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한월역|한월]] 방면</small>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한월역|한월]] 방면</small></br>[[태원역|태 원]]</br>← 15.0km | ||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영남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덕전역|덕전]] 방면</small>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덕전역|덕전]] 방면</small></br>[[동정리역|동정리]]</br>10.0km → | ||
|- | |- | ||
|rowspan=" | |rowspan="4"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북산역|북산]] 방면</small></br>[[태원역|태 원]]</br>← 15.0km | ||
|rowspan="2" | [[동정리역|동정리]]</br> | |rowspan="2"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평남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금성역|금성]] 출발</small> | |||
|- | |||
|rowspan="2"|[[동정리역|동정리]]</br>← 10.0km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서라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rowspan="2"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서라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 |-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남명역|남명]] 출발</small>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남명역|남명]] | |||
|- | |- | ||
|} | |} | ||
32번째 줄: | 34번째 줄: | ||
|- | |- |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한북역|#414141|한북 방면}}</small></br>[[도산대역|도산대]]</br>← 2.7km | |color: #fff style="width: 33% | <small>{{cl|한북역|#414141|한북 방면}}</small></br>[[도산대역|도산대]]</br>← 2.7km | ||
|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style="width: 34%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br>( | | style="background: #0050FF; color: #fff; style="width: 34% | {{cl|수도권 전철 1호선 (대현월국)|#fff|1호선}}</br>(H172) | ||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월평역|#414141|월평 방면}}</small></br>[[진하역|진 하]]</br>4.0km → | | color: #fff style="width: 33% |<small>{{cl|월평역|#414141|월평 방면}}</small></br>[[진하역|진 하]]</br>4.0km → | ||
|- | |- |
2024년 8월 15일 (목) 05:25 판
도산역 Dosan Station | 道山驛 | |||
---|---|---|---|
일반열차 노선 보기 | |||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 |||
주소 | |||
해월도 도산시 역광장로 59 (도산동 603-116)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3급) (장택역 관리/현월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기관 | |||
영남선 | 현월철도공사 | ||
개업일 | |||
일반열차 | |||
영남선 | 2022년 11월 12일 | ||
무궁화호 | 2024년 3월 17일 | ||
수도권 전철 | |||
1호선 | 2024년 7월 6일 | ||
승강장 구조 | |||
4면 6선 4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한월 방면 도산대 ← 2.7km |
영남선 도 산 |
창산 방면 진 하 4.0km → |
개요
영남선의 철도역·수도권 전철 1호선 H172번. 해월도 도산시 역광장로 59 (도산동 603-116) 소재.
역 정보
2022년 11월 12일 영남선의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문을 열었다.
2024년 7월 6일부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태원역에서 월평역으로 연장되면서 광역전철이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역 주변 정보
서쪽으로 도산역 환승 주차장과 도산천이 있으며, 이 하천 너머로는 공장이 밀집되어 있다.
일평균 이용객
수도권 전철
일반열차
연도 | 비둘기호 | 통일호 | 무궁화호 | 총합 | 비고 |
---|---|---|---|---|---|
2022년 | 1,022명 | 732명 | 1,754명 | ||
2023년 | 1,075명 | 756명 | 1,831명 |
승강장
도산대 ↑ | |||||||||||||||||
ㅣ | ㅣ | ㅣ | 8 | 7 | ㅣ | 6 | 5 | ㅣ | ㅣ | 4 | 3 | ㅣ | 2 | 1 | ㅣ | ㅣ | |
↓ 진하 |
1·2 | ![]() |
완행·급행 | 장택·월평 방면 | |||
3·4 | 영남선 | 무궁화호 | 덕전·동북전·창산 방면 | |||
5·6 | 태원·북산·한월 방면 | |||||
7·8 | ![]() |
완행·급행 | 한월·북한월·한북 방면 |
연계 교통
둘러보기
영남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