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북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20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면적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면적
| colspan="2" | 19,313.5㎢
| colspan="2" | 43,055㎢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인구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인구
| colspan="2" | 파악 중(2022)
| colspan="2" | 4,300,726명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인구밀도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인구밀도
| colspan="2" | -
| colspan="2" | 99.88명/km²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도지사
! colspan="2"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도지사
| colspan="1" | 자유누리당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힘찬미래당|#fff}}|#fff|#217DFF}}'''
| colspan="1" | 소해찬
| colspan="1" | 소해찬
|-
|-
! rowspan="3"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부지사
! rowspan="2"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부지사
!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행정1
!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행정
|rowspan="3" | 무소속
|rowspan="3" | 무소속
||베르카바 칸자니카
||서경익
|-
|-
!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행정2
!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경제
||윤진학
||윤진학
|-
!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행정3
||하명원
|-
|-
! rowspan="4"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상징
! rowspan="4" colspan="1" style="background: #009935; color: #FFF" | 상징

2024년 8월 9일 (금) 18:09 판

대현월국의 도
양동북도
陽東北道
Yangdongbuk-do
도청 소재지 본청 사화시 연지구 소리동 도청로 577
서부 자유시 매흥동 주청로 120
하위 행정구역 6시 37군
면적 43,055㎢
인구 4,300,726명
인구밀도 99.88명/km²
도지사 힘찬미래당 소해찬
부지사 행정 무소속 서경익
경제 윤진학
상징 도화 목화
도목 은행나무
도조 까치
색상 #009935
지역번호
ISO 3166-2

개요

대현월국의 도.

상징

역사

면적

인구

지리

지형

청유강

청유강 지류

기타 하천

기후

생활권

행정

정치

경제

1차 산업

농업

어업

2, 3차 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문화

식문화

관광

사투리

양동북도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교통

스포츠

그 외

행정구역

치안

주변 지역과 관계

청하광역시

양동남도

천화북도

태정북도

태정남도

해진남도

자매결연 지역

국내

국외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