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onlyinclude>{{css|반전}} | <onlyinclude>{{css|반전}} | ||
{| style="margin:15px auto;border:0px solid #e3ba62;max-width:100%;min-width:900px;width:100%;text-align:center;font-size:11px;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 | {| style="margin:15px auto;border:0px solid #e3ba62;max-width:100%;min-width:900px;width:100%;text-align:center;font-size:11px;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79,55,2,0.2) 30%, rgba(79,55,2,0) 50%, rgba(79,55,2,0.2) 70%);border-radius:10px;box-shadow:0px 0px 3px rgba(0,0,0,0.5);font-weight:bold;text-shadow:0px 0px 1px rgba(0,0,0,.2);font-family:KoPubDotumMedium ;" | ||
|- | |- | ||
| colspan="4" style="color:#b2222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 | | colspan="4" style="color:#b2222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79,55,2,0.4) 0%, rgba(79,55,2,0) 50%, rgba(79,55,2,0.4) 100%);padding:15px 0px;text-align:center;line-height:120%;font-size:11px;border-radius:10px 10px 0px 0px;" | {{fs|14|'''계묘정난'''}}{{V|5}}癸卯靖難<br>Chosunese Civil War | ||
|- | |- | ||
| colspan="4" style="height:10px;vertical-align:midd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 | | colspan="4" style="height:10px;vertical-align:midd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5) 20%, rgba(79,55,2,0.2) 100%);" | | ||
|- | |- | ||
| rowspan="15" style="width:50%;vertical-align:top;padding:15px 5px 13px 15px;" | | | rowspan="15" style="width:50%;vertical-align:top;padding:15px 5px 13px 15px;" | |
2024년 5월 15일 (수) 19:49 판
계묘정난癸卯靖難 Chosunese Civil War | |||
기간 | 1828년 1월 5일 ~ 1843년 12월 12일 (가평 13년 11월 19일 ~ 건헌 14년 10월 21일) | ||
장소 | 한반도 및 일본열도, 요동반도 일대 | ||
원인 | 대구 서씨의 숙청에 대항한 서현성의 난 2차 중추원 해산으로 촉발된 정해민란 | ||
결과 | 반청파의 승리 대한의 건국 및 전제군주제 복고, 칭제건원 시행 | ||
교전국 | |||
![]() 대명 명 (8만명) |
|||
지휘관 | |||
정부수반
태합 겸 태정대신
도요토미 히데요시 관백
지휘부
도요토미 히데츠구 대로
마에다 도시이에 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