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HUNDRED: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인용문Q|완전한 하나의 사회}} 폐쇄적인 디스토피아를 표현하는 세계관. 200이라는 세계 내의 공간(km)이자 소셜 크레딧(SC)를 의미한다. 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인용문Q|완전한 하나의 사회}}
{{인용문Q|완전한 하나의 사회}}
폐쇄적인 디스토피아를 표현하는 세계관. 200이라는 세계 내의 공간(km)이자 소셜 크레딧(SC)를 의미한다. 존B 칼훈의 UNIERSE 25에서 모티프를 얻었으며 이때 쥐 실험장의 크기가 210cm, 한반도의 크기가 약 220,000km²점 등 200이라는 숫자에 꽂혀 작명하게 되었다.
==<big>소개</big>==
폐쇄적인 디스토피아를 표현하는 세계관. 200이라는 세계 내의 공간(km)이자 소셜 크레딧(SC)를 의미한다. 존B 칼훈의 UNIERSE 25에서 모티프를 얻었으며 이때 쥐 실험장의 크기가 210cm, 한반도의 크기가 약 220,000km²점 등 200이라는 숫자에 꽂혀 작명하게 되었다. 200에서는 모든 사회 구성원이 사회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수요하고 동시에 사회에 자원을 공급하며, 역할에 따라 특정한 월에 태어나 정확하게 65세가 되면 안락사한다.

2023년 12월 1일 (금) 10:36 판

완전한 하나의 사회

소개

폐쇄적인 디스토피아를 표현하는 세계관. 200이라는 세계 내의 공간(km)이자 소셜 크레딧(SC)를 의미한다. 존B 칼훈의 UNIERSE 25에서 모티프를 얻었으며 이때 쥐 실험장의 크기가 210cm, 한반도의 크기가 약 220,000km²점 등 200이라는 숫자에 꽂혀 작명하게 되었다. 200에서는 모든 사회 구성원이 사회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수요하고 동시에 사회에 자원을 공급하며, 역할에 따라 특정한 월에 태어나 정확하게 65세가 되면 안락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