학생 국비장학생화

2. 의료체계 개혁(공공의대로 젊은 의사 5만 명 증원, '무상의료제도' 현실화)

3. 2백70여조 원의 기금을 통폐합하여 '장애인 특별기금' 및 '장애인을 위한 특별사업체' 설립

4. 1960년대 이후 저질러진 온갖 부정축재 재조사. 이를 통하여 '효도를 사회화'

이후 오늘 대통령이 '공공부문[4] 국유화에 관한 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표하여 시범적으로 공공부문에 대한 국유화가 이루어졌으며, 제8공화국 이후에는 단계적으로 재벌에 대한 국유화가 진행 중이다.

사회

전 교육부장관 방국봉에 의해 국가 단위로 탈학교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민족 구성

삼국연합전쟁 이후 4,400만명의 외국계 노동자가 들어왔으며, 통일 이후에는 북한계 주민이 더해져 한민족의 비율이 50% 정도가 되었으나 2034년 3월, 한민족은 다른 한민족과 혼인을 할 수 없으며, 오직 외국인이나 다문화 2세와만 결혼할 수 있다는 법이 제정되어 2045년 즈음에는 한민족의 비율이 36% 정도로 감소하였다.

  • 2041년 조사
    • 한민족 (36.3%)
    • 중국인 (19.7%)
    • 베트남인 (8.9%)
    • 태국인 (7.8%)
    • 미국인 (7.7%)
    • 우즈베크인 (6.0%)
    • 필리핀인 (2.6%)
    • 러시아인 (1.9%)
    • 기타 (3.9%)
  1. 구성국이 존재함에도 영국과 비슷한 이유로 단일국가이다.
  2. 지역에 따라 조례로 공용어를 지정할 수 있다. 가령 서래마을은 프랑스어를, 남해 독일마을은 독일어를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
  3. 삼국연합전쟁으로 인구 및 평균수명 격감
  4. 에너지·교통‧공항·항만·교육‧보건의료‧복지‧돌봄·문화‧정보통신‧주거‧환경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