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번째 줄: | 146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a}} | ! {{Aki|a}} | ||
175번째 줄: | 175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h}} | ! {{Aki|h}} | ||
204번째 줄: | 204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o}} | ! {{Aki|o}} | ||
233번째 줄: | 233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t}} | ! {{Aki|t}} | ||
262번째 줄: | 262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wa}} | ! {{Aki|wa}} | ||
291번째 줄: | 291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mu}} | ! {{Aki|mu}} | ||
322번째 줄: | 322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a}} | ! {{Aki|a}} | ||
351번째 줄: | 351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h}} | ! {{Aki|h}} | ||
380번째 줄: | 380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o}} | ! {{Aki|o}} | ||
409번째 줄: | 409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t}} | ! {{Aki|t}} | ||
438번째 줄: | 438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wa}} | ! {{Aki|wa}} | ||
467번째 줄: | 467번째 줄: | ||
{| class="toccolours" | {| class="toccolours" |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style="background:#ccf; text-align:center" | ||
! {{여백| | ! {{여백|1.5em}}문자{{여백|1.5em}} || {{여백|1.5em}}명칭{{여백|1.5em}} || {{여백|1.5em}}발음{{여백|1.5em}} | ||
|- | |- | ||
! {{Aki|mu}} | ! {{Aki|mu}} |
2019년 7월 14일 (일) 17:36 판
사용 국가 | 없음 |
---|---|
사용 지역 | 없음 |
언어 인구 | 없음 |
문자 | 형상 아키자 |
언어 계통 | 이뮨족 아키온파 링구안키에군 아키텔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없음 |
표준 | 아포스테론 역사연구회 |
언어 부호 | |
ISO 639-1 | ak |
ISO 639-2 | aki |
ISO 639-3 | —
|
개요
이뮨 신화와 관련된 유적이나 고서(古書)의 연구를 위하여 창안되고 이뮨족 아키온어파에 속하는 언어. 문자로는 원래있었던 본아키자를 해독하여 간략화한 형상 아키자를 사용한다. 실질적인 언어 사용자는 없지만 앞서 말했듯 연구 서적 및 고서의 해독본 등은 거의 대부분 아키텔어를 사용한다. 문자는 인공적으로 만들었지만 옛날 문서의 글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로 언어 자체는 매우 오래되었다. 구어체는 사멸되었으나, 문어체는 오랜 기간의 연구를 통해서 문법과 같은 세부 체계에 대해서도 방대하게 정리하는데 성공했다.
문자의 역사
파일:IMW-A.png | 파일:IMW-Æ.png | 파일:IMW-B.png | 파일:IMW-C.png | 파일:IMW-D.png | 파일:IMW-E.png | 파일:IMW-F.png | 파일:IMW-G.png | 파일:IMW-H.png | 파일:IMW-I.png | 파일:IMW-J.png | 파일:IMW-K.png | 파일:IMW-L.png | 파일:IMW-M.png | 파일:IMW-N.png | 파일:IMW-O.png | 파일:IMW-Ö.png | 파일:IMW-Ø.p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파일:IMW-P.png | 파일:IMW-Q.png | 파일:IMW-R.png | 파일:IMW-S.png | 파일:IMW-SS.png | 파일:IMW-T.png | 파일:IMW-U.png | 파일:IMW-Ü.png | 파일:IMW-V.png | 파일:IMW-Ʌ.png | 파일:IMW-W.png | 파일:IMW-X.png | 파일:IMW-Y.png | 파일:IMW-Z.png | 파일:IMW-End.png | 파일:IMW-Question.png | 파일:IMW-Space.png | 파일:IMW-Spare.pn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아키텔어는 로마 인근에서 발굴된 세미타 볼루멘 문서들에 기록된 이뮤나 문자가 원래의 표기 문자로 사용되었다. 이뮨나 문자는 총 36개의 패턴으로 나뉘어 4개의 특수어를 제외한 대다수 패턴은 표음문자로 추정된다. 4개의 특수어는 E패턴, Q패턴, C패턴, S패턴으로 나뉘며 각각 문장을 끝내는 역할, 질문형으로 문장을 끝내는 역할, 단어 간의 경계를 지어주는 역할, 앞의 음운에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수어는 간략화되어 현재는 마침표만 남아있고, S패턴의 역할은

가 이어받았다.
알파벳과 발음 설명
|
|
|
|
|
|
|
|
|
|
|
|
닿소리
양순 | 치경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
---|---|---|---|---|---|---|
비음 | m | n | ŋ | ɴ | ||
파열음 | p b | t d | k ɡ | |||
마찰음 | ɸ β | s z | ɕ ʑ | ç | ɣ | χ |
파찰음 | ʦ ʣ | ʨ ʥ | ||||
탄음 | ɾ | |||||
접근음 | j | ɰ |
문법
명사
명사의 변형
대명사
인칭대명사
아키텔어의 인칭대명사 | ||||||
단수 | 복수 | |||||
---|---|---|---|---|---|---|
남성 | 여성 | 중성 | 남성 | 여성 | 중성 | |
1인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수 인칭대명사 + ![]() ![]() ![]() ![]() ![]() ![]() ![]() |
단수 인칭대명사 + ![]() ![]() ![]() ![]() ![]() ![]() ![]() ![]() ![]() |
단수 인칭대명사 + ![]() ![]() ![]() ![]() ![]() ![]() ![]() ![]() ![]() ![]() ![]() ![]() |
2인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수 인칭대명사 + ![]() ![]() ![]() ![]() ![]() ![]() |
단수 인칭대명사 + ![]() ![]() ![]() ![]() ![]() ![]() ![]() ![]() ![]() |
단수 인칭대명사 + ![]() ![]() ![]() ![]() ![]() ![]() ![]() ![]() ![]() ![]() ![]() ![]() ![]() |
3인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인칭
|
- 2인칭
|
지시대명사
아키텔어의 지시대명사 | ||||||||||||
단수 | 복수 | |||||||||||
---|---|---|---|---|---|---|---|---|---|---|---|---|
사물 | 생물 | |||||||||||
근칭 | 원칭 | 청자근칭 | 근칭 | 원칭 | 청자근칭 | 근칭 | 원칭 | 청자근칭 | ||||
원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문대명사
수사
기수
서수
시간
수식사
수식사의 변형
동사
시제
자동사와 타동사
사동사와 피동사
본동사와 보조 동사
의문사
접속법
접속사
조사
조사의 활용
접미사와 접두사
어순
회화
인사말
인간관계
인명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