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장) |
(→시군장) |
||
105번째 줄: | 105번째 줄: | ||
! colspan="14" | <big>제10회 지방선거 시도지사</big> | ! colspan="14" | <big>제10회 지방선거 시도지사</big>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1870B9;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1870B9;" | '''[[신민당|<span style="color:white;">신민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CC00;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CC00;" | '''[[정의당|<span style="color:white;">정의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CC3333;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CC3333;" | '''[[자유조선당|<span style="color:white;">자유조선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바른미래당|색1}};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바른미래당|색1}};" | '''[[북부동맹|<span style="color:white;">북부동맹]]'''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평화민주당|색1}};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평화민주당|색1}};" | '''[[평화민주당|<span style="color:white;">평화민주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통일국민당|색1}};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통일국민당|색1}};" | '''[[강원동맹|<span style="color:white;">강원동맹]]'''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통합진보당|색1}};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정당색/조선민주국|통합진보당|색1}};" | '''[[통합진보당|<span style="color:white;">통합진보당]]''' | ||
|- | |- | ||
|colspan="2 | |colspan="2" | '''118명''' | ||
|colspan="2 | |colspan="2" | 117명 | ||
|colspan="2 | |colspan="2" | 43명 | ||
|colspan="2 | |colspan="2" | 7명 | ||
|colspan="2 | |colspan="2" | 6명 | ||
|colspan="2 | |colspan="2" | 3명 | ||
|colspan="2 | |colspan="2" | 2명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
2019년 9월 22일 (일) 15:02 판
조선 제10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20년 6월 10일에 조선민주국 전역에서 실시 된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마지막 동시 지방 선거이다. 2019년 헌법을 통해 2년만에 조기 선거를 치루게 되었고 독일식으로 지방자치 제도가 바뀜에 따라 시도지사 선거는 치루지 않게 되었고 시도마다 선거 간격도 달라지게 되었다.
지역별 상세 결과
시도지사
제10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 ||||||
---|---|---|---|---|---|---|
신민당 | 정의당 | 자유조선당 | ||||
9명 | 6명 | 3명 |

마지막 시도지사 선거로 이 선거를 끝으로 모든 시와 도는 의원내각제 형태를 받아들인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제도상의 안정을 위해 시도지사 직접 선거를 유지하였다. 단, 제주도와 한양자유시, 평양자유시는 시도지사 선거를 법적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시군장![]()
도의회시군의회교육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